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個月 간 만난 移住民 100名…共存은 이미 現實이다[히어로콘텐츠/공존]|동아일보

4個月 간 만난 移住民 100名…共存은 이미 現實이다[히어로콘텐츠/공존]

  • 東亞日報
  • 入力 2022年 1月 22日 11時 00分


코멘트

[共存:그들과 우리가 되려면]

안양 YMCA에서 사진 동영상 편집 강의를 하고 있는 현식 씨.
安養 YMCA에서 寫眞 動映像 編輯 講義를 하고 있는 現識 氏.
2007年 父母님을 따라 필리핀에서 韓國에 온 基디年 氏(25)는 京畿 안산시 安山원곡초등학교 出身이다. 5學年으로 入學했을 當時 外國人 學生은 한 班에 한두 名 程度였다. 그는 “外國人 學生이 적은데도 二重言語 先生님이 계시고, 別途의 韓國語 授業이 있었다”며 “德分에 힘들거나 適應이 어렵다고 느끼지는 않았다”고 했다.

基디年 氏는 관산중學校를 거쳐 特性化高人 安山 國際비즈니스高等學校에 進學했다. 中學校 때는 漢字를 잘 몰라 國事나 文學 科目에서 애를 먹었지만 關心 있는 科目 爲主로 授業을 들을 수 있는 特性化高에서 自信感을 찾았다. 高等學校 2學年 때는 學生會長에 當選됐다. 學校 最初의 外國人 會長이었다.

그는 現在 韓國외국어대 글로벌비즈니스·테크놀로지 學部를 다니고 있다. 빅데이터를 利用한 마케팅에 關心이 많다. “國內 企業에서 經驗을 쌓은 뒤 언젠가는 필리핀에서 韓國 製品을 紹介하는 이커머스 事業을 해보고 싶다”고도 했다.

記者가 “韓國에 살며 힘든 일은 없었느냐”고 물었을 때 그는 “가끔 길 가다 ‘너희 나라로 돌아가’ 같은 말을 듣긴 하지만 어느 나라에나 조금씩 差別은 있지 않느냐”며 “모르는 사람이 하는 말에 別로 傷處받지 않는다”고 했다. 오히려 “學校를 다닐 때 決定的인 瞬間마다 저를 도와주는 先生님들이 계셨다”며 “나중에 就業에 成功하면 찾아뵙고 싶다”고 했다. 그에게 韓國은 배우고 成長할 機會를 주는 나라였다.

‘공존’ 시리즈를 준비하며 어려웠던 것 중 하나가 사진 취재였다. 특히 아이들의 경우 학교와 부모님에게 모두 동의를 구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오래 걸렸다. 안산원곡초 4학년 김세경 양은 부모님도 동의해주셨지만 지면 사정상 별도로 사진을 싣지 못한 취재원 중
 한 명이다. 한국인 아버지와 중국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세경이는 원곡초 테니스부 소속으로, 프로선수를 꿈꾸고 있다. 집은 
시흥이지만 테니스부 때문에 안산까지 매일 30분씩 버스를 타고 등교한다.
‘共存’ 시리즈를 準備하며 어려웠던 것 中 하나가 寫眞 取材였다. 特히 아이들의 境遇 學校와 父母님에게 모두 同意를 求해야 하기 때문에 時間이 오래 걸렸다. 安山原曲初 4學年 김세경 量은 父母님도 同意해주셨지만 紙面 事情上 別途로 寫眞을 싣지 못한 取材源 中 한 名이다. 韓國人 아버지와 中國人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세驚異는 原曲初 테니스部 所屬으로, 프로選手를 꿈꾸고 있다. 집은 始興이지만 테니스部 때문에 安山까지 每日 30分씩 버스를 타고 登校한다.
東亞日報 히어로콘텐츠팀이 지난해 8月부터 4個月假量 取材한 ‘共存: 그들과 우리가 되려면’ 시리즈가 21日 5回 ‘우리도 어딘가에선 그들이다’로 마무리됐다. 韓國에서 外國人 住民 數가 가장 많은 競技 안산시를 들여다보면 人口絶壁 時代를 맞은 韓國의 未來가 보일 거라는 생각에서 出發한 시리즈였다.

現在 韓國에서 살고 있는 移住民과, 그들과 共存하는 韓國人의 狀況을 最大限 그대로 담기 위해 取材記者 4名은 4個月 間 거의 每日 安山을 오갔다. 特히 取材源을 保護해야 하는 境遇를 除外하면 얼굴과 實名을 公開할 수 있는 이들을 取材하자는 目標를 세웠다. 얼굴, 實名 公開가 移住民과의 共存이 儼然히 現實로 닥쳤다는 事實을 讀者들이 皮膚로 느끼도록 하는데 도움이 될 거라고 判斷했다.

直接 만나 얼굴을 마주하고 인터뷰를 한 사람만 100名 程度다. 電話로만 이야기를 듣거나 暫時 스친 取材源은 더 많다. 德分에 基디年 氏처럼 記事에 담지 못한 取材源이 많다. 生業이 바쁜 탓에 途中에 連絡이 끊기거나, 얼굴과 이름을 公開한 채 個人事까지 드러내야 한다는 負擔感에 最終的으로 取材에 應하지 않은 이들도 있었다. 그럼에도 그들 모두 記事의 趣旨에 共感해 스스럼없이 自身의 이야기를 해줬다.

記者들이 만난 移住民들은 大部分 밝고 肯定的이었다. 힘들었던 記憶을 털어놓을 때도 淡淡했다. 바뀌지 않는 法과 制度에 답답해 할 때는 있어도, 한결같이 “韓國에서 좋은 사람들을 많이 만났다”고 했다.

시리즈 報道 後 온라인에서 쏟아진 讀者들의 共感과 應援에서 그들이 그렇게 느낄 수 있었던 理由를 確認했다. 勿論 “自國民이 優先이어야 한다”는 反應도 있었지만 移住民과의 共存이 반드시 必要하고, 또 當然한 일이라고 생각하는 讀者가 많았다.

한 讀者는 이메일을 보내 “初等學校 時節 駐在員인 아버지를 따라 海外에서 살았는데, 差別이 없진 않았지만 正直한 努力을 기울이면 個人의 潛在力을 社會에서 펼칠 수 있다고 敎育 받았다”고 했다. 이어 “移住民이라고 差別한다면 그 兒童이 韓國社會에 寄與할 機會를 빼앗는 것”이라며 “只今처럼 出生率이 急減하는 狀況에 移住政策에 對한 公論化는 반드시 必要하다”고 말했다.

統計廳이 2020年 發表한 ‘내·외국인 人口變化 展望: 2020~2040’을 보면 2040年까지 本人과 父母 모두 韓國에서 태어난 內國人 數는 2020年 4956萬 名에서 2040年 4734萬 名으로 줄어든다. 하지만 이주배驚人句(歸化者와 移民者 2歲, 外國人)는 2020年 222萬 名에서 2040年 352萬 名으로 늘어난다. 全體 人口 中 6.9%를 차지하게 된다.

사람들의 마음과 생각도, 社會經濟的 狀況도, 이미 共存을 向해 나아가고 있다. ‘共存’ 시리즈와 그에 따른 社會的 反響은 이 事實을 다시 한番 상기시켰다고 생각한다. 記事에 登場한 이리나, 제임스, 주디, 조나단, 아딜벡, 이고리, 유루티츠, 그리고 게오르기, 로자, 옥사나, 어티겅도야, 자야, 大聲, 송이, 에코디르미야띠, 現識, 샤니, 아이라 氏, 만났지만 技士에 싣지 못한 基디年 氏까지. 2040年에 이들은 어떤 삶을 살고 있을까. 法과 制度가 그들과, 그리고 韓國이 ‘우리’가 될 수 있도록 든든하게 뒷받침해주길 바란다.


이새샘 記者 iamsam@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