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룸/이헌재]이치로의 隱退, 이종범의 後悔|東亞日報

[뉴스룸/이헌재]이치로의 隱退, 이종범의 後悔

  • 東亞日報
  • 入力 2019年 3月 27日 03時 00分


코멘트
이헌재 스포츠부 기자
이헌재 스포츠부 記者
이종범 프로野球 LG 2軍 總括 및 打擊코치(49)는 21日 京畿 利川 LG챔피언스파크에서 訓鍊을 마친 後 選手들에게 “오늘 저녁에는 메이저리그 競技를 視聽하라”고 助言했다. 이날 日本 도쿄돔에서는 오클랜드와 시애틀의 競技가 열렸다. ‘打擊 機械’ 스즈키 이치로(46)의 隱退 競技였다.

自己 房에서 TV로 이치로의 마지막 모습을 지켜보던 그는 自己도 모르게 눈시울을 붉혔다. 그는 “많은 感情이 交叉했다. 무엇보다 스스로 많은 反省을 했다”고 했다.

이종범은 이치로보다 세 살 위다. 直接 實力을 겨룬 적은 3番 있다. 1995年 韓日 슈퍼게임과 1998年 日本프로野球 示範競技, 2006年 第1回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이다.

둘은 닮은 點이 많았다. 무엇보다 공을 잘 때렸다. 발도 빨랐고, 어깨도 强했다. 2012年 初 이종범이 現役에서 물러났을 때 日本 言論에서는 “‘韓國의 이치로’가 隱退했다”고 傳하기도 했다.

現役 時節 이종범은 이치로에게 單 하나를 부러워했다. 自身은 오른손 打者인데 理致로는 왼손 打者라는 것이었다. 왼손 打者는 打擊과 함께 1壘를 向해 달려가는 距離가 짧아 오른손 打者보다 유리하다. 우투좌타(던지는 건 오른손, 치는 건 왼쪽 打席에서 하는 것)였던 理致로는 빠른 발을 利用해 수많은 內野安打를 만들어냈다. 타고난 왼손잡이였으나 野球를 始作할 무렵 왼손잡이用 글러브가 없어 오른손으로 野球를 한 이종범으로선 抑鬱할 만도 했다. 恨을 푼 것은 아들 이정후(21·키움)를 통해서였다. 그는 오른손잡이인 이정후를 이치로처럼 우투좌타로 만들었다. 이정후의 偶像 亦是 이종범이 아닌 理致로다.

理致로는 이종범보다 7年이나 더 選手 生活을 했다. 時間이 갈수록 부러움은 더욱 커졌다. 이종범은 “理致로는 타고난 天才였지만 그 天才性을 지키기 爲해 더 準備하고 努力했다. 結果보다 準備 過程에서 幸福해했다. 眞情으로 野球를 사랑한 選手였다”라고 말했다. 그는 “國籍을 떠나 같은 野球人으로 존경스럽다. 나 亦是 選手 時節 이치로같이 더 努力한다는 생각을 갖지 못한 게 後悔된다. 우리나라 프로 選手들도 이치로의 努力과 準備를 배웠으면 좋겠다”고도 했다.

理致로는 故國 팀 觀衆의 起立拍手 속에서 그라운드를 떠났다. 그라운드 위 모든 選手들이 떠나는 그에게 敬意를 표했다. 競技 後에 1時間 넘게 열린 隱退 記者會見은 몇몇 TV로 生中繼되기도 했다. 美國으로 돌아가는 飛行機는 그를 기리기 위해 그의 등番號인 51番 게이트에서 出發했다.

그날 LG 2軍 選手 가운데 몇 名이나 이치로의 競技를 지켜봤는지는 알 수 없다. 분명한 것은 이치로의 아름다운 退場에서 뭔가를 깨달은 選手가 있다면 그만큼 努力할 可能性이 크다는 것이다. 이종범은 이렇게 말했다. “理致로는 프로 28年間 4367個의 安打를 쳤다. 그런 選手도 隱退하는 날까지 徹底하게 準備하고 安打를 못 치면 아쉬워했다. 나 같은 普通 選手들은 2, 3倍 더 努力해야 하는 것 아닐까.”

이헌재 스포츠부 記者 uni@donga.com
#이종범 코치 #스즈키 이치로 隱退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