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슈&트렌드/하정민]어느 IT記者의 특별한 實驗|東亞日報

[이슈&트렌드/하정민]어느 IT記者의 특별한 實驗

  • 東亞日報
  • 入力 2018年 3月 19日 03時 00分


코멘트
파하드 만주 NYT 기자. 출처 위키피디아
派하드 滿洲 NYT 記者. 出處 위키피디아
美國 뉴욕타임스의 情報技術(IT) 專門記者 派하드 滿洲(40). 남아프리카공화국 胎生의 印度系 美國人인 그는 IT 專門媒體 슬레이트와 월스트리트저널(WSJ)을 거쳐 2014年부터 NYT에서 일하고 있다.

滿洲는 지난해 3月 ‘집에 여러 臺의 카메라를 設置해 두 아이의 一擧手一投足을 錄畫하고 實時間으로 클라우드에 貯藏한다. 그들의 어린 時節을 永遠히 記憶하기 위해서’란 글을 써 IT 專門記者의 面貌를 誇示했다.

하정민 디지털뉴스팀 차장
하정민 디지털뉴스팀 次長
이랬던 그가 1年 만에 正反對의 글로 큰 反響을 일으켰다. 滿洲는 이달 7日 “올 1月부터 두 달間 모든 뉴스 앱과 소셜미디어를 끊었다. 그 代身 NYT, WSJ, 이코노미스트 等 印刷 媒體로만 뉴스를 接하며 더 나은 사람이 되는 經驗을 했다”고 밝혔다.

滿洲는 지난달 美國을 떠들썩하게 했던 플로리다州 高校 銃器亂射 事件을 하루 뒤 新聞으로 接했다. 그는 “그 하루 동안 수많은 專門家가 事件의 眞僞와 背景을 詳細히 分析했다. 또 이를 功들여 取材한 深層 記事를 읽었기에 ‘犯人이 이슬람國家(IS) 一員이거나 이番 事件이 올해 美國에서 18番째로 일어난 學校 銃器事故’란 假짜 뉴스를 接하지 않았다. 當然히 쓸데없는 에너지 消耗와 時間 浪費도 없었다. 우리의 實際 삶은 느리게 進行되고 眞實을 아는 데에는 時間이 必要하다”고 했다.

滿洲에 따르면 뉴스의 디지털化는 사람들로 하여금 自身이 듣고 싶은 것만 듣고, 보고 싶은 것만 보고, 생각이 비슷한 사람들끼리만 어울리도록 하는 弊害를 낳는다. 特히 소셜미디어의 알고리즘이 이를 極端的으로 부추기므로 소셜미디어만 끊어도 相當數 問題를 解決할 수 있다. “반드시 종이 新聞을 읽을 必要는 없지만 뉴스를 消費하는 樣式을 再正立하라. 하루에 딱 1番 뉴스 앱을 보거나 美 政治專門 온라인 媒體 額시오스의 잘 整理된 뉴스레터를 購讀해도 좋다. 核心은 檢證되지 않은 速報 代身 깊이와 正確性으로 武裝한 뉴스를 읽는 것이다.”

출처 픽사베이
出處 픽사베이
傳統媒體 記者의 新聞 읽기 慫慂이 속 보이는 主張일 수 있다. 逆說的으로 滿洲의 主張이 널리 알려진 것도 소셜미디어 德分이다. 허나 이를 勘案해도 그가 던진 話頭는 가볍지 않다. 假짜 뉴스가 넘쳐나는 世上에서 뉴스 生産, 流通, 消費 全 過程에서 正確性과 質을 높이려는 試圖가 없다면 그 被害는 社會 全體가 져야 하기 때문이다.

“모든 글 中 오직 한 사람의 피로 쓴 글만 사랑한다. 疲勞 글을 써라. 그래야 그 피가 곧 魂(魂)임을 알 수 있다.”

니체의 말이다. 速報 競爭과 짜깁기로 一貫하는 言論, 좋은 콘텐츠에 正當한 代價를 支拂하지 않으면서 ‘記레기’만 탓하는 消費者, 刺戟的인 뉴스만 도드라지게 强調하는 소셜미디어와 포털 모두가 變하지 않는다면 그나마 남아있는 ‘피 같은 뉴스’도 完全히 사라질지 모른다.
 
하정민 디지털뉴스팀 次長 dew@donga.com
#派하드 滿洲 #뉴스의 디지털化 #소셜미디어 #假짜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