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抒情詩로 變革期 歷史의 무게 견뎌낸 是認, 파스테르나크”[석영중 길 위에서 만난 文學]|東亞日報

“抒情詩로 變革期 歷史의 무게 견뎌낸 是認, 파스테르나크”[석영중 길 위에서 만난 文學]

  • 東亞日報
  • 入力 2021年 12月 3日 03時 00分


코멘트
석영중 고려대 노어노문학과 교수
석영중 高麗大 露語路文學科 敎授
《1948年 2月 23日 모스크바 綜合科學技術博物館 講堂에서 “西歐의 戰爭狂”을 打倒하고 蘇聯의 “平和와 民主主義”를 擁護하기 위한 詩 朗誦會가 열렸다. 行事에 動員된 스무 名의 詩人 中 한 사람을 除外한 全員이 客席을 向해 놓인 舞臺 위 椅子에 앉아서 司會者의 呼名을 기다렸다. 客席은 立錐의 餘地가 없었다. 첫 番째 順序인 알렉세이 수르코프가 政權 弘報用 自作詩를 朗誦하는 途中에 갑자기 客席에서 우레와 같은 拍手喝采가 쏟아져 나왔다. 自身의 人氣度를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던 수르코프는 어리둥절해서 周圍를 두리번거렸다. 아니나 다를까, 拍手는 뒤늦게 舞臺에 나타나 操心操心 自己 자리를 찾아가던 스무 番째 詩人을 向한 것이었다.》

抒情詩人의 小說 ‘닥터 지바고’

페레델키노의 기념관에 걸려 있는 파스테르나크의 데드 마스크. 석영중 교수 제공
페레델키노의 記念館에 걸려 있는 파스테르나크의 데드 마스크. 석영중 敎授 提供
그의 이름은 보리스 파스테르나크(Boris Pasternak·1890∼1960), 當代 最高의 詩人이자 1958年에 ‘닥터 지바고’로 노벨 文學賞 受賞者가 된 小說家다. 마침내 파스테르나크가 登場하여 戰爭狂 打倒와는 無關한 抒情詩를 暗誦하자 客席은 熱狂의 도가니가 되었다. 누군가가 갑자기 “66”이라고 외치자 客席 全體가 천둥이 치듯 발을 구르며 한목소리로 “66”을 외쳤다. 津땀을 줄줄 흘리던 司會者는 미친 듯이 鐘을 울려 休息을 宣言했다. 스탈린의 不可解한 變德이 아니었더라면―“그런 뜬구름 잡는 녀석은 그냥 내버려 둬”―파스테르나크는 煽動罪로 逮捕되어 嚴罰에 處해졌을 것이라는 게 衆論이다.

聽衆이 그토록 듣고 싶어 했던 “66”은 파스테르나크가 飜譯한 셰익스피어의 “소네트 66”을 가리킨다. “燦爛한 名譽가 엉뚱한 사람에게 주어지고 藝術이 權力 앞에서 벙어리가 되고 바보가 博士인 양 技術者를 統制하고 善한 捕虜가 惡한 敵將을 섬기는” 現實이 지긋지긋해서 차라리 죽어버렸으면 좋겠다는 內容이다. 파스테르나크는 政權과의 不和로 1937年 出版을 禁止당하자 飜譯에 專念했다. 飜譯은 當時 沈默을 强要當한 모든 文人들에게 糊口之策을 넘어 唯一한 疏通의 窓口였다. 파스테르나크는 1939年부터 1950年까지 셰익스피어 戱曲 8篇과 소네트를 飜譯했다.

鐵길-시골길, 歷史의 두 갈래길

파스테르나크는 셰익스피어 飜譯을 하는 동안 自身의 唯一한 長篇小說이 될 ‘닥터 지바고’를 構想했다. 戰爭과 볼셰비키 革命, 그리고 內戰으로 이어지는 大激變의 時期를 背景으로 詩人이자 醫師인 主人公 지바고의 波瀾萬丈한 삶을 그린 小說이다. 플롯의 核心인 지바고와 女主人公 라라의 運命的인 사랑은 歷史와 詩人의 責務에 對한 著者의 思索과 얽히고설키면서 壯大하면서도 深奧한 哲學的 敍事를 만들어낸다. 이 時期에 그가 따로 筆寫해 둔 셰익스피어의 ‘헨리 4歲’ 中 한 대목은 ‘닥터 지바고’ 讀書에 실마리를 提供한다. “사람의 一生에는 제各其 歷史가 담겨 있어서/지나간 時代의 特性을 描寫하고 있나이다.” 過去는 完全히 무너져 痕跡도 없이 사라져 버리고 未來는 한 치 앞도 豫測할 수 없는 時代에 詩人(文人, 知識人, 藝術家)은 무엇을 해야 하는가. 어떻게 “歌詞 狀態가 支配하는 現在”를 살아내야 하는가.

지바고에게 歷史는 두 가지 길로 나타난다. 鐵길과 시골길이다. 두 길 모두 苦難을 避할 수 없다. “숲을 꿰뚫고 있는 두 갈래의 길―鐵길과 시골길에는 기다란 소맷자락처럼 흔들리는 나뭇가지의 그림자가 드리워져 있었다.” 革命의 汽車는 뒤로 가는 法을 모른다. 數百萬, 數千萬의 사람을 태운 汽車는 휘몰아치는 눈보라를 뚫고 內戰으로 피투성이가 된 러시아의 鐵길을 달리고 또 달린다.

“歷史의 主役들을 疑心하라”

지바고는 人類를 뭉텅이로 실어 나르는 鐵길의 歷史에 등을 돌린다. “풀이 자라는 것을 볼 수 없듯이 歷史의 움직임도 눈으로 볼 수 없다.” 그래서 그는 歷史의 主役이라 불리는 사람들을 疑心한다. “그 누구도 歷史를 만들지 못한다. 行動派들, 외固執 狂信者와 날뛰는 天才들이 急造하는 것이 革命이다.” 그는 人生 改造를 외치는 사람들도 疑心한다. “人生 改造! 이런 소리를 예사롭게 말할 수 있는 것은 人生을 全혀 모르는 사람들뿐입니다.” 그는 “남들이 노래하는 데 맞춰 함께 노래 불러야 하고 外部에서 强要하는 觀念에 步調를 맞춰 살아가야 하는” 삶을 嫌惡하고 “하찮은 鑑賞과 機械的인 理論”에 絶望한다.

지바고가 걸어가는 길은 個個人이 멈추고 뒤돌아보고 넘어지고 다시 일어서서 걸어가는 시골길이다. 거기에는 제各其 다른 크기의 苦痛과 生命과 歡喜와 感動의 발자국이 찍혀 있다. 小說 곳곳에서 지바고의 눈에 捕捉되는 러시아 山河는 그 自體가 시다. “어려서부터 지바고는 숲속의 저녁놀을 좋아했다. 살아있는 靈魂이 그의 가슴속으로 흘러들어 몸을 꿰뚫고 어깻죽지에서 나래를 펴는 듯한 느낌이 들었다.” “그는 이렇게 津한 黑褐色의, 마치 녹아내리는 金덩이 같은 보리를 본 적이 없었다. 불길 없이 타고 있는 넓은 밭, 소리 없이 救援을 請하고 있는 드넓은 밭들이 차가운 寂寞에 잠겨 겨울빛이 감도는 하늘과 잇닿아 있었다.”

世上을 이렇게 바라보는 사람에게 삶은 깊은 沈默 속에서 끊임없이 스스로 生成하고 變化하고 새로워지는 하나의 神祕다. ‘닥터 지바고’의 마지막 場에 들어있는 지바고의 詩 24篇은 바로 이러한 삶을 證言함으로써 歷史에 그 발자국을 남긴다. 現實的으로는 無能하고 柔弱한 그가 살아있음의 슬픔과 기쁨에 關해 쓴 抒情詩들이야말로 “虛妄하고 지루한 雄辯”을 要求하는 時代에 對한 知識人의 조용하면서도 强力한 應答이다.

背信者가 된 노벨賞 受賞者

러시아 모스크바 근교에 있는 작가촌 페레델키노에는 보리스 파스테르나크의 기념관(왼쪽 사진)과 묘지가 있다. 혁명과 내전의 폭풍 속에서 서정시로 세상을 대한 그는 장편소설 ‘닥터 지바고’로 노벨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석영중 교수 제공
러시아 모스크바 近郊에 있는 作家村 페레델키노에는 보리스 파스테르나크의 記念館(왼쪽 寫眞)과 墓地가 있다. 革命과 內戰의 暴風 속에서 抒情詩로 世上을 對한 그는 長篇小說 ‘닥터 지바고’로 노벨賞 受賞者로 選定됐다. 석영중 敎授 提供
파스테르나크는 有名한 畫家인 아버지와 피아니스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나 音樂과 哲學을 工夫한 後 詩人의 길에 들어섰다. 反革命的으로 읽힐 素地가 多分한 ‘닥터 지바고’가 노벨賞 受賞作으로 選定되자 그에게는 曺國의 背信者란 烙印이 찍혔다. 鬪士와는 距離가 멀었던 그는 政府의 威脅에 屈服해 노벨賞 受賞을 拒否하고 얼마 後 世上을 下直했다. 그가 모스크바 近郊 作家村 페레델키노의 墓地에 묻힐 때 追慕客들은 흐느끼며 그의 詩 ‘햄릿’을 함께 朗誦했다. “하지만 演劇의 順序는 이미 定해진 것/終幕은 避할 길 없다/나는 혼자다, 世上엔 바리새인들만 득실거리고.” 그날, 天地에 라일락과 沙果나무 꽃잎이 눈보라처럼 휘날리던 날, 눈물 속에서 울려 퍼지던 ‘햄릿’은 抒情詩로 歷史의 무게를 견뎌낸 한 偉大한 詩人에게 바쳐진 無形의 記念碑였다.

석영중 高麗大 露語路文學科 敎授
#파스테르나크 #是認 #抒情詩 #變革期 歷史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