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닷가 絶壁에 피어난 한 떨기 蓮꽃… 海水觀音의 微笑[전승훈 記者의 아트로드]|東亞日報

바닷가 絶壁에 피어난 한 떨기 蓮꽃… 海水觀音의 微笑[전승훈 記者의 아트로드]

  • 東亞日報
  • 入力 2022年 8月 6日 03時 00分


코멘트
남해 금산 보리암 일출. 한려해상국립공원의 섬들이 꿈결처럼 포근한 바다에 떠 있다.
南海 錦山 보리암 日出. 한려해상국립공원의 섬들이 꿈결처럼 포근한 바다에 떠 있다.
여름철에 바닷가를 찾으면 ‘해수관음상(海水觀音像)’을 곳곳에서 만날 수 있다. 子息들을 보살피는 어머니처럼 苦痛받는 衆生들을 救濟한다는 자비로운 觀世音菩薩은 왜 바닷가 近處에 있는 것일까. 韓國의 3代 觀音聖地는 慶南 南海 錦山 보리암, 仁川 江華 낙가산 普門寺, 講院 襄陽 洛山寺 紅蓮癌이 꼽혀 왔다. 이 밖에도 全南 麗水 향일암, 釜山 機長 解凍龍宮社 等 바닷가의 절에는 어김없이 觀音의 傳說이 내려온다. 해수관음상은 所聞난 祈禱處일 뿐 아니라 탁 트인 바다 風景을 眺望할 수 있는 最高의 포인트로 많은 旅行客들이 찾는다.》
● 南海 보리암의 日出
보리암은 南海의 名山인 錦山 正常 絶壁에 아슬아슬하게 자리 잡고 있다. 이곳에 서면 南海 尙州銀모래備置를 中心으로 糊塗, 哀悼, 海運山, 목도, 승치도, 삼여도, 所致도 等 한려해상국립공원의 섬들이 꿈결처럼 떠다닌다. 해수관음상의 微笑처럼 포근하고 따스한 風景이다.

보리암 日出을 보기 위해 이른 새벽 錦山에 올랐다. 낮에는 錦山 入口부터 運行하는 査察 버스(午前 8時∼午後 4時 運行)를 타고 올라가야 하지만, 새벽에는 頂上 附近인 第2駐車場까지 乘用車로 올라갈 수 있다. 車에서 내린 後 錦山의 맑은 아침 空氣를 느끼며 15分 程度 걸으니 보리암 뒤便의 대장봉과 화엄봉, 刑吏癌의 깎아지른 바위가 나타난다.

남해 보리암 해수관음상.
南海 보리암 해수관음상.
보리암의 第一 양지바른 곳, 南海 바다가 한눈에 보이는 場所에 해수관음상과 三層石塔이 서 있다. 해 뜨기 前 새벽인데도, 벌써 수많은 사람들이 절을 하고 塔돌이를 하고 있다. 大慈大悲한 觀世音菩薩에게 慈悲와 도움을 請하는 懇切한 몸짓이다. 華嚴經에 따르면 衆生이 온갖 苦惱에 시달릴 때 한마음으로 觀世音菩薩을 부르면 그 소리를 듣고 苦痛에서 벗어나게 해 준다고 한다. 그래서일까. “觀世音菩薩, 觀世音菩薩” 하고 끊임없이 속삭이며 祈禱하는 사람들은 大部分 나이 지긋한 어머니들이다.

해수관음상이 바닷가에 많이 세워진 까닭은 예로부터 觀音菩薩이 印度 南東쪽 海岸에 있는 ‘포탈라카’山의 窟속에 살고 있다고 믿어져 왔기 때문이다. 그래서 佛敎가 印度에서 티베트를 거쳐 中國 韓國 日本으로 퍼져 나가면서, 民衆은 바닷가 山에 수많은 觀音信仰의 聖地를 만들었다.

티베트의 靈的 指導者인 달라이 라마도 觀世音菩薩의 化身으로 여겨진다. 달라이 라마의 執務室이 있는 라싸의 ‘布達拉宮’도 逋脫라카에서 由來한 이름이다. ‘달라이’는 ‘큰 바다’란 뜻이다. 逋脫라카는 中國으로 傳해지면서 ‘補陀落가(普陀落迦)’라는 漢字로 音借됐다. 中國 저장省 닝보(寧波) 隣近 푸퉈(普陀)山은 代表的인 觀音聖地다.

우리나라에서는 衣裳 大師가 新羅 文武王 11年(671年) 觀世音菩薩을 親見하고 觀音窟을 지었다는 襄陽 洛山寺 紅蓮癌을 最初의 本格 觀音道場으로 본다. 國內 3代 觀音聖地인 襄陽 洛山寺의 ‘駱山’, 强化 普門寺의 ‘낙가산’, 南海 보리암의 ‘步打電’ 等은 모두 ‘補陀落가’라는 이름에서 따온 이름이다.

보리암이 있는 錦山의 風景은 季節에 따라 緋緞으로 수놓은 듯 變化無雙하게 變한다. 錦山을 오르다 보면 雙홍문, 望臺, 檀君聖殿, 坐禪對, 화엄봉과 같은 傳說과 이야기가 담긴 名所들이 櫛比하다. 高麗 末 李成桂가 보리암에서 百日祈禱를 하고 朝鮮王朝를 열었다는 祈禱處도 남아 있다. 特히 슬픈 사랑의 傳說이 담겨 있는 上司癌(想思巖) 絶壁은 보리암을 색다른 角度로 眺望하고, 파노라마처럼 바다 風景을 바라보며 思索에 잠길 수 있는 곳이다.
● 東아시아 海上 실크로드의 觀音聖地
강화 석모도 낙가산 중턱에 있는 눈썹바위 해수관음상.
江華 席毛島 낙가산 中턱에 있는 눈썹바위 해수관음상.
江華 席毛島 낙가산 中턱에 자리한 普門寺 뒤便에는 ‘눈썹바위 磨崖觀音菩薩像’이 있다. 높이 9.2m, 幅 3.3m 規模의 巨大한 해수관음상이 낙가산 中턱에 가로로 길게 튀어나온 눈썹바위 아래 그야말로 눈瞳子처럼 들어앉아 있는 것이다. 仁慈한 微笑를 짓고 있는 磨崖佛은 暫時도 한눈을 팔지 않고 바다를 내려다보고 있다. 觀音像의 視線을 따라 내려다본 드넓은 西海 바다는 일찍이 强化 8頃으로 알려졌을 程度로 絶景이다.

新羅時代에 세워진 强化 普門寺는 高麗時代 때 觀音聖地로 크게 繁昌했다. 普門寺의 繁昌은 海上 貿易과 깊은 關聯이 있다. 印度를 出發해 믈라카 海峽과 베트남, 中國 광저우까지 進出한 印度 商人들이 中國 沿岸의 닝보를 거쳐 高麗의 首都 開京의 關門인 碧瀾渡까지 進出했다. 江華島는 碧瀾渡의 關門 役割을 하던 곳이다. 옛날에 배는 物件을 大量으로 輸送할 수 있는 長點이 있어 貿易에 적합한 手段이었다. 그러나 陸路에 비해 難破 等의 危險이 높아 航海는 늘 목숨을 건 冒險이었다. 사람들은 航海의 두려움과 무서움을 이겨 내기 위해 많은 神들에게 빌었다. 그中에 으뜸은 觀世音菩薩이었다. 그래서 東아시아 海上 실크로드를 오가던 뱃사람들은 中國 닝보, 江華島 等 바닷가의 山에 觀世音菩薩이 살던 引渡의 補陀落家産을 再現해 냈다.

强化 普門寺는 절 앞까지 버스가 到着한다. 그러나 좀 더 드라마틱하게 해수관음상을 만나는 方法은 석모도의 解明産科 낙가산을 넘어서 普門寺로 가는 길이다. 들머리인 전득이고개에서 숲을 파고든 가파른 山길에 오른 지 10分 程度 지났을까. 갑자기 視野가 탁 트인다. 개펄을 쓰다듬는 바다와 점점이 흩어져 있는 無人島까지 西海 特有의 風景이다.

해명산에서 낙가산까지 바다를 바라보며 걷는 稜線길은 順하다. 낙가산 正常 標識石을 지나 새가리고개를 넘자 普門寺의 殿閣들이 내려다보인다. 너럭바위 바로 아래가 海獸觀音像을 모신 눈썹바위지만, 낙가산 頂上에서 바로 내려갈 수는 없다. 다시 普門寺까지 내려와서 一柱門을 지나 階段을 오른다. 숨이 턱까지 차오를 무렵 눈썹바위 磨崖觀音菩薩像에 다다랐다. 蓮꽃 위에 坐定하여 甘露水 甁을 든 普門寺 해수관음상 앞에는 所願을 담은 수많은 燃燈이 걸려 있다.

한옥으로 지은 강화 성공회성당.
韓屋으로 지은 强化 聖公會聖堂.
서울의 關門인 江華島는 宗敎를 비롯해 外來 文物 流入의 最前線이기도 했다. 1876年 江華島條約 以後 草創期 改新敎의 電波 過程에서 核心 役割을 한 곳도 江華島다. 1900年 지어진 强化 聖公會聖堂은 韓屋과 佛敎 寺刹, 西유럽 바실리카 樣式을 結合한 獨特한 建物이라 눈에 확 띈다. 英國 聖公會 宣敎師가 白頭山의 나무를 가져다 지은 이 聖堂은 佛敎의 寺刹처럼 一柱門과 梵鍾을 갖추고 있다. 그런가 하면 八作지붕 龍마루에 올라앉은 十字架, 八作지붕 合刻 아래 ‘天主聖殿(天主性展)’ 懸板, 기둥에 걸려 있는 ‘三位一體(三位一體)’ 柱聯, 祭壇 위에 새겨진 ‘萬有眞原(萬유진원)’ 等 漢字로 解釋한 聖經 句節이 聖堂임을 알게 해준다. 內部로 들어가면 古色蒼然한 샹들리에가 開化期 映畫 세트場에 온 느낌을 준다.

조양방직 공장을 리모델링한 카페.
朝陽紡織 工場을 리모델링한 카페.
섬 旅行은 강화읍 香나무길 ‘朝陽紡織’ 카페에서 茶 한盞을 하며 마무리하면 좋다. 日帝强占期인 1933年 民族資本이 세운 紡織工場을 카페로 丹粧했다. 1958年 廢業한 뒤 60年假量 제대로 活用되지 않던 建物의 骨組를 그대로 살려 追憶 어린 옛 生必品과 藝術品을 陳列한 빈티지 美術館은 세련된 멋을 찾는 젊은이도, 追憶을 되새기는 어르신도 함께 즐기는 空間이 된다.


南海·强化=전승훈 記者 raphy@donga.com
#南海 #보리암 #海水觀音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