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00年 훌쩍 넘는 歷史”…알고가면 더 재미있는 靑|東亞日報

“900年 훌쩍 넘는 歷史”…알고가면 더 재미있는 靑

  • 東亞닷컴
  • 入力 2022年 5月 21日 08時 00分


코멘트
權力者의 땅으로 불리던 靑瓦臺가 74年 만에 全面 開放됐다. 가볍게 訪問해도 좋지만 알고 가면 더 재미있고 흥미로운 靑瓦臺. 서울觀光財團은 900年을 훌쩍 넘은 靑瓦臺의 歷史와 建物에 담긴 이야기를 紹介했다.

靑瓦臺가 자리한 北岳山 南쪽의 歷史는 高麗時代로 거슬러 올라간다. 高麗 肅宗은 1104年 北岳山 아래에 別宮을 짓고, 이곳을 南京(高麗時代 三經의 하나)으로 삼았다. 朝鮮이 建國된 뒤에는 靑瓦臺 자리에 景福宮 後援이 造成됐다. 以後 壬辰倭亂 때 景福宮이 廢墟가 되면서 放置됐다가 朝鮮 末 高宗 때에 이르러 興宣大院君에 依해 景武臺라는 이름의 後援으로 再建됐다. 日帝强占期 때는 그 자리에 朝鮮 總督의 官舍가 들어섰다. 解放 後 大韓民國 政府가 樹立되면서 總督 官舍는 歷代 大統領들의 執務室 및 官邸로 使用됐다. 以後 1991年 ‘朝鮮總督府의 官舍를 大統領의 執務室로 使用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는 主張이 받아들어져 只今의 本館 建物이 새로 지어졌다.
靑瓦臺 本館, 正面에서 바라보면…
靑瓦臺 本館은 韓屋에서 가장 格調 높고 아름답다고 評價 받는 八作지붕을 갖췄다. 여기에 쓰인 韓食 靑기와만 15萬餘 個에 達한다. 靑기와는 靑瓷의 나라였던 高麗時代부터 朝鮮 電氣까지 宮闕 지붕을 만드는데 쓰였다는 記錄이 남아있다. 當時 靑기와를 만들기 爲해선 戰略 資産이자 火藥의 核心 原料인 染草(질산칼륨)가 多量으로 必要했다. 自然的인 礎石 鑛山이 없던 韓半島에서 焰硝는 그 生産이 매우 어려웠고, 軍事用으로도 늘 在庫가 不足했다. 그만큼 靑기와는 重要한 建物에만 使用됐다. 現在 남아있는 宮闕의 靑기와는 昌德宮에 있는 宣政殿이 唯一하다.

靑瓦臺 本館의 構造는 宮闕의 木造 建築 樣式을 基本으로 한다. 靑瓦臺 本館을 正面에서 바라보면 玄關 通路의 지붕과 本館 建物의 지붕이 階段처럼 連結된 듯 보여 巨大한 波濤의 푸른 물결을 마주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本館 앞에는 大庭園이라고 불리는 넓은 잔디밭이 있다.

靑瓦臺 本館에서 靑瓦臺 官邸로 바로 가려면 소정원을 거쳐야 한다. 大庭園이 넓은 잔디밭이라면 소정원은 아늑한 숲이다. 庭園 사이로 난 숲길이 아기자기하다. 숲의 나무들이 햇빛이 파고들 틈이 없을 만큼 그윽한 그늘을 만든다.

官邸로 넘어가는 길에는 數弓터가 있다. 景福宮을 지키던 兵士들이 머물던 곳이다. 이 一帶를 景武臺라고 불렀는데, 朝鮮總督府가 殿閣을 허물고 總督 官舍를 지었다. 總督 官舍는 光復 以後에 大統領 執務室로 使用되다가 只今의 靑瓦臺 本館이 들어서면서 撤去됐다. 現在는 總督 官舍 玄關 지붕 위에 裝飾으로 놓여있던 節甁桶만 옛 자리에 놓여있다.

數弓터에는 守令이 700年이 넘는 注目이 오랜 歲月 자리를 지키고 있다. 高麗時代부터 激動의 大韓民國을 바라봤을 나무인 셈이다.

數弓터를 지나 오르막길을 오르면 官邸에 到着하게 된다. 官邸는 本館과 마찬가지로 八作지붕에 靑기와를 얹은 傳統 韓屋 構造로 이루어져 있다. 生活 空間인 本채와 接見 行事 空間인 別채가 ‘ㄱ’字 形態로 자리 잡고 있고, 그 앞으로 마당이 있다.

官邸 마당 한쪽에는 舍廊채인 靑眼糖이 있으며 官邸 바로 앞에는 醫務室이 있다. 靑眼黨은 ‘靑瓦臺에서 便安한 곳’이라는 뜻을 갖고 있다. 官邸와 마당에서 歷代 大統領들이 暫時 근심, 걱정을 잊고 마당으로 쏟아지는 햇볕을 맞으며 쉬었던 모습을 想像해볼 수 있다.

官邸 뒤로 이어진 숲길로 난 데크를 통해 언덕으로 올라가면 靑瓦臺 內의 歷史文化遺産人 오운정과 美男불(慶州 方形對坐 石造如來坐像)을 볼 수 있다.

오운정은 朝鮮 高宗 時代에 景福宮 後援에 지어졌던 吳雲閣의 이름을 따른 것으로 推定된다. 五運은 ‘다섯 個의 色으로 이루어진 구름이 드리운 風景이 마치 神仙이 사는 世上과 같다’라는 뜻을 담고 있다. 懸板은 어린 時節부터 붓글씨에 能通했던 李承晩 前 大統領이 直接 쓴 글字다.

오운정 아래로는 짙은 숲이 펼쳐지고, 草綠빛 나무 틈 사이로 靑瓦臺 官邸와 鍾路 一帶의 風景이 얼굴을 내민다. 오운정을 지나 寶物로 指定된 美男불로 가는 길에는 視野가 트여 景福宮과 光化門 一帶가 한눈에 들어오는 포인트가 있다.

美男불은 石窟庵 本尊像을 繼承해 9世紀에 彫刻된 것으로, 자비로운 微笑를 띤 부처님의 얼굴과 堂堂한 風采가 돋보이는 作品이다. 統一新羅 全盛期의 佛敎 樣式을 보여주는 代表 遺物로, 생김새가 멋스러워 美男불이라는 別稱으로 불렸다. 本來 慶州에 있던 것이 總督 官舍가 靑瓦臺 자리로 移動하면서 함께 이곳으로 왔다.
綠地原書 歷代 大統領 記念植樹 찾아보세요
常春齋는 外國 貴賓들을 맞이하는 儀典 行事나 非公式 會議 場所로 使用된 韓屋이다. 靑瓦臺 內에 韓屋의 아름다움을 外國 손님에게 紹介할 場所가 없어서 1983年 常春齋를 지었다. 外國에서 國賓이 오면 常春齋에서 晩餐을 進行했다.

常春齋 慰勞는 1900年代 初에 지어진 것으로 推定되는 침類角이 있다. 침류覺은 서울市 有形文化財로 登錄돼 있으며 1989年 官邸를 新築하면서 只今의 자리로 왔다.

녹지원은 大統領과 國民이 만나는 다양한 行事가 열렸던 곳이다. 歷代 大統領들의 記念 食水들이 곳곳에 있어 찾는 재미가 있다. 또한 녹지원에는 韓國産 搬送(盤松)이 있는데, 그 守令이 170年을 넘었다.

春秋館은 大統領의 記者 會見 場所이자 出入 記者들이 常住하던 곳이다. 春秋館은 高麗와 朝鮮의 歷史 記錄 機關이던 春秋館에서 비롯된 이름으로, 言論의 自由 精神을 象徵하고 있다. 現在 春秋館 앞 잔디밭에는 텐트와 빈백이 놓여있어 쉬어 가기 좋다.

迎賓館은 大規模 會議와 外國 國賓들을 위한 公式 行事를 열었던 建物이다. 各種 民俗 公演과 晩餐이 열리는 行事場으로 쓰였다. 會議와 宴會를 위한 場所로도 使用됐다. 18個의 돌기둥이 建物 全體를 떠받들고 있는 形態로 만들어졌다.

迎賓館 앞쪽의 迎賓門을 통해 나가면 靑瓦臺 담牆 옆에 붙어 있는 七宮으로 갈 수 있다. 七宮은 朝鮮의 王을 낳은 어머니이지만 王妃가 되지 못한 後宮의 神位를 모신 場所다.

七宮이란 이름은 1908年에 서울 곳곳에 흩어져 있던 後宮의 祠堂들을 이곳으로 합치면서 모두 7個가 모였다는 意味로 지어졌다. 張禧嬪의 新株, 思悼世子의 어머니인 迎賓 李 氏의 神主가 모셔져 있다. 宮闕의 다른 殿閣들처럼 規模가 크고 華麗하지 않지만 儉素하고 아늑한 느낌이 드는 場所다.


靑瓦臺 一週日 累積 觀覽客 20萬 名 突破
國民의힘 김승수 議員에 따르면 이달 10日 靑瓦臺 開放 以後 一週日間 累積 觀覽 人員은 20萬 名을 넘어섰다.

또 平日 景福宮 觀覽 人員도 지난달 同氣間 對比 4倍 以上 急增했다. 4月 둘째 週 觀覽客은 1萬3986名에 그쳤지만, 5月 둘째 週 觀覽客은 5萬7138名으로 늘어난 것이다.

金 議員은 “이는 지난 3月 韓國文化觀光硏究院이 發表한 ‘靑瓦臺 公開의 經濟的 效果’ 豫想値의 3倍를 웃도는 結果”라며 “訪問客 數字 뿐 아니라 生産 誘發 效果, 附加價値 誘發 效果, 就業 誘發 效果, 地域經濟 效果 等도 크게 늘어날 것으로 豫想된다”고 말했다.

박보균 文化體育觀光部 長官은 “靑瓦臺가 豫想보다 빠른 速度로 핫플레이스가 됐다”며 “좋은 觀光 商品이 될 수 있도록 文化財廳과 議論하며 政策的으로 뒷받침하겠다”고 答했다.

정봉오 東亞닷컴 記者 bong087@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오늘의 推薦映像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