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御醫 이수귀의 突發性 難聽 治療法[이상곤의 實錄韓醫學]〈116〉|東亞日報

御醫 이수귀의 突發性 難聽 治療法[이상곤의 實錄韓醫學]〈116〉

  • 東亞日報
  • 入力 2021年 12月 3日 03時 00分


코멘트
이상곤 갑산한의원 원장
이상곤 甲山韓醫院 院長
醫師가 患者를 治療한 臨床 經驗은 醫學 發展의 꽃이라고 할 수 있지만, 不幸히도 韓醫學的 臨床 經驗을 담은 朝鮮時代 記錄物은 거의 남아 있지 않다. 드물게 남은 臨床 經驗 書籍은 무척 貴한 冊이다. 그中에서도 英祖 때 語의 이수귀가 남긴 ‘亦是漫筆’이라는 冊은 最高峯으로 꼽힌다. 그는 自身의 治療 經驗談을 詳細히 記錄했다. 1690年 醫科에 合格한 그는 中國 使臣을 診脈하는 等 精密韓 醫術로 이름을 날렸다.

冊 內容 中 갑작스러운 難聽에 시달리던 선비 頂生을 治療한 대목은 그의 神妙한 醫術과 人間味를 알 수 있게 한다. 그는 治療費가 없어 戰戰兢兢하던 頂生에게 돈이 들지 않는 治療法을 紹介해 難聽을 治療했다. 대나무 蒸氣를 쐬는 게 바로 그것. 물로 끓인 桶대나무를 멀리 귀에 대고 뜨거운 기운을 번갈아가면서 쐬는 方式이었다. 안생이라는 선비에게도 같은 治療法을 알려줬는데 以後 그는 微細한 소리까지 들을 수 있었다고 한다.

귀에 溫氣를 불어넣어 聽力을 回復하는 이수귀의 治療法은 韓醫學的 思惟의 結果다. 正月 大보름 風俗 中 귀밝이술을 마시는 風習과 비슷한 理致다. 體熱 寫眞을 찍어보면 귀 周邊은 찬 푸른色이지만 귓구멍은 붉게 타오른다. 우리가 손이 뜨거울 때 無意識的으로 귓불을 잡는 理由도 그 部分이 차다는 걸 몸이 本能的으로 알고 있기 때문이다. 反面 소리를 듣는 領域인 귀 안은 가장 뜨거운 곳이다. 귀밝이술은 술이 가진 陽氣(陽氣)로 聽力을 補充한다. 귀밝이술, 卽 耳明酒(耳明酒)의 名(明)은 害를 意味한다. 太陽처럼 밝은 에너지가 聽力의 根源이 됨을 暗示한 것. 太陽은 낮에 떠올랐다가 밤에 休息하면서 힘을 蓄積한다. 聽力度 밤에 힘을 蓄積해 낮에 使用하는 배터리와 같다.

最近 耳鳴(耳鳴)을 비롯해 難聽 患者가 國民의 20%가 될 程度로 많아진 것은 이와 깊은 關聯이 있다. 예전과 달리 일찍 잠을 자지 않는 生活習慣이 귀의 健康을 해친 탓이다. 耳鳴과 難聽 患者의 相當數는 쉽게 잠들기 힘들다고 말한다. 잠이 不足하면 耳鳴이 甚해지고 聽力이 더 떨어진다.

韓醫學 敎科書가 말하는 突發性 難聽의 原因은 여럿이지만 ‘承政院日記’를 보면 좀 더 具體的이다. 大部分 듣지 못하는 괴로움으로 벼슬을 그만두고 辭職한 臣下들의 上疏에서 추려 낸 것들이다. 承政院日記가 指目한 첫 番째 原因은 스트레스다. 仁祖 때 同副承旨를 지낸 권확은 “子息이 갑자기 죽고 난 뒤 病이 생겼다”고 했다. 둘째는 過勞다. 仁祖 때 刑曹參判을 지내고 西人의 領袖였던 金長生과 人曺判書 김형남은 氣血이 衰弱한데도 業務를 持續하다 難聽이 찾아왔다. 셋째는 疾病 後遺症이다. 仁祖 때 司諫院 司諫 等을 지낸 심동귀는 感氣를 오랫동안 放置하다 難聽이 생겼고, 肅宗 때 禮曹參判 等을 지낸 홍처량은 繼續된 消化器 疾患이 問題가 됐다. 景宗 때 訓鍊大將을 지낸 李森은 “腫氣 治療 以後 갑자기 소리가 들리지 않았다”고 呼訴했다. 過勞와 스트레스, 큰 疾病 以後 難聽이 發生했다는 點은 요즘 患者와 다를 바가 없다.

이상곤 甲山韓醫院 院長
#語의 이수귀 #突發性 難聽 #治療法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