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體罰은 絶對 訓育이 아니다[현장에서/지민구]|동아일보

體罰은 絶對 訓育이 아니다[현장에서/지민구]

  • 東亞日報
  • 入力 2021年 2月 15日 03時 00分


코멘트
12일 오전 전북 전주시 덕진경찰서에서 생후 2주 된 친아들을 숨지게 한 혐의를 받는 부모가 호송차로 이동하고 있다. 전주=뉴시스
12日 午前 全北 全州市 德津警察署에서 生後 2週 된 親아들을 숨지게 한 嫌疑를 받는 父母가 護送車로 移動하고 있다. 全州=뉴시스
지민구 사회부 기자
지민구 社會部 記者
“身體的 體罰과 虐待에는 境界가 없어요. 아이를 向한 ‘物理的 暴力’은 어떤 例外도 없이 잘못된 行爲라는 생각부터 자리 잡아야 합니다.”(박명숙 尙志大 社會福祉學科 敎授)

코로나19로 가뜩이나 힘겨운 時期지만, 설 連休 前後로 연이어 들려오는 兒童虐待 致死 事件들이 또 모두의 마음을 찢어놓았다. 8日 競技 龍仁에서 40代 姨母 夫婦에게 軍事政權 ‘물拷問’을 彷彿케 하는 虐待를 當하다 목숨을 잃은 10歲 少女를 始作으로, 慶北 龜尾에선 移徙 가며 내버린 두 살배기 女兒가 10日 숨진 채 發見됐다. 全北 益山에 사는 20代 夫婦는 태어난 지 2週밖에 되지 않은 아이를 때려 숨지게 해 拘束 收監됐다.

그런데 끔찍한 虐待를 저지른 어른들의 辨明은 소스라치게 엇비슷했다. 姨母 夫婦는 “小便을 가리지 못해 訓育 次元에서 浴槽 물 속에 넣었다”고 했으며, 20代 夫婦는 “아이가 자주 울고 粉乳를 吐해서 가르치다가”라고 말했다. 甚至於 初盤에는 虐待 行爲를 숨기고 잘못을 是認하지 않았던 點도 닮았다.

朴 敎授는 이를 “兒童虐待에서 나타나는 典型的인 反應”이라고 짚었다. 事故의 原因을 아이가 提供했다고 責任을 돌리는 것이다. “兒童虐待를 저지르는 成人들은 거의 共通的으로 ‘아이를 가르치고 잘못을 고쳐주기 위해서’라고 말합니다. 가벼운 訓育이라 여겼던 體罰이 거듭되며 虐待로 이어지는 걸 看過하는 거죠.”

事實 지난달 8日엔 親權者의 ‘子女 懲戒權’을 廢止하는 民法 改正案이 國會 本會議를 通過했다. 같은 날 兒童虐待 申告가 接受되면 卽時 警察이 搜査하도록 한 兒童虐待處罰法 改正案도 議決됐다. 지난해 10月 養父母의 虐待로 世上을 떠난 ‘정인이’의 再發을 막자는 趣旨다. 하지만 身體的 處罰에 對한 認識이 바뀌지 않는 限, 兒童虐待는 언제든 일어날 수 있다.

專門家들은 兒童虐待를 根絶하려면 輿論에 떠밀린 性急한 立法이나 行政 措置 代身 確實한 豫防 시스템을 갖추는 ‘基本’에 充實해야 한다고 指摘한다. 子女 體罰이 法으로 禁止된 美國 亦是 兒童虐待는 發生한다. 하지만 家族이나 親戚은 勿論 敎師나 이웃 等 누구라도 虐待 情況을 發見해 申告하면 卽時 아이가 保護 措置를 받는 社會的 시스템이 갖춰지면 兒童 虐待는 줄어들 수 있다.

무엇보다 體罰은 어떤 境遇라도 訓育이 될 수 없다는 社會的 認識의 轉換이 이뤄져야만 한다. 잠깐의 便宜를 위해 物理的 힘에 기대면 돌이킬 수 없는 늪에 빠질 수 있다. 유미숙 숙명여대 社會福祉學科 敎授는 “如前히 많은 어른들이 제대로 된 訓育 方式을 몰라 아이를 身體的으로 體罰하는 境遇가 잦다”며 “社會的으로 올바른 訓育 形態를 父母들에게 敎育하는 시스템도 時急히 마련해야 한다”고 助言했다.

지민구 社會部 記者 warum@donga.com


#體罰 #訓育 #虐待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