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江바닥뷰’를 남긴 世宗洑 開放과 解體 決定[光化門에서/유성열]|동아일보

‘江바닥뷰’를 남긴 世宗洑 開放과 解體 決定[光化門에서/유성열]

  • 東亞日報
  • 入力 2022年 6月 18日 03時 00分


코멘트
3月 24日 世宗市에 ‘錦江步行橋’라는 랜드마크가 建設됐다. 1446m의 둥근 模樣으로 國內에서 가장 긴 步行專用 橋梁이다. 朝鮮의 4代 임금 세종대왕과 世宗市 6個 生活圈을 形象化해 橋梁 지름을 460m로 設計했고, 다리 길이는 한글이 頒布된 1446年을 反映한다는 ‘스토리’도 입혔다. 國費 1116億 원이 投入된 公社는 3年 6個月이나 걸렸다.

錦江步行橋는 금세 핫 플레이스가 됐다. 시원한 ‘리버뷰’를 鑑賞할 수 있다는 消息에 開場 1週日 만에 10萬 名이 다녀갔고, 華麗한 照明이 불을 밝히는 夜間에는 認證샷을 남기려는 市民들로 붐비고 있다.

그러나 한 世宗市民은 記者에게 “서울의 ‘漢江뷰’ 못지않은 ‘錦江뷰’가 펼쳐진다고 해서 가봤는데, ‘江바닥뷰’가 甚했다”고 아쉬워했다. 정부세종청사에서 일하는 한 高位 官僚도 “낮이 아니라 밤에 가야 한다”고 寸評했다. 夜景이 華麗해 밤에 가는 게 더 좋다는 理由와 함께 “낮에는 江바닥이 너무 잘 보이기 때문”이라고 했다.

莫大한 稅金으로 지은 錦江步行橋가 ‘江바닥뷰’라는 汚名을 뒤집어쓴 原因으로 隣近에 있는 世宗洑가 指目된다. 文在寅 政府는 2017年 11月 世宗洑 水門을 開放했다. 以後 錦江 水位가 낮아졌고, 最近 가뭄까지 이어지며 江바닥이 모습을 드러냈다. 이 때문에 世宗市民들 사이에선 “世宗洑의 水門을 닫아 數量을 늘려야 한다”는 要求가 거세지고 있다.

文在寅 政府는 4大江의 自然性을 回復해 水質을 改善해야 한다는 論理로 李明博 政府의 4大江 事業을 뒤집었다. 지난해 1月 世宗洑와 榮山江 竹山보는 全面 解體, 錦江 公州洑는 部分 解體, 錦江 百濟洑와 榮山江 승촌보는 常時 開放하기로 決定했다. 다만 住民 反撥을 考慮해 解體 時期를 定하지는 않았다.

問題는 世宗洑가 노무현 政府 時節인 2006年 行政中心複合都市 建設 計劃을 세울 때부터 都市基盤施設로 計劃됐다는 點이다. 幅 1km 以上의 韓江이 貫通하는 서울처럼 世宗도 世界的 水邊都市로 만들겠다는 構想이었는데, 李明博 政府의 4大江 保와 패키지로 묶이면서 ‘全面 解體’라는 爆彈을 맞았다.

더구나 世宗洑는 錦江 水位가 높아지면 저절로 흘러넘치는 水中洑(水中洑)로 設計돼 一般 褓에 비해 環境에 미치는 影響이 적다는 意見이 많다. 더불어民主黨 所屬 이춘희 現 世宗市場조차 世宗洑 撤去 決定에 對한 立場을 明確히 밝히지 않아 왔고, 이해찬 前 議員도 민주당 黨 代表 時節 “時間을 두고 判斷하자”는 立場이었다. 이 市場은 2006年 行政中心複合都市建設廳長을 지내며 世宗洑 建設 計劃에 關與한 前歷도 있다.

이런 點을 綜合하면 文在寅 政府의 世宗洑 撤去 決定은 ‘MB 遺産’을 지우는 데 휩쓸린 政治的 決定이었다는 疑心을 지울 수가 없다. 尹錫悅 政府는 世宗洑의 存置와 再稼動을 積極 檢討 中이다. 민주당은 무턱대고 反對하기보다 盧武鉉 前 大統領이 世宗市를 만들었고, 노무현 政府가 世宗洑를 計劃했다는 事實을 잊지 않았으면 한다.

유성열 社會部次長 ryu@donga.com


#錦江步行橋 #世宗市 #리버뷰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