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깐부 할아버지 보러가자’…오영수 演劇 豫買率 1位|東亞日報

‘깐부 할아버지 보러가자’…오영수 演劇 豫買率 1位

  • 뉴시스
  • 入力 2022年 1月 12日 10時 31分


코멘트
넷플릭스 시리즈 ‘오징어 게임’으로 韓國 最初 골든 글로브 男優助演賞을 받은 俳優 吳永洙(78)에게 關心이 쏠리면서 그가 出演 中인 演劇 ‘라스트 세션’도 티켓 파워를 보이고 있다.

12日 藝術經營支援센터 公演藝術統合電算網(KOPIS)에 따르면 演劇 部門에서 ‘라스트 세션’은 週間(5日~11日) 豫賣 順位 1位를 記錄했다.

特히 吳永洙의 골든 글로브 受賞 消息이 傳해진 10日부터 ‘라스트 세션’은 豫賣 狀況板의 1位를 차지하고 있다. 지난 週末인 8日과 9日에 ‘라스트 세션’의 豫賣 順位는 4位였다.

티켓 販賣사이트 인터파크에서도 ‘라스트 세션’李 演劇 랭킹 1位에 올랐다. 이날 基準 販賣占有率은 45.8%에 達한다. 지난 週末에는 販賣占有率 10%臺로 3位에 머물렀지만, 10日에는 販賣占有率 55.3%로 껑충 뛰면서 1位에 올라섰다.

製作社 파크컴퍼니 關係者도 “豫賣率이 꾸준히 上位圈으로 높았지만, 吳永洙 俳優의 골든 글로브 受賞 消息 以後 티켓 豫買가 急激히 늘어났다”고 말했다.
‘라스트 세션’ 팀도 吳永洙의 골든 글로브 受賞을 함께 祝賀했다. 演劇에 함께 出演 中인 俳優 이상윤은 前날 自身의 SNS에 “와우 祝賀드립니다”라는 글과 함께 吳永洙가 케이크를 들고 종이王冠을 쓴 채 微笑 짓고 있는 寫眞을 올렸다. 그의 등 뒤로는 골든 글로브 受賞을 祝賀하는 文句가 적혀있다.

지난 7日 開幕한 ‘라스트 세션’은 英國이 獨逸과의 全面戰을 宣布하며 第2次 世界大戰에 突入한 1939年 9月3日을 背景으로 ‘지그문트 프로이트’와 ‘C.S. 루이스’가 直接 만나 ‘神의 存在’에 對한 熾烈하고 才致 있는 論爭을 벌인다는 想像에 基盤한 2人劇이다.

歷史上 實際로 만난 적 없는 ‘프로이트’와 ‘루이스’ 두 사람은 舞臺에서 約 90分 동안 强烈한 만남을 膳賜한다. 20世紀 無神論의 試金石으로 불리는 ‘프로이트’와 代表的인 基督敎 辨證街 ‘루이스’는 神에 對한 물음에서 나아가 삶의 意味와 죽음, 人間의 欲望과 苦痛에 對해 한치의 讓步 없이 熾烈하고 才致 있는 論辯들을 쏟아낸다.

‘프로이트’ 役을 演技하는 吳永壽는 골든 글로브 受賞 以後인 11日 이상윤과 함께 저녁 舞臺에 섰고, 觀客들은 그의 熱演에 起立拍手를 보냈다. 그는 受賞 以後 쏟아지는 關心에도 演劇에 오롯이 集中하겠다는 뜻을 거듭 밝혀왔다.
지난 8日 첫 舞臺에 선 吳永壽는 前날 製作社를 통해 “演劇 舞臺를 위해 集中할 수 있는 이 時間이 所重하고 幸福하다. 찾아와주신 觀客들의 時間이 헛되지 않도록 最善을 다하겠다”고 첫 公演을 마친 所感을 傳하기도 했다.

‘프로이트’ 驛은 吳永洙와 함께 初演부터 함께한 新舊가 번갈아 演技한다. 新舊도 “저만큼이나 ‘라스트 세션’을 기다려주신 觀客 여러분께 感謝 드린다. 저의 人生作이라고 생각하는 만큼 앞으로 더 좋은 舞臺로 報答하겠다”고 첫 公演 所懷를 밝혔다. 루이스 役은 初演에 이어 再演에도 돌아온 이상윤과 새로 合流한 前薄饌이 出演한다.

‘라스트 세션’은 오는 3月6日까지 서울 종로구 大學路 TOM(티오엠) 1관에서 만나볼 수 있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