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달에 만나는 詩]콩나물속 ‘日常의 革命’들이 터진다, 아삭아삭… 아삭아삭…|東亞日報

[이달에 만나는 詩]콩나물속 ‘日常의 革命’들이 터진다, 아삭아삭… 아삭아삭…

  • 東亞日報
  • 入力 2012年 4月 5日 03時 00分


코멘트
《 매콤한 아귀찜의 감칠맛을 돌게 하는 아삭아삭한 콩나물. 술 먹은 다음 날 아침 말간 국물로 아린 속을 달래주는 시원한 콩나물국. 밥床머리가 虛傳하자 엄마가 고춧가루와 마늘 다진 것, 소금을 넣고 조물조물해 거짓말처럼 뚝딱 만들어 내놓던 빨간 콩나물무침…. 우리네 食卓의 甘草, 그 많은 콩나물들은 다 어디서 왔을까. 》
김선우 시인. 창비 제공
김선우 詩人. 創批 提供
‘이달에 만나는 詩’ 4月 推薦作으로 김선우 詩人(42)의 ‘콩나물 한 封紙 들고 너에게 가기’를 選定했다. 지난달 나온 詩集 ‘나의 無限한 革命에게’(창비)에 收錄됐다. 是認 이건청 장석주 김요일 利原 손택수 氏가 推薦에 參與했다.

“數年 前 無心코 콩나물 한 封紙를 사들고 슈퍼를 나오는 瞬間 (詩的 靈感이) ‘着想’이 됐지요. 콩나물과 關聯해 제 몸에 붙어서 살던 記憶들이 함께 銃化돼 詩가 됐습니다.”

江原 江陵에서 살던 金 詩人의 어릴 적. 居室 한쪽에 콩나물을 길러 먹었다. 짙은 빨간色 고무 洋동이 위에 덮은 까만 천을 젖히면 마치 아기 새들이 먹이를 달라고 고개를 쳐들 듯, 노란 콩나물 머리들은 물 달라고 까치발을 섰다. 그 新鮮한 力動性. 아무렇게나 쑤셔 담은 까만 비닐封紙 속의 콩나물들은 실은 깨알 같은 成長의 歷史다. 暴風 한 封紙다.

詩人은 “우리가 덤덤하게 넘기는 日常 속에는 宏壯히 빛나는 革命的인 瞬間이 들어 있다. 그 숨겨진 燦爛함을 發見하고 삶을 새롭게 보게 하는 것이 바로 詩”라고 말했다.

장석주 詩人은 “김선우의 詩는 가녀린 것들에 對한 憐憫과 사랑의 情念 사이에서 움직인다. 그것들은 몸에 와서 具體的인 이야기를 이루고 燃燒한다. 이때 그 燃燒의 質料이자 動力이 되는 게 苦痛과 슬픔이다. 그의 詩가 따뜻하게 느껴지는 것은 詩의 바탕이 生命愛이고, 母性的인 끌어안음이기 때문이다”고 推薦 理由를 밝혔다.

“흔하디흔한 日常의 자잘한 事物들 속에서 暴風 같은 想像力을 펼쳐 보이는 詩人의 경이로운 視線에 慇懃한 嫉妬가 인다. 놓쳐버린 사랑이 그리움의 뿌리를 이토록 아삭아삭하게 만들었다니! 물줄기가 지나가는 그 瞬間에 生의 全部를 거는 콩나물처럼 흘러내리는 봄비 속에 그리움의 뿌리를 쭉 펴본다.” 손택수 詩人의 추천사多. 利原 詩人의 推薦 理由는 이렇다. “‘아삭아삭’과 ‘暴風’을 나란히 놓을 수 있다는 것. 아니 가장 먼 것은 가장 닮은 것일 수 있다는 것. 김선우의 詩가 가리키는 方向.”

이건청 詩人은 理想國 詩人의 詩集 ‘뿔을 적시며’(창비)를 推薦했다. 그는 “삶의 日常을 意味化하고 深化해 보여주는 言語들이 단단한 結集을 보여준다. 이것이 그의 詩가 너른 共感帶를 얻고 있는 理由”라고 評했다.

김요일 詩人은 이건청 詩人의 詩集 ‘굴참나무 숲에서’(서정시학)를 推薦했다. “詩的 緊張을 놓지 않고 ‘事物에 對한 懇切한 그리움’을 維持하며 現實에 對한 ‘均衡과 調和’를 이끌어 내는 詩人은 視力(詩歷) 45年의 老鍊하고 깐깐한 言語彫琢 솜씨를 유감없이 보여줬다.”

황인찬 記者 hic@donga.com
#이달에만나는시 #김선우 #콩나물한봉지들고너에게가기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