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듀칼럼]總長까지 발로 뛰는 地方大 充員 競爭|東亞日報

[에듀칼럼]總長까지 발로 뛰는 地方大 充員 競爭

  • 東亞日報
  • 入力 2021年 9月 30日 03時 00分


코멘트
이종승 기자
이종승 記者
14日 마감한 2022學年度 大學入試 隨時 募集 結果 首都圈大學과 地方大學의 競爭率 隔差가 昨年보다 더 벌어져 來年에는 올해보다 더한 地方大 未達 事態가 나올 것으로 豫測된다. 서울圈 隨試 競爭率은 15.9 對 1 이었던 反面 地方圈 競爭率은 6 對 1로 昨年의 9 對 1 隔差가 9.9 對 1로 커진 것이다. 昨年 4年制 一般大學의 地方大 未充員은 1萬5423名으로 首都圈 1000名에 비해 壓倒的으로 많았다.

昨年 地方大學의 大規模 未達은 △묻지마식 首都圈大學 支援 △地域일자리 不在 △進路敎育 不在 等이 複合的으로 어우러진 結果다. 올해는 高3 學生數가 前年에 비해 1萬4000餘 名 增加했지만 2022學年度 隨試 競爭率 上位 30位 안에 든 地方大學은 경북대 부산대 乙地帶 等 3個에 그칠 程度로 地方大 忌避 現象은 深化됐다.

地方大學은 未達 事態를 避하기 위해 온갖 努力을 다했다. 特히 大規模 未達을 經驗한 大學들은 死生決斷의 覺悟로 나섰다. 全國 最多인 780餘 名의 未充員이 發生했던 대구대는 新世代가 選好하는 學科 新設, 學部 統合 選拔, 野球場 大入情報博覽會 開催 等 안간힘을 썼다. 昨年 200餘 名의 未充員이 發生했던 동명대는 總長이 直接 발로 뛰었다. 전호환 總長은 “來年에 新設되는 無學年, 舞鶴點, 무티칭 等 3無(無)가 基本인 두잉(Do-ing)大學의 價値를 널리 알려 支援率을 올리는 戰略을 擇했다”면서 “釜蔚慶 中心으로 76個 高校를 訪問했고, 줌으로 全國 133個 高校 164名의 敎師들과 만났다”고 했다. 前 總長은 “90名을 募集하는 두잉(Do-ing)大學에 全國의 93個 高校에서 157名이 支援한 것은 새로운 大學 敎育에 對한 熱望으로 볼 수 있어 革新의 重要性을 알았다”고 했다. 동명대의 隨試 競爭率은 5.05 對 1로 昨年보다 0.34 對 1이 올랐다. 710名이 未達했던 圓光大度 박맹수 總長이 高校 21個를 訪問했으며 ‘1敎授 1高校’ 訪問 運動도 벌였다. 隨試 競爭率은 4.46 對 1로 昨年에 비해 小幅 上昇했다. 地方大學들은 競爭率이 올랐다고 해서 맘을 놓을 수 있는 狀況이 아니다. 首都圈 大學으로의 連鎖 移動이 結局 地方大의 未達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大學의 努力에 地自體도 힘을 보태야 未充員 事態를 解決할 수 있다는 指摘이 많다. 大學과 地自體의 關係는 脣亡齒寒 以上이다.

韓國銀行 江陵本部는 2019年 大學生 1名이 584萬 원의 消費支出을 통해 1人當 365萬 원의 所得을 創出한다고 밝힌 바 있다. 地域에서 大學은 이미 經濟的 價値를 넘어섰다. 大學이 없어진 南原(西南大), 東海(한중대), 襄陽(가톨릭 관동대)은 大學의 價値를 切感하고 있다. 地域消滅을 막을 수 있는 有力한 方法 中 하나는 地域大學을 成長 動力으로 育成해 人口를 모으고 일자리를 創出하는 것이다. 地自體는 먼저 大學에 必要한 것이 무엇인지 把握해 도와야 한다. 몇 달 뒤 닥칠 結果를 보고 對策을 세울 것이 아니라 只今이라도 大學과 머리를 맞대고 入學, 就業, 井州 與件 改善 等에 나서야 한다. 大學이 살아야 地域도 산다.


이종승 記者 urisesang@donga.com
#에듀플러스 #에듀칼럼 #地方大 #充員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