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투리로 익살 번뜩… 그림으로 손主事랑… ‘어르신 藝術’ 활짝|東亞日報

사투리로 익살 번뜩… 그림으로 손主事랑… ‘어르신 藝術’ 활짝

  • 東亞日報
  • 入力 2021年 10月 13日 03時 00分


코멘트

老人對象 文化藝術敎育 活氣

경북 예천 ‘노세노세 캥마쿵쿵노세’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예천 토박이 노인들이 풍물을 치며 자신들이 노랫말을 붙인 노동요를 부르고 있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제공
慶北 醴泉 ‘노세노세 캥마쿵쿵노세’ 프로그램에 參與하는 醴泉 土박이 老人들이 風物을 치며 自身들이 노랫말을 붙인 勞動謠를 부르고 있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提供
‘들에가 일하고 집에 왔디만 밥 차리라 카네 / 난 아니라고 봐 / … 화나서 半말 했디만 媤어머이가 火를 내네 / 난 아니라고 봐 / … 男子는 하늘이고 女子는 땅이라꼬 / 난 아니라고 봐 …’

노래 ‘난 아니라고 봐’(가제)의 歌詞 一部다. 慶北 醴泉 70代 할머니들이 살면서 겪은 姑婦葛藤, 男女差別 等을 素材로 지은 鄕土 民謠다. 사투리를 그대로 써 生動感 넘치고, ‘난 아니라고 봐’라는 後斂句에는 유머가 감돈다.

이들은 慶北文化藝術敎育支援센터가 主管하고 社團法人 國家無形文化財 醴泉通名農謠保存會가 運營하는 프로그램 ‘노세노세 캥마쿵쿵노세’에 參與하고 있다. 文化體育觀光部와 地方自治團體가 함께 進行하는 地域特性化 文化藝術敎育 支援事業의 하나다.

韓國文化藝術敎育振興院은 新種 코로나바이러스 感染症(코로나19)으로 더 疏外되는 老人世代가 文化藝術 作品으로 日常을 表現하는 일을 支援하고 있다. 이를 통해 共同體와 疏通하고 地域社會와 連結되도록 한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한국노인종합복지관협회가 主管하고 競技 성남시 판교老人綜合福祉館이 運營하는 ‘함께 사는 洞네만들기 同苦同樂(同苦同樂)’은 文學을 基盤으로 한다. 參與 老人 10餘 名은 地域 住民을 對象으로 日常 素材에 對해 設問調査를 하고 인터뷰를 해보도록 敎育받는다. 福祉館은 非對面 映像채팅 줌(zoom)을 통해 參與者 對話 서클을 만들어 雙方向 疏通한다. 福祉館 이주현 藝術講師는 “一方的 敎育이 아니라 講師들이 어르신의 삶의 智慧를 배우는 時間”이라며 “어르신들은 周邊 사람을 인터뷰하고 設問紙를 만드는 過程을 통해 共同體에 必要한 어른, 이웃으로서의 役割을 苦悶하게 된다”고 말했다.

전북 김제 ‘오늘은 그냥 그림 안 그릴려고’ 프로그램에서 활동하는 노인들이 삶의 한 조각을 그림으로 표현해내고 있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제공
全北 金堤 ‘오늘은 그냥 그림 안 그릴려고’ 프로그램에서 活動하는 老人들이 삶의 한 조각을 그림으로 表現해내고 있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提供
全北文化藝術敎育支援센터가 主管하고 ‘이랑고랑’李 運營하는 ‘오늘은 그냥 그림 안 그릴려고’는 全北 金堤의 70, 80代들이 첫사랑 追憶, 出産 記憶 等 自身의 삶을 그려서 刺繡 製品이나 노트, 달曆 等으로 만든다. 지난해부터 每週 1回, 3時間씩 할머니 20名 안팎이 老人亭에 나와서 황유진 講師를 비롯한 20, 30代 젊은이들에게서 그림을 배운다.

처음에는 異常한 宗敎團體는 아닌지, 뭔가 팔려는 ‘酬酌’은 아닌지 疑心하던 老人들은 마을 壁畫를 함께 그리면서 緊密해졌다. 周邊에서 볼 수 있는 農作物 그리기부터 始作해 김장 準備, 出産 等 日常을 表現하는 그림을 그린다. 지난해 參與 老人 한 사람이 世上을 떠난 일을 契機로 이달 中 ‘影幀(影幀) 映像’을 찍기로 했다.

黃 講師는 “달曆이나 머그컵 等을 만들어 名節에 내려온 子息, 손주에게 자랑하고 膳物하면서 뿌듯해하신다”고 말했다. 그는 “小小한 재밋거리, 日常의 작은 變化만으로도 어르신 삶이 조금씩 變한다”며 “할머니들에게서 받는 配慮와 사랑이 더 많다”고 말했다.

‘노세노세 캥마쿵쿵노세’는 醴泉 老人들의 삶을 사투리 等으로 表現해 鄕土 民謠나 勞動謠로 만든다. 通名農謠 傳授者인 안성배 氏 等이 가르친다. 올 5月부터 一週日에 한 番, 大部分 70代인 15名 안팎이 마을會館에서 배운다. 이들의 人生事가 모티브가 되고 表現도 日常 言語로 한다. 어릴 적 記憶에만 어렴풋이 남은 民謠와 傳統놀이를 되살린 셈이다. 安 氏는 “노래는 특별한 技術이 必要하지도 않고 누구나 할 수 있기 때문에 스스로 즐겁게 부를 수 있는 놀잇감으로 再탄생시키고 싶었다”고 말했다.

노랫말은 이야기를 통해 만들어진다. 마음을 表現한 便紙를 써보고 追憶이 담긴 寫眞이나 옷 같은 小品들을 通해 다양한 主題가 形成된다. ‘아이 셋 데리고 親庭 가다가 하나 잃어버렸다’ 같은 追憶이 쌓인다. 授業이라기보다는 수다 떨다 오는 느낌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노래 5曲은 이달 中旬 音源으로 나온다. 歌詞와 簡單한 멜로디는 어르신들이 構成하고 추임새 合唱 같은 編曲을 講師들이 追加했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關係者는 “各 地自體와 廣域文化藝術敎育支援센터, 地域福祉館 等과 함께 老人이 主體가 돼 文化藝術敎育을 누릴 수 있도록 緊密하게 協力하고 있다”고 말했다.


민동용 記者 mindy@donga.com
#어르신 藝術 #老人文化藝術敎育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