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富川市初」 - 디지털富川文化大展

콘텐츠目次

「富川市初」
메타데이터
項目 ID GC01601965
漢字 富川詩抄
英語意味役 Poem of Bucheon
分野 具備 傳承·言語·文學/文學
類型 作品/文學 作品
地域 京畿道 부천시
時代 現代/현대
執筆者 구자룡
[詳細情報]
메타데이터 詳細情報
性格
作家 이香案

[正義]

異鄕安易 京畿道 부천시 송내동 괴안동 의 옛 地名을 詩語로 活用하여 지은 詩.

[內容]

「송내동初(抄)」

궂은 맘일랑 ‘늦再’로 떠나 보내고

궂은 맘일랑 ‘망(亡)골’로 떠나 보내고

궂은 맘일랑 ‘돌내’의 맑은 물소리로 씻어내고

궂은 맘일랑 ‘솔山’의 솔소리로 씻어내고

평산갑氏(平山甲氏) 종문(宗門)李 定着한 ‘山골말’서도

全州李氏(全州李氏) 종문(宗門)李 定着한 ‘九地(九芝)말’서도

이천서氏(利川徐氏) 종문(宗門)李 定着한 ‘씨(氏)말’서도

못된 맘일랑 ‘솔山’의 맑은 솔소리로 휑궈내고

못된 맘일랑 ‘돌내’의 맑은 물소리로 씻어내고

못된 맘일랑 ‘망(亡)골’로 넘겨 보내고

못된 맘일랑 ‘늦再’로 넘겨 보내고

그리고

그리고

그리고

「괴안동初(抄)」

安東權氏(安東權氏)의 한 家庭이

맨 처음 이 마을 主人으로 와서

忠南道(忠南道) 猛山골의 원을 지냈다는

그 權力보다는 致誠法을 익혀와서

東區(洞口)의 일위노槐木(一位老槐木)에서

精誠껏 안가태坪(安家太平)을 빌어오더니

먼데 사람들이 그걸 傳해 듣고

이 마을 이름을 ‘괴안리(槐安里)’라 불렀단다

마는, 그 槐木(槐木)은 舊韓末(舊韓末) 大院君(大院君) 時節에

부평군(富平郡)의 管理의 눈에 띄어

그만 大砲(大砲) 바퀴로나 짤려나가고 말았으니

그 뒤, 또 어디 어디서 移住해온

全州李氏(全州李氏), 파평尹氏(坡平尹氏)의 後裔들까지도

서운키는 매우 서운하지만

그런 雉城法쯤 잊고 살아도

아직 잘 살아오기만 하단다

[意義와 評價]

참 재미난 시다. 「송내동初(抄)」와 「괴안동初(抄)」로 나누어진 「富川市初」 는 詩 한 篇 읽고 나면 두 洞네의 이름과 歷史와 現代의 재미를 한꺼번에 느낄 수 있는 作品이다. 늦再, 亡骨 , 돌內, 솔山의 指名이 次例로 또다시 逆順으로 登場하면서 궂은 맘, 못된 맘을 없애는 呪文 같은 方法을 일러주고 있다. 傳來童話 한 篇 읽는 듯하다.

權力보다는 致誠法을 익혀온 安東權氏 한 家庭이 東歐의 한 槐木에서 精誠껏 안가 太平을 빌어오던 모습을 먼데 사람들이 보고 지어준 이름이 괴안동 이다. 그러나 舊韓末 大砲 바퀴로 잘려나간 槐木은 이제는 괴안동 에 없다. 그런데 참 異常한 노릇이다. 그런 雉城法 쯤 잊고 살아도 누구 하나 亡하는 法 없이 아직 잘 살아오기만 하다니. 致誠을 안 드리는 게 또 이時代의 雉城法人 듯 재미나다.

[參考文獻]
登錄된 意見 內容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