敎育部, 지난 3月에도 醫大協에 對話 提案 … 答辯받지 못해 成事 不發 "對話 時期, 主題, 公開 與否 等 學生들과 醫師를 調律해 定할 方針"
  • ▲ 이주호 교육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이 지난 20일 오전 서울 여의도 한국교육시설안전원에서 열린 의대 운영대학 총장 간담회에 참석해 화상으로 의대운영 중인 대학 총장들과 의견을 나누고 있다. ⓒ뉴시스
    ▲ 李周浩 敎育副總理 兼 敎育部長官이 지난 20日 午前 서울 汝矣島 韓國敎育施設安全원에서 열린 醫大 運營大學 總長 懇談會에 參席해 畫像으로 醫大運營 中인 大學 總長들과 意見을 나누고 있다. ⓒ뉴시스
    政府의 醫科大學 增員 方針에 集團行動을 이어 가는 醫大生들에게 敎育部가 公式 對話 提案에 나섰다.

    敎育部는 全國 40個 醫大 學生 代表 團體 '大寒 醫科大學·醫學專門大學院學生協會(醫大協)'에 對話를 提案한다고 21日 밝혔다.

    敎育部가 醫大協에 公開 對話를 提案한 것은 지난 3月11日 以後 두 달 만이다. 當時에는 醫大協으로부터 答辯받지 못해 對話가 成事되지 않았다.

    敎育部는 "지난 3月과 마찬가지로 醫大協 側이 公式 連絡處를 提供하지 않은 狀態여서 不可避하게 言論을 통해 對話를 提案하고 敎育部로 答信해 달라고 要請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對話 時期, 主題, 公開 與否, 參與規模 等은 學生들과 醫師를 調律해 定할 計劃"이라고 덧붙였다.

    政府와 大學이 함께 學生 復歸를 支援하는 가운데 學生들이 授業에 復歸하지 않는다면 向後 醫大의 全般的인 敎育·修鍊 與件 惡化로 學生들의 受講에 制約이 있을 수 있다는 點도 强調할 方針이다.

    敎育部에 따르면 前날 基準으로 總 40個 醫大 中 37곳에서 授業을 再開했다. 各 大學은 學生들이 留級 等 不利益을 받지 않고 學業을 이어나갈 수 있도록 彈力的 學事運營 方案도 마련하고 있다.

    李周浩 副總理 兼 敎育部 長官은 "醫學敎育 先進化의 中心에 우리 醫療界의 未來인 學生들이 있어야 한다"며 "政府는 主題, 方式 等을 限定하지 않고 열린 마음으로 學生들의 意見을 듣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