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웃픈 아이러니[이준식의 漢詩 한 수]〈144〉|東亞日報

웃픈 아이러니[이준식의 漢詩 한 수]〈144〉

  • 東亞日報
  • 入力 2022年 1月 21日 03時 00分


코멘트
巢窟 하나씩 獨차지한 여우와 쥐, 大路를 누비는 虎狼이와 毒蛇.

하늘이야 내려다보든 말든, 그저 땅 위를 깡그리 휩쓸고 있다.

오리처럼 살찐 管理는 볼록한 조롱박 形象, 물고기처럼 문드러진 百姓은 粥이 될 地境.

마구잡이로 거둬간들 누가 敢히 따지랴. 부질없이 淸白吏 讚歌(讚歌)만 떠올려 본다.

(狐鼠擅一窟, 虎蛇行九逵. 不論天有眼, 但管地無皮. 吏鶩肥如瓠, 民魚爛欲美. 交徵誰敢問, 空想素絲詩.)

―‘여우와 쥐(湖西·狐鼠)’ 洪自己(洪咨夔·1176∼1236)

苛斂誅求에 시달리는 百姓의 삶을 目睹한 詩人의 憤怒. 權力者에게 빌붙어 財物을 奪取해가는 여우와 쥐도 있고, 莫强한 權力을 휘두르며 大路를 闊步하는 虎狼이와 毒사도 있다. 末端 管理도, 高官大爵度 하늘 무서운 줄 모르고 날친다. 百姓은 魚粥처럼 문드러질 處地건만 反抗할 엄두조차 못 낸다. ‘부질없는 想像’임을 自認하면서도 詩人은 그 옛날의 淸白吏 讚歌를 되뇌어 본다. 英雄의 再登場에 거는 懇切한 期待 때문이리라.

市는 文人詩 特有의 婉曲함 代身 過激하리만치 露骨的이고 독한 比喩로 一貫한다. 現職 管理이면서도 滅亡 直前 南宋 朝廷의 腐敗를 거세게 批判했던 詩人, 그 바람에 宰相에서 末端職을 오가는 極端的 浮沈을 겪었지만 剛直한 氣槪만은 꺾이지 않았다. ‘湖西(狐鼠·여우와 쥐)’는 ‘城狐社鼠(城狐社鼠)’를 줄인 말. ‘城郭에 窟을 뚫고 사는 여우와 祠堂에 棲息하는 쥐’다. 權力者에게 빌붙은 小人輩를 比喩한 成語다. 저들은 根據地가 城郭과 祠堂이라 除去하기가 如干 어렵지 않다. 그 重要한 場所를 섣불리 손댔다가는 자칫 ‘빈대 잡으려다 草家三間 태운다’는 汚名을 덮어쓸 수도 있다는 憂慮 때문이었다. 歷史 속 ‘웃픈’ 아이러니다.

이준식 成均館大 名譽敎授
#웃픈 아이러니 #여우와 쥐 #虎狼이와 毒蛇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