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띠동갑 언니가 다시 읽은 ‘82年生 김지영’|여성동아

LIFE

column

띠동갑 언니가 다시 읽은 ‘82年生 김지영’

성지연 에세이스트, 國文學 博士

2022. 08. 10

이게 果然 虛構의 小說인가. 자주 이런 생각을 하며 읽었다. 小說家 조남주가 2016年에 發表한 ‘82年生 김지영’ 말이다. 小說을 읽으며 지나온 내 삶이 문득문득 떠올랐다. 1982年生이면 나보다 열두 살 어린데도 어느 한 部分 共感 안 가는 데가 없었다. 내가 겪었던 일들을 김지영 亦是 마주했다. 아이를 낳고 키우면서 生前 처음 겪는 낯선 일이 너무 많았다.

小說은 그렇게 닥치고서야 아는 일들을 김지영의 生涯를 통해 여섯 個의 時間帶로 나눠 條目條目 整理한다. 女性學者 김고연주는 解說(解說)에서 特殊性이 아닌 普遍性을 追求하는 게 이 小說의 特徵이라고 썼다. 正말 그랬다. 主人公 김지영은 獨特한 個人이 아니다. 韓國 社會에서 女性이 生涯週期마다 맞닥뜨리는 問題를 그대로 보여주는 普遍的 個人이다.

海外에서도 많은 共感帶를 불러일으켰다. ‘82年生 김지영’은 2016~2020年 海外에서 가장 많이 팔린 韓國 文學 作品이다. 10個 言語圈에서 30萬 部 以上 팔렸고, 이 中 20萬 부는 日本 讀者들의 選擇을 받았다.

女子들이 모두 同一한 일을 겪고 자라진 않는다. 1970年生인 나와 1982年生인 김지영 間에는 12年의 時間 車가 있다. 그리고 只今은 2022年, 아직도 수많은 ‘김지영’들은 그와 같으면서도 다른 일들을 겪을 것이다. 이 小說은 1982年生을 特定해 韓國 社會 女性의 삶에 接近하려고 努力한다.

‘女子’라는 꼬리票

1980年代로 돌아가 보자. 女性은 태어나기 前부터 差別을 겪었다. 1970~80年代를 거치며 性鑑別과 女兒 落胎로 性比 不均衡이 深刻해졌다. 不均衡에는 죽음이 同伴된다. 김지영과 그의 언니를 낳은 어머니는 男子아이를 낳으려 배 속 셋째 女子아이를 落胎했다. 막내는 男子아이였기 때문에 살아남았다. 김지영이 初等學校를 다녔을 때 全國에서 女子 班長은 折半이 되지 않았다. 1970年生인 나는 男學生 中에서만 班長을 뽑는 投票를 했다.



“이제 女子니까 工夫를 못하거나 덜 배워도 된다고 생각하는 父母는 없는 듯했다. (中略) 하지만 決定的인 瞬間이면 ‘女子’라는 꼬리票가 슬그머니 튀어나와 視線을 가리고, 뻗은 손을 붙잡고, 발걸음을 돌려놓았다.”

그래도 世上은 變했다. 김지영의 어머니는 初等學校만 마치고 工場에 다니며 오빠들 뒷바라지를 했다. 外三寸들이 번듯하게 자라도록 돕고 나서야 어머니는 中學校 卒業狀을 받고 檢定考試로 高卒 學歷을 얻었다. 김지영의 언니가 大學 進學을 計劃할 때는 어머니 같은 犧牲을 要求받지는 않았다. 다만 어머니는 交代를 勸했다. 登錄金이 싸기도 했지만 애 키우기 좋은 職場이라는 게 理由다. 外換危機로 公務員인 아버지의 일자리가 不安하고 어린 동생이 둘이 있는 狀況이었다.

하지만 언니의 꿈은 PD였고 關聯 學科로 進學할 計劃을 세우고 있었다. 女子라서 못 할 게 있다고 생각하지는 않는 社會 雰圍氣였다. 結婚하고 아이 낳는 걸 考慮하지 않던 언니는 어머니의 助言을 받아들이기 어려웠다. 펄펄 뛰던 언니는 結局 交代에 들어갔다. 1990年代 後半의 일이다.

‘82年生 김지영’에 나오는 人物들은 普通 사람들이다. 欲望으로 달려가다 自身의 삶을 破壞하지도, 世上과 佛畫海 普通 사람의 삶의 經路에서 벗어나지도 않는다. 그때그때 自身의 欲望과 世上의 要求를 適切한 水準에서 妥協하는 順한 사람들이다. 抑鬱한 일을 當해도 어떻게든 自身의 삶을 꾸려나간다.

김지영 亦是 마찬가지다. 男子 同期들과의 賃金隔差와 業務 差別에 唐慌했지만 어렵게 就職한 會社에서 熱心히 일했다. 사랑하는 사람을 만나 結婚했다. 媤어른들이 아이를 낳을 것을 壓迫했다. 出産을 생각하자 職場 生活을 繼續할 수 있을지, 아이는 어떻게 돌볼지 苦悶이 始作됐다. 男便과 相議해봤지만 뾰족한 答은 없었다. 아이를 낳기로 했다. 出産을 앞두고 會社를 그만뒀다.

김지영은 남들처럼 就職하고 結婚하고, 아이를 낳았다. 그런데 고비마다 生前 처음 겪는 어려움을 맞닥뜨려야 했다. 모든 일은 女子이기 때문에 더 어려워졌다. 그래도 어떻게든 普通 사람들이 가는 삶의 經路를 뚜벅뚜벅 걸어가려고 했다.

그러던 김지영이 깜빡깜빡 精神을 잃어버리기 始作한다. 親庭어머니의 말套로 男便을 ‘鄭 西方’이라고 불렀다. 男便의 前 女子 親舊 말套로 아이 키우느라 힘든 지영이에게 잘해주라고 말했다. 秋夕에 媤宅을 訪問해서는 媤어머니를 ‘査夫人’이라 부르며 抗議하는 말을 쏟아냈다.

모든 게 女子라서 벌어진 일이었다. 自身의 잘못에 對한 結果라면 甘受해야 할 일이다. 하지만 性別은 存在의 問題다. 그냥 女子로 태어난 것에 무슨 理由가 있을까. 抑鬱한 일들이 쌓이고 쌓이다 臨界點을 넘어버렸다. 그間 쌓인 말을 제精神으로 吐해내는 건 어려웠을 것이다. 그래서 다른 사람의 목소리를 빌려 하지 못한 말들을 쏟아낸다.

어쩌면 제精神은 自身을 버리는 쪽에 있다. 아내, 엄마, 며느리라는 役割이 옴짝달싹 못 하도록 삶을 죄어왔다. 他人의 목소리를 빌려서라도 이 障礙物들을 넘어서 보려고 안간힘을 쓴다.

妊娠한 뒤 繼續 다니고 싶은 職場을 그만둬야 하는 김지영을 지켜보는 마음이 참 좋지 않았다. 差別 속에서 工夫를 하고 就業을 하는 데까지 어떻게든 到達한 女性이 結婚과 出産, 育兒의 時期를 지나며 社會에서 떨어져 나가기 始作한다. 내 世代에게 익숙한 일이 如前했다.

어떻게든 될 줄 알았던 일은 그렇게 되지 않았다. 아이가 자라려면 누군가의 돌봄이 必要하고, 大槪 女子라는 理由 하나로 아내에게 그 義務가 떨어진다. 김지영이 아이를 데리고 카페에 갔다가 들었던 ‘맘蟲’ 같은 嫌惡 表現은 돌봄 勞動이 제대로 尊重받지 못하는 現實을 보여준다. 아이를 키우며 社會生活을 하는 것도 가시밭길이고, 社會에서 退場해 살림과 育兒를 專擔하는 것도 마찬가지다.

“나대! 막 나대!”

社會生活을 하다 그만둔 女性을 經歷 斷絶 女性이라고 부른다. 내 境遇 처음엔 몇 年 아이만 키워놓고 다시 社會로 나갈 決心을 했다. 그런데 생각과 달리 한番 始作한 돌봄에는 끊임없는 努力이 必要했다. 다른 代案이 없을까 여기저기 기웃거려보았지만, 언젠가부터 그것도 抛棄했다. 家事와 育兒라는 게 쳇바퀴 도는 일이라 日常은 漸次 지루해지고 삶이 그 자리에 머물러 있는 것처럼 느껴졌다. 1982年生 김지영은 나보다 12年이나 젊다. 나의 世代보다는 좀 나아졌으면 좋았을 텐데 出産과 育兒라는, 김지영이 마주한 現實은 別 差異가 없었다.

出産과 育兒로 因한 經歷 斷絶은 現在進行形이다. 韓國 社會에서 女性의 經濟 參與率은 M 字 模樣을 보인다. 統計廳에 따르면 2021年 女性 雇傭率은 25~29歲가 70.9%, 35~39歲가 57.5%, 50~54歲가 67.1%다. 20代 後半까지는 男性(66.4%)보다 僅少하게 높다가 35~39歲엔 男性(90.7%)보다 크게 낮아진다. 出産과 育兒가 큰 影響을 미친 結果다. 2020年 調査한 女性 經歷 斷絶 事由 1位는 育兒(43.2%)이고, 그다음으로 結婚(27.3%)과 妊娠 및 出産(22.1%)李 뒤따른다.

女性 經歷 斷絶 問題는 다른 나라와 比較해도 深刻한 水準이다. 우리나라 30~40代 女性 雇傭率은 2019年 基準 經濟協力開發機構(OECD) 37個國 中 31位다. G5(美國·日本·獨逸·英國·프랑스)의 境遇 女性 雇傭率이 20~40代까지 增加하다 50代에 들어서야 減少하는, ‘뒤집어진 U(∩)’ 字 形態를 보이는 것과 큰 差異다.

個人의 努力과 意志만으로 이를 뛰어넘기란 어렵다. 出産과 育兒로 問題를 좁혀보면 一旦 制度的 뒷받침이 必要하다. 더 重要한 건 男女平等 文化의 定着이다. 걱정스러운 건 이런 主題가 나올 때마다 펼쳐지는 男女 對決 構圖다. ‘82年生 김지영’은 많은 讀者들이 읽는 베스트셀러였지만 一部 男性들의 反撥을 일으켰다. 몇몇 女子 演藝人들은 이 冊을 읽었다는 理由로 無分別한 嫌惡에 시달리기도 했다.

男女平等 問題는 제로섬 게임이 아니다. 김지영을 돕는 게 男便 정대현에게서 무언가를 뺏는 게 아니다. 김지영의 괴로움은 정대현의 괴로움이기도 하다. 아내가 괴로우면 男便도, 엄마가 괴로우면 아들도, 딸이 괴로우면 아버지도 괴롭다. 女子가 괴롭다는 게 男子가 괴롭지 않다는 것과 같은 뜻이 아니다. 當然히 男子도 이 팍팍한 世上을 살아가기가 힘들다. 男子와 女子 中 누가 더 抑鬱한가를 따지기보다는 男女 다 같이 잘 살아가기 위한 길을 찾는 便이 낫다.

김지영을 治療한 精神科 醫師는 能力 있는 眼科 專門醫였던 아내가 아이를 키우느라 일을 그만둔 걸 안타깝게 생각했다. 어릴 적 數學 英才였던 아내는 初等學校 數學 問題集을 잔뜩 푸는 데서 뜻 없는 成就感을 얻고 있었다. 精神科 醫師는 아내와 김지영이 하고 싶은 일을 하며 自我를 實現할 수 있기를 바랐다. 하지만 同僚 相談師가 妊娠 때문에 일을 그만두자 後任은 未婚으로 알아보겠다고 決心한다. 現實은 언제나 마음을 배반한다.

아내와 김지영을 理解하지만 왜 그의 共感은 女性 一般에게로 擴大되지 않는 걸까. 萬若 夫婦가 共同으로 出産과 育兒를 堪當하고 그로 인한 損失은 國家가 充分히 補助를 해주면 어떨까. 다음 世代를 繼續 낳고 길러야 社會가 維持될 테니 雇用主들이 雇用人들의 出産과 育兒 責任을 堪當하겠다는 自覺을 갖고 實踐하면 어떨까.

“當身은 只今 때가 어느 땐데 그런 고리타분한 소릴 하고 있어? 지영아, 너 얌전히 있지 마! 나대! 막 나대! 알았지?”

김지영의 아버지가 김지영에게 얌전히 있다 媤집이나 가라고 하자 어머니는 숟가락으로 食卓을 내리치며 이렇게 소리친다. 이건 딸이 아니라 自身에게 傳하는 말이다. 紡織工場을 다니며 오빠들의 學費를 댔던 어머니다. 언젠가부터 어머니는 참지 않는다. 自身의 人生에서 折半의 成功을 어머니에게 돌리는 아버지에게, 못해도 自身이 7이고 男便이 3이라고 斷乎하게 말한다. 그리고 김지영을 積極的으로 應援한다.

김지영은 살아오며 많은 女子들의 應援을 받았다. 學院에서부터 김지영을 쫓아오던 男學生이 외진 停留場에서 따라 내렸다. 김지영은 怯이 났다. 버스에 함께 타고 있던 모르는 女子가 急하게 내려 김지영을 도와줬다. 아버지는 그런 일이 김지영에게 問題가 있어 發生한 거라고 야단쳤다. 女子는 김지영에게 아무 잘못이 없다며 慰勞했다.

入社한 職場의 女子 팀長은 말하지 않아도 알아서 커피를 타고 食堂에 가면 숟가락을 놓아주는 김지영에게 女子 新入 社員이라고 해서 그런 일까지 하지 말라고 助言했다. 팀長은 管理 職級이 된 後 女子 職員들의 出産 및 育兒 休暇까지 保障했다. 알찬 應援이었다. 팀長은 退社하는 김지영에게 나중에 꼭 같이 일하자는 말도 잊지 않았다.

共感과 體驗에서 나오는 應援이다. 나 亦是 應援을 보낸다. 그러다 드는 생각은 女子들만의 應援이 아니라 더 많은 男子들의 應援이 必要하다는 거다. 마음의 應援이 아니라 實踐의 應援 말이다. “얌전히 있지 마! 나대! 막 나대!” 어머니가 아니라 우리 社會의 많은 아버지가, 男便이, 아들이 이 말을 할 수 있는 날이 올까? 그런 날이 오길 懇切히 바란다.

#82年生김지영 #김지영 #성지연 #다시萬難그女들 #여성동아


성지연의 다시 만난 그女들
1970年 出生. 연세대 社會學科를 卒業하고 同大學院 國語國文學科 碩博士 學位를 받았다. 다양한 글쓰기를 하는 專業 에세이스트로 살아가고 있다.




寫眞出處 다음映畫 민음사블로그



  • 推薦 0
  • 댓글 0
  • 目次
  • 共有
댓글 0
닫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