한국   대만   중국   일본 
[권경률의 노래하는 韓國史 (23)] ‘임을 위한 行進曲’에서 ‘同志가’까지

히스토리

Home > 월간중앙 > 히스토리

[권경률의 노래하는 韓國史 (23)] ‘임을 위한 行進曲’에서 ‘同志가’까지 

民主化 正體性 담고 86世代 血管 타고 도는 노래들 

光州民主化運動이 불붙이고 카세트테이프가 퍼뜨린 時代의 노래
70萬 張 大박 난 '勞찾사' 2輯… 創作과 表現 自由 擴大에 寄與


?1987年 6月 抗爭을 위해 學生과 市民들이 서울市廳 앞 廣場을 가득 메웠다. 歷史的인 民主化 爭取는 86世代의 矜持와 紐帶感을 높였다.
"사랑도 名譽도 이름도 남김없이 / 限平生 나가자던 뜨거운 盟誓 / 冬至는 간 데 없고 旗발만 나부껴 / 새날이 올 때까지 흔들리지 말자 / 歲月은 흘러가도 山川은 안다 / 깨어나서 외치는 끝없는 喊聲 / 앞서서 나가니 산 者여 따르라 / 앞서서 나가니 산 者여 따르라.”

1980年代 民衆歌謠를 代表하는 노래, ‘임을 위한 行進曲’이다. 1980年 5·18民主化運動 當時 抗爭指導部를 糾合하고 代辯人으로 活動하다가 犧牲된 윤상원과 1978年 光州에서 들불夜學 勞動運動을 하던 中에 悲運의 事故로 죽은 박기순의 靈魂結婚式을 위해 만들어졌다. 1982年 小說家 황석영이 社會運動家 백기완의 長篇詩 [묏비나리]를 借用해 歌詞를 쓰고, 全南大 出身으로 大學歌謠祭에서 受賞했던 김종률이 曲을 지었다. 靈魂結婚式을 主題로 한 노래劇 [넋풀이]에 故人이 된 두 男女가 산 者들에게 남기는 마지막 노래로 쓰였다.

集團的 所屬感 느끼게 하는 힘


?‘임을 爲한 行進曲’의 노랫말은 民衆運動家 백기완(寫眞)의 長篇詩 〈묏비나리〉를 引用해 小說家 황석영이 지은 것이다. / 寫眞:統一問題硏究所
“여러분 우리는 저들에 맞서 끝까지 싸워야 합니다. 그냥 盜聽을 비워주게 되면 우리가 싸워온 그동안의 鬪爭은 헛수고가 되고, 數없이 죽어간 英靈들과 歷史 앞에 罪人이 됩니다. 우리가 비록 저들의 銃彈에 죽는다 할지라도 그것이 永遠히 사는 길입니다. 이 새벽을 넘기면 반드시 아침이 옵니다.”(‘아! 윤상원’, [5·18民主化運動], 國家記錄院)

1980年 5月 27日 새벽, 戒嚴軍이 全南道廳에 進入하자 윤상원은 武器庫 앞에서 마지막 演說을 했다. 그의 屍身은 다음날 市廳 淸掃車에 실려 망월동 墓域에 假埋葬됐다. 新軍部의 銃칼에 맞서 ‘사랑도 名譽도 이름도 남김없이’ 목숨 바친 光州民主化運動의 決定的 場面 中 하나다. ‘임을 위한 行進曲’에는 그날의 결氣가 흐른다. “앞서서 나가니 산 者여 따르라”던 외침이 쟁쟁하게 울리고, “새날이 올 때까지 흔들리지 말자”는 盟誓가 뜨겁게 끓어오른다. 이 悲壯한 短調 行進曲은 카세트테이프에 錄音돼 光州에서 全國으로 퍼져나갔다.

‘임을 위한 行進曲’은 1980年代 民主化運動의 始動을 거는 노래였다. 集會를 始作할 때 民主 烈士에 對한 默念과 함께 이 노래를 提唱했다. 오늘날 86世代(1980年代에 大學을 다닌 1960年代生)는 주먹을 불끈 쥐고 팔을 힘차게 휘두르며 ‘임을 위한 行進曲’을 부른 記憶을 간직하고 있다. 86世代 運動圈의 心臟에 刻印돼 血管을 타고 돌았던 曲이다. 民主化를 爭取한 主役이라는 그들의 正體性이 이 民衆歌謠에 投影돼 있다. 함께 부르는 노래는 힘이 세다. 自身들만의 情緖的 共感帶를 形成하고 集團的 所屬感을 느끼게 하는 힘이다.

‘民衆(民衆)’은 不當한 支配體制에 억눌리거나 抵抗하는 사람들을 包括的으로 일컫는 말이다. 近代 歷史學者 申采浩 等이 1920年代에 先驅的으로 使用하면서 널리 퍼졌다. 申采浩는 日帝强占期에 아나키스트 獨立運動을 펼치다가 殉國했다. 民衆이라는 用語는 본디 이러한 社會運動의 含意를 띠고 있었다. 1980年代에 이르면 民衆이 勞動者, 大學生, 知識人, 宗敎人, 政治人 等을 아우르며 新軍部 獨裁 政權에 抗拒하는 民主化 勢力을 이루었다.

民衆歌謠는 民主化運動이 熾烈했던 時代에 制度圈 바깥에서 流通돼 民主化 勢力의 呼應을 얻은 抵抗的 性格의 노래를 가리킨다(김창남, ‘大衆音樂史의 脈絡에서 본 民衆歌謠’, [民衆의 時代]). 1980年代는 民衆歌謠라는 槪念이 本格的으로 登場하고 創作과 公演, 普及과 受容이 活潑히 이뤄진 時期였다. 決定的 契機는 光州虐殺이었다. 12·12 쿠데타로 權力을 잡은 新軍部가 1980年 5月 光州民主化運動을 銃칼로 鎭壓瑕疵 뜨거운 憤怒와 슬픔이 노래가 돼 입에서 입으로 번져나갔다. 眞相을 밝히려는 念願이 모여 民衆歌謠를 일으켰다.

光州虐殺에 對한 憤怒가 民衆歌謠 일으켜


?‘아침이슬’, ‘상록수’ 等을 作曲한 김민기는 1980年代 民衆歌謠에 靈感을 주고 노래運動家들을 길러냈다. / 寫眞:學田
1980年을 전후해 大學街에 노래 동아리들이 생겨나 運動圈 口傳 歌謠들을 모으고 現實 批判的인 노래들을 지어냈다. 大學 노래牌 出身들은 卒業 後에도 團體를 만들어 專門的인 노래運動을 펼치기 始作했다. 1984年에 結成한 노래모임 ‘새벽’은 大學校, 聖堂, 小劇場 等地에서 公演을 進行하며 [노래를 찾는 사람들]이라는 카세트테이프 音盤을 내놓았다(1집). ‘그루터기’, ‘日曜日이 다 가는 소리’ 等이 이 音盤에 收錄됐다. 1980年代 中盤이 되면 ‘노래마을’ 等 力量 있는 團體들이 續續 모습을 드러내며 노래運動이 活氣를 띠었다.

民衆歌謠라고 해서 꼭 運動圈 歌謠인 것은 아니었다. 民主化運動記念事業會에서는 1977年부터 1992年까지 나온 民衆歌謠 1650餘 曲의 樂譜를 모아 [노래는 멀리멀리](前 5卷)를 펴낸 바 있다(2006~2008년). 이 모음집에 실린 作品들을 살펴보면 民衆歌謠가 意外로 다채롭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노래運動家들이 만든 社會性 짙은 曲뿐 아니라 韓國과 영미圈의 모던 포크송, 敎會에서 흘러나온 福音聖歌와 黑人靈歌, 出處가 不分明한 口傳歌謠, 大衆歌謠 노가바(노래 歌詞 바꿔 부르기), 그리고 有名 歌曲이나 動搖까지 網羅했다. 社會運動에 쓰이고 抵抗의 意味를 附與받으면 脈絡上 民衆歌謠였다.

그래도 1980年代 노래運動의 주된 흐름은 分明히 있었다. 民衆歌謠의 中心에 자리限 曲들은 行進曲風의 鬪爭歌와 悲壯한 抒情歌謠였다. ‘임을 위한 行進曲’李 光州虐殺의 悲劇을 딛고 民主化運動을 힘차게 추동한 鬪爭歌의 레전드라면, ‘그날이 오면’은 勞動者의 權利를 일깨운 전태일의 犧牲을 기리고 人間다운 삶을 꿈꾼 抒情歌謠의 最高峯이다.

“한밤의 꿈은 아니리 / 오랜 苦痛 다한 後에 / 내 兄弟 빛나는 두 눈에 / 뜨거운 눈물들 / 한 줄기 江으로 흘러 / 고된 땀방울 함께 흘러 / 드넓은 平和의 바다에 / 正義의 물결 넘치는 꿈 / 그날이 오면 / 그날이 오면 / 내 兄弟 그리운 얼굴들 / 그 아픈 追憶도 / 아 짧았던 내 젊음도 / 헛된 꿈이 아니었으리 / 그날이 오면 / 그날이 오면”

이 노래를 作詞·作曲한 문승현은 ‘새벽’ 出身으로 ‘노래마을’의 백창우 等과 함께 草創期 노래運動을 이끌었다. 그들은 김민기, 한대수 等 1970年代 포크 뮤지션들의 影響을 받았다. 포크 音樂은 筒기타 하나만으로도 메시지를 效果的으로 傳達할 수 있었다. 포크 系列의 어쿠스틱 사운드가 1980年代 民衆歌謠의 根幹을 이룬 理由다.

노래運動 키운 카세트테이프의 힘


?1980年代에는 ‘새벽’, ‘노래마을’, ‘勞動者노래團’, ‘예울림’ 等 다양한 노래牌들이 結成돼 民衆歌謠를 創作하고 普及했다. / 寫眞:民主化運動記念事業會
民衆歌謠의 擴散에는 카세트테이프가 至大한 役割을 했다. 카세트테이프는 누구든 簡便하게 錄音하고 編輯할 수 있었다. 플레이어도 比較的 싸고 使用하기 쉬웠다. 5共 治下에서 民衆歌謠는 合法的인 經路로 販賣할 수 없었다. 1980年代 中盤까지 制度圈 밖에서 몰래 流通해야 했다. 카세트테이프는 普及과 受容이 容易한 ‘民主的 媒體’였다. 隱密한 노래는 民主化 勢力의 목소리를 代辯하며 멀리멀리 퍼져나갔다.

이처럼 不法이지만 民主的인 音盤 流通의 嚆矢는 1978年에 나온 김민기의 노래굿 ‘工場의 불빛’이었다. 싱어송라이터 김민기는 1970年代에 ‘아침이슬’, ‘親舊’, ‘상록수’, ‘金冠의 예수’ 等을 發表하며 民主主義에 對한 熱望을 모으는 文化的 求心點으로 자리매김했다. ‘工場의 불빛’은 동일방직 勞組 彈壓의 實相을 알리는 作品이었다. 同僚의 錄音室에서 祕密裏에 製作한 音盤을 카세트테이프로 複製해 大學街와 工團 等地에 流通시켰다. 카세트테이프의 對中 擴散力은 業界 話題로 떠오를 만큼 놀라웠다.

1980年代 노래運動家들은 이 流通 모델을 全國的으로 키워나갔다. 民衆歌謠 카세트테이프는 大學街 書店, 學生會, 勞動組合 等 運動圈 네트워크를 活用해 販路를 넓혔다. 音盤 收益은 運動團體와 活動家들을 補助하는 所重한 財源이 됐다. 大衆歌謠에 비해 收益性도 나쁘지 않았다고 한다. 大衆歌謠 音盤은 몇몇 人氣 스타만 돈을 벌고 나머지는 消費者의 外面으로 製作費도 뽑지 못했지만, 民衆歌謠 音盤은 製作費가 적게 들 뿐 아니라 固定 需要層이 形成돼 있어 損害 볼 危險性이 낮았다. 다시 말해 크게 成功을 거두지는 못해도 熱心히 하면 失敗는 면할 수 있는 게 民衆歌謠 市場이었다.

1987年 6月 抗爭과 直選制 改憲 爭取는 制度圈 밖에 머물던 民衆歌謠의 版圖를 바꾸었다. 韓國 社會의 民主化가 이뤄지면서 各種 禁止曲이 制裁에서 풀려났고 노래運動度 合法的인 地位를 차지했다. 1987年 10月 노래모임 ‘새벽’을 中心으로 새로운 音樂 團體가 結成됐다. 바로 ‘노래를 찾는 사람들(勞찾사)’이었다. 1984年 ‘새벽’에서 냈던 不法 音盤의 타이틀을 合法化된 노래運動 團體의 이름으로 쓴 것이다.

1980年代 後半 ‘勞찾사’ 公演은 가는 데마다 盛況을 이루었다. 큰 公演만 한 해에 7~8回 以上 열었다. 金光石, 안치환, 권진원 等 後날 大衆的으로 名聲을 떨칠 歌手들이 舞臺에 섰다. ‘새벽’李 낳은 ‘디바’ 윤선애度 淸雅하게 울리는 목소리로 함께했다. ‘솔아 솔아 푸르른 솔아’, ‘마른 잎 다시 살아나’, ‘저 平等의 땅에’ 等 名曲들이 쏟아져 나왔다. ‘沙溪’는 MBC TV 프로그램 [퀴즈 아카데미]의 背景 音樂으로 쓰이기도 했다.

“빨간꽃 노란꽃 꽃밭 가득 피어도 / 하얀 나비 꽃 나비 담牆 위에 날아도 / 따스한 봄바람이 불고 또 불어도 / 미싱은 잘도 도네 돌아가네 / 저 하늘엔 별들이 밤새 빛나고 / (中略) / 흰 눈이 온 世上에 소복소복 쌓이면 / 하얀 工場 하얀 불빛 새하얀 얼굴들 / 우리네 靑春이 저물고 저물도록 / 미싱은 잘도 도네 돌아가네 / 工場엔 作業等이 밤새 비추고”

民衆歌謠가 每週 地上波 放送에 울려 퍼지다니, 不過 몇 年 前까지만 해도 想像조차 할 수 없었던 일이다. 民主化는 노래運動의 底邊을 넓혀주었다. 1989年 10月에 낸 [노래를 찾는 사람들] 2輯 音盤은 無慮 70萬 醬의 販賣高를 記錄했다. 大衆이 民衆歌謠에 귀 기울이는 時代로 접어든 것이다. 民衆歌謠度 大衆的으로 進化했다. 새로운 團體들이 活動하면서 사운드가 豐盛하고 다양해졌다. 포크 一邊倒에서 벗어나 록이나 트로트도 人氣를 얻었다.

民衆歌謠 大衆化, 檢閱의 障壁 허물다


?1989年 10月에 나온 [노래를 찾는 사람들] 2輯 音盤 커버. 70萬 醬의 販賣高를 記錄하며 民衆歌謠의 大衆化 時代를 열었다. / 寫眞:나무위키 캡처
民衆歌謠의 大衆歌謠化는 文化産業 地形을 바꿔놓았다. 무엇보다 事前審議를 憑藉한 檢閱 制度를 무너뜨림으로써 創作과 表現의 自由를 擴大하는 데 貢獻했다. 6月 抗爭 以後 民主主義에 對한 大衆의 熱望이 커지면서 公演倫理委員會의 가요 審議 基準은 大幅 緩和됐다. 함부로 가위질할 수 없는 社會 雰圍氣 德分이었다. ‘民衆의 넋이 主人 되는 참世上 自由 위하여’(솔아 솔아 푸르른 솔아), ‘기나긴 밤이었거든 죽음의 밤이었거든’(잠들지 않는 南道) 같은 表現들도 以前과 달리 事前審議를 通過했다.

“한 番 事例가 생기면 그 事例에 맞추게 되어 있으므로, 規制가 한 番 풀리기 始作했다는 것은 매우 重要한 일이다. 이는 大衆歌謠의 表現과 思惟의 幅을 크게 넓히는 條件을 形成해 주었다.”(이영미, ‘1980年代 조용필과 발라드의 時代’, [韓國 大衆歌謠史])

檢閱의 障壁은 구멍 난 둑이 무너지듯 빠른 速度로 허물어졌다. 決定的인 役割을 한 人物은 ‘韓國 포크 音樂의 代父’ 정태춘이었다. 그는 抒情的인 포크송으로 出發해 차츰 社會 批判的인 노래를 짓다가 民衆歌謠로 領域을 넓힌 獨特한 履歷을 갖고 있다. 1990年 [아, 大韓民國…]을 製作한 정태춘은 公開的으로 檢閱을 拒否하고 보란 듯이 非合法 音盤을 流通·販賣했다. 公演倫理委員會의 事前審議制를 撤廢하기 위해 正面 突破를 擇한 것이다. 1993年에 내놓은 정태춘·박은옥의 [92年 장마, 鍾路에서]도 公開的인 非合法 音盤이었다.

정태춘은 檢察에 起訴돼 裁判을 받았지만, 大衆을 만나고 同僚들을 說得하며 끈질기게 抵抗을 이어나갔다. 事前審議를 憑藉한 檢閱 制度에 對해 違憲 提請度 申請했다. 社會的 共感帶가 形成되면서 意味 있는 變化들이 나타났다. 1995年 서태지와 아이들의 4輯 收錄曲 ‘時代遺憾’李 審議에서 不可 判定을 받자 서태지는 歌詞를 고치는 代身 演奏曲으로 代替해 ‘遺憾’을 표했다. 팬들이 들고일어났고 撤廢 運動이 달아올랐다. 結局 1996年 憲法裁判所의 違憲判定이 나오고 改正 法律이 施行됨으로써 가요 事前審議制는 廢止됐다.

檢閱 撤廢 運動은 歌謠에서 映畫로, 그리고 文化産業 全般으로 번져나갔다. 持續的인 制度 革新에 따라 創作과 表現의 自由가 크게 增大됐고 억눌렸던 想像力과 感受性이 暴發的으로 噴出했다. 오늘날 K팝과 K콘텐트가 世界的인 競爭力을 確保하고 地球村의 사랑을 듬뿍 받게 한 밑거름이다. 民主化의 過失이 文化藝術界에서 탐스럽게 영근 것이다.

‘同志가’에 投影된 86世代의 集團 正體性


?다큐멘터리 ‘아치의 노래, 정태춘’은 포크의 傳說 정태춘이 10代 歌手賞, 가요 事前審議 撤廢運動, 隱退 宣言을 거듭하며 겪은 40餘 年 音樂 人生을 代表曲 28曲과 함께 담아냈다. 정태춘은 1990年 公開的으로 가요 事前審議를 拒否하고 全國을 巡廻하며 非合法 音盤 [아, 大韓民國…]을 販賣했다. / 寫眞:NEW
民衆歌謠는 그러나 1990年代 中盤에 접어들며 大衆的인 人氣를 잃고 急速度로 내리막길을 탔다. 여기에는 여러 가지 要因이 作用한 것으로 보인다. 于先 1992年 서태지와 아이들의 登場 以後 大衆歌謠가 靑少年 趣向으로 再編되는 바람에 民衆歌謠의 立地가 좁아졌다. 金光石 等 몇몇 歌手는 大衆歌謠界에 자리를 잡았지만, 民衆歌謠를 主導한 노래모임들은 다시 現場으로 돌아갔다. 1990年代 初盤부터 流行한 노래房도 影響을 미쳤다. 學舍酒店에서 燒酒盞을 기울이며 함께 民衆歌謠를 부르던 大學生들이 三三五五 노래房에 들어가 댄스曲과 발라드에 心醉했다. 노래 文化가 가볍게 바뀌면서 무게 있는 노래가 시들해진 것이다.

民衆歌謠의 退潮는 무엇보다 運動圈의 衰退와 맞물려 있었다. 民主化運動이 熾烈했던 1980年代에는 運動圈 大學生과 勞動者들이 自發的으로 民衆歌謠를 듣고 부르고 律動까지 곁들여 즐겼다. 그들이 카세트테이프를 購買했고 公演을 觀覽했으며 좋아하는 노래를 傳播했다. 運動圈 文化의 한복판에 民衆歌謠가 있었다. 하지만 1990年代에 文民政府가 들어서고 民主化가 빠르게 進行되자 運動圈의 存在 理由가 退色했다. 大學生과 勞動者들의 參與도 눈에 띄게 줄어들었다. 民衆歌謠에 對한 自發的 需要가 사그라진 것이다. 核心 基盤이 萎縮되면 大衆的인 擴張性도 期待하기 어렵게 된다. 그것이 民衆歌謠가 부닥친 뼈아픈 現實이었다.

그런데도 民衆歌謠는 社會運動이나 集會·示威 現場에서 如前히 生命力을 뿜어내고 있다. 呼訴할 곳 없는 弱者의 便에서 때로는 熾烈한 鬪爭이 되고, 때로는 따뜻한 慰勞가 돼 힘을 북돋우는 것이다. 86世代 運動圈의 記憶 속에서도 民衆歌謠는 綿綿히 살아 숨 쉬고 있다. 한때 心臟에 刻印돼 血管을 타고 돌았던 그 노래들이 이따금 귀에 쟁쟁하고 心琴을 울린다. 그 노랫말과 音標들 사이에서 젊은 날의 自身을 마주하는 것이다.

1990年代 後半부터 젊은 나이로 政黨과 國會에 進出한 86世代는 어느덧 山戰水戰 다 겪은 重鎭 政治人들이 됐다. 民主化를 爭取한 歷史의 主役이라는 自矜心은 그들의 集團的인 正體性으로 이어졌다. 民衆歌謠 ‘同志가’의 歌詞처럼 끈끈한 紐帶感을 바탕으로 서로 밀어주고 끌어주며 20年 以上 韓國 政治의 主導 勢力으로 牙城을 쌓았다.

“휘몰아치는 거센 바람에도 / 부딪쳐 오는 거센 抑壓에도 / 우리는 반드시 모이었다 마주 보았다 / 살을 에는 밤 苦痛 받는 밤 / 차디찬 새벽 서리 맞으며 우린 맞섰다 / 사랑 永遠한 사랑 變치 않을 同志여 / 사랑 永遠한 사랑 너는 나의 同志”

그러나 時代 變化에도 民主 對 反民主의 敵對的 政治觀을 固守하고, ‘내로남不’의 僞善과 沒廉恥로 政治 嫌惡를 부채질한다는 批判도 고개를 들고 있다. 最近 86世代 政治人들이 또 하나의 旣得權 勢力으로 指目되고 世代交替의 도마 위에 오르는 理由다. 果然 이들 民衆歌謠 世代는 언제까지 國家權力의 中心部에서 ‘同志가’를 부를 수 있을까?

※ 권경률 - 歷史 칼럼니스트이자 作家. 서강대에서 歷史를 工夫했다. 새로운 解釋과 奇拔한 想像力으로 韓國史에 숨결을 불어넣는다. 유튜브·페이스북에 ‘歷史채널권경률’을 열어 讀者들과 歷史 하는 재미를 나누고 있다. [謀陷의 나라](2022), [始作은 모두 사랑이었다](2019), [朝鮮을 새롭게 하라](2017) 等을 썼다.

202402號 (2024.01.17)
目次보기
  • 今週의 베스트 記事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