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참깨와 들깨의 效驗[이상곤의 實錄韓醫學]〈106〉|東亞日報

참깨와 들깨의 效驗[이상곤의 實錄韓醫學]〈106〉

  • 東亞日報
  • 入力 2021年 2月 22日 03時 00分


코멘트
이상곤 갑산한의원 원장
이상곤 甲山韓醫院 院長
仁祖 在位 10年 임금의 어머니인 인헌왕후가 몸에 高熱과 惡寒, 便祕로 자주 쓰러지는 일이 벌어졌다. 留意(儒醫) 尹善道는 어의들과 相議한 後 應急處方으로 人蔘만을 達人 獨蔘湯으로 生死의 門턱에 서 있던 對備를 救했다. 病의 原因은 深化(心火), 요즘 말로는 極甚한 스트레스 때문이었다. 駝酪粥으로 氣力을 補充한 對備는 便祕를 없애기 위해 들깨로 만든 荏子죽(荏子粥)을 服用했다. 以後 對備의 便祕는 깨끗하게 사라졌다.

執權 後半期 肅宗은 極甚한 食慾不振(口談·口淡)에 시달렸다. 持病이던 頭痛과 煩熱症, 便祕, 遞增을 고치기 위해 너무 많은 韓藥을 먹은 게 禍根이었다. 살이 急激하게 빠지고 體力이 떨어지자 韓醫學에 밝은 宗親 理由는 約 代身 참깨로 만든 胡馬磁化(胡麻子丸) 服用을 勸했다.

英祖도 世子가 甚한 泄瀉인 痢疾에 걸려 말도 잘 하지 못하자 宮中에서 늘 먹는 黑荏子 茶食菓 硏子 多式으로 體力을 補充하고 蓋金湯으로 治療하라는 處方을 내놓는다. 검은깨 茶食은 宮中 略式(藥食) 中 으뜸 處方이다.

들깨는 스태미나를 增進시키는 補養食이기도 했다. 一說에는 賃金이 後宮들과 同寢하는 걸 別入侍(別入侍)라고 하는데, 이때 임금이 반드시 마시던 略式이 荏子죽이었다. ‘新婚에 깨가 쏟아진다’는 말도 여기에서 나왔다. 깨가 그만큼 告訴한 强壯 食材料라는 意味다. 깨는 윤기의 象徵이기도 하다. 平安道 江界는 깻국으로 有名한데, 예전부터 江界에는 美人이 많기로 有名했다. 여기서 깻국은 들깻國이다.

들깨는 元來 土種 植物이며 임자(荏子)라고 한다. 참깨는 中國 漢나라 武帝 때 張騫이 西域에서 들여온 植物이므로 오랑캐의 飮食이라는 뜻인 胡馬(胡麻)라고 한다. 참깨로 짠 기름은 들깨로 짠 들기름보다 훨씬 고소하고 맛이 좋아 ‘참’기름이라 불렸다. 그래서인지 참깨와 들깨를 털 때의 風景도 다르다. 참깨는 거꾸로 매달린 씨앗들을 정성스럽게 털어내지만 들깨는 事情없이 도리깨로 두들겨 팬다.

‘本草綱目’에는 참깨의 씨를 짜 얻은 生馬油를 뽕잎 달인 물과 섞어 그 물에 머리를 감으면 머리털에 潤氣가 나고 길게 잘 자라게 된다고 적혀 있다. 들깨는 皮膚뿐 아니라 廢道 촉촉하고 潤氣 있게 한다. 들깨와 같은 속의 植物인 小葉의 열매 素子는 氣가 胃로 치밀어 올라 생기는 기침을 治療한다. 들깨 기름은 粘液을 增强시켜 呼吸器가 마르고 乾燥한 사람들이 잘 걸리는 傳染性 呼吸器 疾患을 豫防하는 效驗도 크다. 머리에 몰린 氣를 내려 頭痛과 不眠을 治療하는 것은 덤이다.

들깨와 참깨에는 脂肪酸이 많다. 올레酸, 리놀산, 아라키돈산 等. 모두 몸에 좋은 不飽和脂肪酸이다. 不飽和脂肪酸은 血管 속 老廢物을 淸掃해 血管의 老化 防止와 中風 等 成人病 豫防에 도움이 된다. 鐵分 칼륨 요오드 成分도 있어 血液을 맑게 하고 心臟을 튼튼하게 하며 스태미나를 剛하게 한다. 그래서 옛사람들은 깨의 效驗을 일러 三車地德(三居之德)이라 했다. 늙어서 風病을 없애고, 흰머리를 검게 해주며, 마음을 기쁘게 해준다는 것이다.

이상곤 甲山韓醫院 院長


#참깨 #들깨 #效驗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