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李在明 “2票差로 떨어질수도…집안 얘기 그만하면 좋겠다”|동아일보

李在明 “2票差로 떨어질수도…집안 얘기 그만하면 좋겠다”

  • 東亞닷컴
  • 入力 2022年 1月 21日 20時 24分


코멘트
사진=뉴시스
寫眞=뉴시스
더불어民主黨 李在明 大選候補가 辱說 論難으로 支持率이 停滯된 後 市民들과 만나 “選擧는 여러분 손에 달렸다”고 말하며 “여러분들이 저에 對해 周邊 분들에게 잘 말해달라”며 支持層 結集을 呼訴했다.

李 候補는 21日 午後 서울 麻浦區 연남동 거리를 찾아 ‘걸어서 民心 속으로’ 거리 걷기에서 市民들을 만나 “李在明이 大統領이 되느냐, 이 나라에 未來 希望이 있느냐는 바로 여러분의 손에 달렸다”며 “우리 國民 손에 달렸다”고 强調했다.

그는 “이番 大選은 5000票 差異로 當落이 決定될 수도 있고, 2票 差異로 떨어질 수도 있다”며 “여기 계신 분이라도 周邊에 왜 有能한 사람이 大統領이 돼야 하고, 왜 權力을 自己 家族이나 側近이 아닌 國民만을 위해 쓰는 사람이 돼야 하는지 說明해달라”고 呼訴했다.

最近 ‘辱說 錄取錄’ 公開로 支持率이 떨어지고 있는 이 候補는 “한 분 한 분이 하루에 知人 1名에게만 ‘엄마 때문에 그랬다더라’, ‘집안 얘기 좀 그만하면 좋겠다’, ‘李在明 보니까 凶惡한 사람이 아니더라’고 傳해달라”고 要請했다.

이를 들은 몇몇 支持者들은 “(李在明은) 孝子다”고 和答하기도 했다.

李 候補는 “이番 大選에서 어떤 選擇을 하냐에 따라 풍요롭고 機會 많은 幸福한 未來를 設計하게 될지, 아니면 復讐나 하고 뒤나 캐고 占쟁이 비슷한 사람한테 點 볼 可能性이 많게 될지가 決定된다”고 巫俗人의 國民의힘 選對委 活動 論難을 꼬집었다.

李 候補는 國民의힘 尹錫悅 候補의 ‘先制打擊’ 發言과 關聯해 “武力 出動의 可能性을 줄이는 게 政治 指導者가 할 일”이라며 “軍事 專門家라면 할 수 있는 말이지만, 指導者가 하면 國家 關係가 망가지고 對決이 激化된다”고 批判했다.

앞서 尹 候補는 17日 北韓의 短距離 미사일 發射에 對해 “國民을 北韓의 核과 미사일 威脅으로부터 지키기 爲해 必要한 모든 措置를 講究하겠다”며 “킬체인(Kill-chain)이라고 불리는 先制打擊 能力을 確保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關聯해 李 候補는 “便을 가르고 國民을 고통스럽게 하는, 싸우는 原因을 除去해서 같이 살게 하는 統合이 政治가 아닌가”라며 “틈만 나면 사람들 싸움을 붙여서 힘센 便, 내 便을 만들고 政治的 利益을 取하는 것은 政治下는 게 아니라 敵對行爲를 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國民의힘을 겨냥해 “國民께 거짓말하고, 國民이 맡긴 權限으로 私慾을 채우고 國民에게 不利益을 줬다”며 “兩極化로 低成長이 쌓여 靑年들이 싸워 안타까운 狀況인데 男女를 갈라서 相對方을 헐뜯게 해서 票를 얻으면 좋냐, 그렇게 票를 얻어서 나라를 똑바로 運營하겠느냐”며 批判했다.

李 候補는 安保에 對해 言及하는 過程에서 李承晩 前 大統領을 '그 兩班'으로 呼稱하며 "農地改革 딱 한 個만 認定한다"면서 “6·25 때 漢江 다리를 끊어버렸고, 脫出 못 한 서울 市民이 賦役 行爲를 했다고 잡아다 射殺했다. 이게 政治 指導者가 할 일이냐”고 목소리를 높이기도 했다.

송영민 東亞닷컴 記者 mindy5941@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오늘의 推薦映像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