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番 쓰고 휙? 다시 쓰면 쓰레기 확 줄어요”[강은지 記者의 반짝반짝 우리별]|東亞日報

“한番 쓰고 휙? 다시 쓰면 쓰레기 확 줄어요”[강은지 記者의 반짝반짝 우리별]

  • 東亞日報
  • 入力 2022年 6月 4日 03時 00分


코멘트

‘쓰레기 博士’ 홍수열 資源循環社會經濟硏究所長
‘一回用 컵 保證金制’ 抵抗 커 延期… 政府, 業界 反撥 甘受하고 施行을
包裝材 없애거나 리필 活用하고 飮食勇氣 等은 收去後 재사용해야
保證金制가 多回用器 擴散 出發點… 쓰레기 없는 社會 試驗臺 될 것

지난달 18일 서울역 옥상에 있는 ‘알맹상점’에서 만난 홍수열 자원순환사회경제연구소장. 일회용 컵 대신 평상시 사용하는 다회용 컵을들고있다. 안철민 기자 acm08@donga.com
지난달 18日 서울驛 屋上에 있는 ‘알맹商店’에서 만난 홍수열 資源循環社會經濟硏究所長. 一回用 컵 代身 平常時 使用하는 多回用 컵乙들고있다. 안철민 記者 acm08@donga.com
環境의 날(5日)李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周邊을 되돌아보자. 비닐封套나 플라스틱 一回用 컵 等 한 番 쓰고 버리는 것들이 가득하다. 便利하다는 理由로 우리 日常에 登場한 製品들이다. 그렇다면 果然 資源은 無限한가? 이렇게 繼續 一回用品을 쓰는 것은 괜찮은가? 이 質問에 對한 答을 듣기 위해 지난달 18日 홍수열 資源循環社會經濟硏究所長을 만났다. 洪 所長은 22年 前부터 市民團體에서 쓰레기 處理 問題 關聯 活動을 始作해 關聯 理論과 制度를 通達한 專門家다. 博士 學位는 없지만(서울대 環境大學院 博士 課程을 修了했다) ‘쓰레기 博士’라고 불린다. 洪 所長과의 인터뷰는 서울 中區 서울驛에 있는 알맹商店에서 이뤄졌다. 알맹商店은 包裝材 없는 商品, 덜어서 살 수 있는 製品, 多回用품을 파는 ‘제로 웨이스트’(쓰레기 없는) 가게다.



○施行 미뤄진 一回用 컵 保證金制

“그間 販賣者와 消費者가 外面했던 一回用 컵 處理 問題에 對해 ‘제대로 책임지라’고 導入한 制度가 一回用 컵 保證金 制度예요. 어렵다고 안 하면, 플라스틱 問題는 어떻게 解決하죠?”

洪 所長은 인터뷰 始作과 同時에 一回用 컵 保證金 制度를 言及했다. 一回用 컵 保證金 制度는 一回用 컵에 飮料를 담아 살 때 保證金(300원)을 내고 返納할 때 돌려받는 制度다. 2020年 資源再活用法 改正으로 導入됐다. 年間 約 28億 個가 使用되는 一回用 컵이 길거리에 無分別하게 버려지는 것을 막기 爲해서다. 施行 時期는 이달 10日이었지만 프랜차이즈 業界 反撥이 커 12月로 미뤄졌다. 業界는 一回用 컵에 附着하는 返還龍 라벨 購入費와 返還 業務를 맡을 追加 人力 等 負擔이 크다고 主張한다.

이 制度 導入 背景에 對해 洪 所長은 “‘汚染者 負擔 原則’을 잊어선 안 된다”고 强調한다. 汚染源을 만든 側이 汚染 防止 費用을 내야 한다는 環境 原則은 1970年代 初부터 글로벌하게 適用되고 있다. 家庭집에서 쓰레기를 從量制封套에 담아 輩出하는 것도 이 原則에서 나왔다. 길거리에 버려지는 一回用 컵도 같은 脈絡에서 處理해야 한다는 것이다. 洪 所長은 “政府도 無人回收機를 普及하는 等 가게들의 어려움을 줄이는 데 最善을 다해야 하지만 結局은 一回用 컵 使用으로 收益을 얻은 프렌차이즈 本社들이 解決 方案 摸索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쓰레기 處理는 어려워지는데
대나무를 사용해 만든 칫솔. 안철민 기자 acm08@donga.com
대나무를 使用해 만든 齒솔. 안철민 記者 acm08@donga.com
쓰레기 處理는 漸漸 어려워지고 있다. 代表的 事例가 首都圈埋立地다. 서울 仁川 競技 2600萬 名의 市民이 排出하는 쓰레기가 묻히는 이곳은 이르면 2025年 末 運營이 終了된다. 全國 곳곳이 비슷한 問題를 겪고 있다. 洪 所長은 “2018年 首都圈에서 겪은 쓰레기 大亂이 다시 일어날 수도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쓰레기를 줄이기 위한 一回用品 減縮 로드맵은 있다. 當場 11月 24日부터 카페와 食堂 內部에서 플라스틱 빨대를 使用할 수 없고, 便宜店과 製菓店에서도 비닐封套 使用이 禁止된다. 大規模 店鋪에서 提供하는 雨傘 비닐, 競技場에서 많이 쓰는 플라스틱 應援用品도 退出된다. 또 이르면 來年 下半期부터는 食堂과 카페에서 플라스틱 材質의 一回用 물티슈 使用도 禁止되고, 2024年부터는 大型마트에서 軸·水産物 包裝用 랩으로 쓰는 폴리염화비닐(PVC) 材質의 包裝材도 쓸 수 없다.

그러나 이 計劃이 제때 實現될지에 對해 洪 所長은 懷疑感이 든다고 한다. 그는 “2年 前 豫告된 一回用 컵 保證金 制度도 미뤘는데, 앞으로 이런 規制도 業主들이 反撥하면 다 미뤄줄 것이냐”고 反問했다. “一回用品 使用 規制로 인한 反撥은 나올 수밖에 없지만 이를 甘受하고서라도 (쓰레기를) 줄여야 한다는 政府의 强力한 意志가 있어야 한다”는 意見도 덧붙였다.

○前 地球의 目標 ‘쓰레기 減縮’
포장재 없이 사용할 수 있는 고체 비누 형태의 샴푸 바(bar). 안철민 기자 acm08@donga.com
包裝材 없이 使用할 수 있는 固體 비누 形態의 샴푸 바(bar). 안철민 記者 acm08@donga.com
國際社會에서 쓰레기를 줄이기 위한 움직임은 갈수록 빨라지고 强度도 높아지고 있다. 洪 所長은 “여기에 발맞추려면 韓國도 轉換 速度를 늦춰서는 안 된다”고 指摘한다.

3月 케냐 나이로비에서 열린 第5次 유엔環境總會(UNEA)에서는 ‘플라스틱 汚染을 끝내기 위한 法的 拘束力 있는 國際協約(End plastic pollution: Towards an international legally binding instrument)’ 決議案이 通過됐다. 韓國 政府도 參與한 이 決議案에는 2024年까지 플라스틱 生産부터 使用, 廢棄에 이르는 全 過程을 規制하는 協約을 만든다는 內容이 담겼다. 國際社會가 플라스틱, 特히 一回用 플라스틱 問題에 對해 얼마나 深刻하게 받아들이고 있는지를 알 수 있다.

유럽聯合(EU)은 더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플라스틱 包裝材 再活用率을 2025年까지 50%로 끌어올리는 ‘플라스틱 戰略(Plastic Strategy)’을 2018年 發表했고 지난해부터는 再活用이 안 되는 플라스틱 廢棄物에 別途의 플라스틱 稅(tax)를 賦課하고 있다. 또 플라스틱 種類別로 具體的인 減縮 目標와 戰略 課題들을 세우고 있다. 예컨대 비닐은 製品들의 材質 構造를 統一해 再活用이 잘되게 만들고, 再活用率을 높일 수 있는 技術에 政府와 企業이 集中 投資하는 式이다. 洪 所長은 “이와 같은 國際社會 흐름을 우리나라 企業들이 모를 理 없다”며 “市場에서 뒤처지지 않으려면 現在의 一回用 包裝材와 一回用品 爲主의 産業 構造를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쓰레기 없는 社會’가 되려면
플라스틱 수세미 대신 사용하는 천연 수세미. 안철민 기자 acm08@donga.com
플라스틱 수세미 代身 使用하는 天然 수세미. 안철민 記者 acm08@donga.com
쓰레기 없는 社會. 이를 위해서는 크게 두 가지 變化가 必要하다고 했다. “于先 쓰레기 自體를 줄여야죠.” 그는 一回用 包裝材를 없애고, 化粧品과 稅制 等 持續的으로 使用하는 製品들은 必要한 만큼 덜어 살 수 있는 環境을 만들자고 했다. “企業이 義務的으로 吏筆 製品을 만들고, 大型마트가 義務的으로 리필 코너, 包裝材 없는 製品 코너를 만든다면 어떻게 될까요? 不必要한 包裝材가 확 줄고 日常에서 버려지는 쓰레기도 사라지겠죠?”

알맹商店과 같은 제로 웨이스트 가게들이 마을마다 퍼졌으면 좋겠다는 바람도 있다. 2年 前 서울 마포구에 처음 門을 연 알맹商店은 包裝材 없는 商品, 리필 可能한 商品만 팔아도 成功할 수 있다는 點을 보여주며 話題를 모으고 있다. 지난해엔 서울驛에 2號店을 냈고, 最近엔 제로 웨이스트 가게 運營 指針書 格인 ‘알맹이만 팔아요, 알맹商店’도 出刊했다. 洪 所長은 제로 웨이스트 가게들이 消費者들에게 牛乳팩과 洋파網, 실리콘 等 같은 것끼리 모으면 再活用이 可能한 것들을 받아 모은다는 點에 注目한다. “제로 웨이스트 가게를 손쉽게 利用하면서 ‘제대로 모으면 再活用할 수 있구나’ ‘每番 새로 사던 化粧品도 리필해서 살 수 있구나’란 認識이 생기면 社會 雰圍氣가 바뀔 겁니다.”

샴푸·로션 등을 리필하는 코너. 안철민 기자 acm08@donga.com
샴푸·로션 等을 리필하는 코너. 안철민 記者 acm08@donga.com
洪 所長이 생각하는 두 番째 變化는 多回用품 使用으로 再活用(recycle)李 아닌 再使用(reuse)의 範圍를 擴大하는 것이다. 最近 一部 地域이나 施設에서도 飮食을 一回用氣가 아닌 多回用器에 담아 配達하고, 一回用 컵 代身 多回用 컵을 使用하는 境遇가 늘고 있다. 그러나 回收하는 데 別途의 費用이 들고 不便하다는 어려움이 있다.

“一回用 컵 保證金 制度가 多回用器 擴散의 出發線이 될 수 있어요.” 洪 所長은 컵 保證金 制度가 實現되면 全國에 保證金 運用 시스템과 返納·收去 인프라가 마련된다는 點을 强調했다. “이 인프라를 活用하되 一回用 컵을 多回用器로 바꾸는 걸 생각해보세요. 빵집에서 파는 샌드위치도 플라스틱 勇氣가 아니라 多回用器에 담아 保證金을 붙여 팔고, 손쉽게 返納할 수 있지 않겠어요? 一回用 컵 保證金 制度는 우리 社會가 쓰레기 없는 社會로 轉換하는 테스트베드가 될 겁니다.”



강은지 記者 kej09@donga.com
#쓰레기 博士 #홍수열 #資源循環社會經濟硏究所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