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별 헤다 잠들고 싶다[광화문에서/김선미]|동아일보

별 헤다 잠들고 싶다[광화문에서/김선미]

  • 東亞日報
  • 入力 2022年 7月 30日 03時 00分


코멘트
김선미 산업1부 차장
김선미 産業1部 次長
“어디에 가면 쏟아지는 별을 볼 수 있을까요.”

올해 初 페이스북에 이런 質問을 남겼다. 別 보기가 꿈이라고 하자 親舊들이 誠心껏 ‘별 聖地’들을 推薦했다. 하지만 어디든 自動車 불빛이 몰리면 虛事라고 했다. 最近 제임스웹 宇宙 望遠鏡이 보여준 135億 年 前 별들의 寫眞을 보다가 다시 그 꿈이 꿈틀댔다. “제 꿈은요”라고 말하자, 어느 天文 專門家가 慶北 營養반딧불이天文臺를 알려줬다. “南韓에서 가장 어두운 곳이라 別 보기 좋을 겁니다. 다만 달 없는 그믐, 山神靈 感泣下士 맑은 날 주셔야….”

그믐이 며칠 남았고, 구름도 豫定돼 있었지만 職場人은 週末을 노릴 수밖에 없다. 單, 期待가 크면 失望도 큰 法. ‘眞짜로 별을 본다면 그건 奇跡’이라고 마음먹었다.

서울에서부터 200km 넘게 달려간 天文臺는 國際밤하늘協會(IDA)가 아시아 最初로 ‘國際밤하늘保護公園’으로 指定한 營養반딧불이生態公園에 있었다. 빛 公害가 없어 온통 漆黑이었다. 그런데 眞짜로 奇跡이 일어났다. 구름이 暫時 걷히더니 맨눈으로 볼 수 있는 별들이 四方에 총총. 크고 작은 별들은 저마다의 方式으로 빛났다.

代表的인 科學 베스트셀러 ‘코스모스’의 著者인 美國의 天文學者 칼 세이건(1934∼1996)과 그의 아내 앤 드리앤(73)은 宇宙的 觀點에서 보면 人間은 限없이 작은 存在라고 했다. 으스댈 것도, 기죽을 것도 없다는 얘기다. 그들이 코스모스를 共同 著述하던 1980年, 多情하게 마주 보며 걷던 모습을 찍은 寫眞을 보면 天生 靈魂의 동지다. 세이건은 冊의 序文에 썼다. ‘廣大한 宇宙와 無限한 時間 속에서 行星 하나와 刹那의 瞬間을 앤과 共有함을 기뻐하며.’

둘을 맺어준 것은 宇宙였다. 1974年 映畫監督 노라 에프론이 마련한 파티에서 처음 만난 그들은 1977年 宇宙探査船 보이저號의 골든디스크 作業을 함께 했다. 地球의 소리를 담아 或是 存在할지 모르는 外界 知的 生命體에 보내겠다는 세이건의 想像力을 드리앤이 具現했다. 錄音하기 가장 어려웠다는 人間의 키스 소리까지도…. 드리앤은 말했다. “우리가 사랑했던 理由는 우리의 靈魂과 마음, 好奇心이 正確히 같은 곳에 있었기 때문이에요.”

그들의 人類愛는 偉大한 遺産으로 繼承되고 있다. 세이건은 떠났지만 드리앤은 科學 著述과 다큐멘터리 製作을 통해 科學의 大衆化를 이끈다. 코스모스 出刊 40年 만인 2020年 續篇으로 내놓은 ‘코스모스: 可能한 世界들’에서는 未來의 災殃을 警告하는 同時에 希望을 말한다. “아직 늦지 않았다. 政治人이 아닌 科學者의 長期的 觀點으로 ‘다른 未來’를 準備해야 한다.”

디지털 畵面에서 눈을 떼어 별을 보는 것은 색다른 經驗이었다. 디지털 世上은 모든 知識을 담고 있는 것 같지만 實은 우리를 얼마나 偏狹한 視角에 가두던가. 어느 날 문득 한숨이 깊어진다면 별을 만나러 가시기를. 같은 곳을 바라보는 靈魂의 同志별을 찾을 수도 있다. 무엇보다 세이건과 드리앤은 한 사람이 健全한 市民으로 成熟하려면 效率的인 科學 敎育이 꼭 必要하다고 했다. 쏟아지는 별을 헤다 잠든다면 그보다 더 좋을 수 없겠다.


김선미 産業1部 次長 kimsunmi@donga.com
#별 #코스모스 #디지털世上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