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시 만난 그女들] 참을 수 없는 存在의 가벼움 ‘테레자’|여성동아

LIFE STYLE

column

[다시 만난 그女들] 참을 수 없는 存在의 가벼움 ‘테레자’

글 성지연 에세이스트, 國文學 博士

2022. 05. 12

小說의 어떤 場面들은 이제 不便해서 읽기가 어렵다. 世上과 내가 달라졌기 때문일 것이다. 아끼고 익숙했던 小說의 女性 主人公을 다시 돌아본다.
첫 캐릭터는 ‘참을 수 없는 存在의 가벼움’의 테레자다.

밀란 쿤데라의 1984年 作
‘참을 수 없는 存在의 가벼움’.


小說을 읽으면 主人公에게 感情 移入한다. 함께 울고 웃는다. 그러다 그 感情 移入이 갑자기 낯설게 느껴질 때가 있다. 主人公이 펼쳐 보이는 삶의 方式에 沒入하고 있었는데 갑자기 형편없는 女性觀을 가진 마초인 게 드러난다거나, 男性 作家의 視線이 女性을 徹底히 對象化하고 있다는 것을 느낄 때다. 그래서인지 오래된 小說의 어떤 場面들은 이제 不便해서 읽기가 어렵다. 讀者인 내가 冊을 보는 눈이 달라졌기 때문일 것이다.

지난 半世紀 이 땅에서 살아오는 동안 男女平等의 進展을 지켜봤다. 最近에는 變化의 물결이 거세졌다. 江南驛 事件, 惠化驛 示威, 미투 運動에 많은 이가 목소리를 높였다. 3月 치러진 20代 大選에서는 젠더 葛藤이 投票 結果에 큰 影響을 미쳤다. 그間 모르고 지나쳤던 것, 알고도 참았던 것, 눈에 띄지 않게 숨겨놓았던 것들이 보이는 곳으로 나왔다.

오랫동안 아꼈던, 또 익숙하게 여겼던 小說의 女性 主人公을 다시 돌아본다. 小說은 虛構의 이야기를 통해 삶의 眞實을 드러낸다. 小說 속 主人公을 包含한 女性 캐릭터를 보며 女性의 삶을, 女性이란 누구인가를 생각해보려고 한다. 가장 먼저 만나려고 하는 이는 ‘참을 수 없는 存在의 가벼움’의 主人公 테레자다. 그는 어떤 女性일까.

偶然을 헤쳐 運命을 發見하다

‘참을 수 없는 存在의 가벼움’은 체코 出身 作家 밀란 쿤데라가 1984年 내놓은 小說이다. 映畫 ‘프라하의 봄’의 原作 小說이기도 하다. 傳統的인 小說 文法에서 多少 벗어난 이 作品은 포스트모더니즘 代表作 中 하나로 꼽히기도 한다. 題目만으로 수많은 패러디를 낳은 이 小說에서 쿤데라는 이야기가 現實과 닮아 있다는 걸 證明하려고 애쓰지 않는다. 代身 小說 안에 불쑥불쑥 介入한다. 이 作品은 自身이 쓰는 小說이고, 登場人物들은 作家가 만들어낸 것이라고 밝힌다. 現實과 幻想의 境界도 模糊하다. 實在와 꿈 가운데 무엇이 重要한지 優劣을 가리기 어렵다.



于先 줄거리를 살펴보자. 主要 登場人物 中 하나인 테레자는 보헤미아의 작은 마을에 있는 술집 從業員이다. 프라하에 사는 外科醫師 토마시가 業務 關係로 보헤미아를 訪問하고, 집으로 돌아가는 列車 時間을 기다리는 사이 테레자가 일하는 술집에 들어가 두 사람은 첫 만남을 갖는다.

열흘 後 테레자는 프라하에 있는 토마시의 집으로 찾아간다. 둘이 잠자리를 가진 그날 밤, 테레자가 毒感으로 熱이 펄펄 끓게 되면서 만남이 이어진다. 테레자가 一週日 동안 토마시의 집에 머무는 동안, 토마시는 잠든 테레자를 보며 그女 곁에서 죽고 싶다는 생각을 한다. 但, 그게 사랑인지 確信하지는 못한다. “Einmal ist keinmal(韓 番은 없는 것과 같다).” 그 瞬間 토마시가 되뇐 獨逸 俗談이다.

두 사람 關係에 變化를 만들어낸 것은 테레자다. 테레자는 回復 後 보헤미아에 돌아갔다가 또 다시 프라하를 찾는다. 토마시는 테레자의 트렁크를 갖고 집으로 오며, 테레자가 그女의 삶을 트렁크에 넣어 驛에 잠깐 맡겨뒀다가 自己한테 주려는 것 같다고 생각한다. 이게 테레자와 토마시가 結婚을 하게 된 스토리다. 女性 遍歷이 있는 토마시가 一回性의 ‘가벼움’을 追求한다면, 테레자는 偶然 사이를 헤쳐 나가며 ‘무거운 運命’을 만들어낸다.

테레자가 토마시를 運命으로 여긴 理由는 그의 成長 背景에서 찾을 수 있다. 테레자의 어머니는 自身에게 求婚했던 男子 中 아홉 番째 男子와 結婚했다. 落胎해줄 醫師를 찾지 못했기 때문이다. 테레자의 어머니는 自己 運命에 對한 責任을 딸에게 돌렸다. 테레자는 贖罪를 위해 熱心히 일해야 했다. 어머니는 알몸으로 집을 돌아다녔다. 繼父는 成績으로 지분거리며 테레자를 괴롭혔다. ‘참을 수 없는 存在의 가벼움’에서 테레자가 主人公인 2部와 4部의 題目은 둘 다 ‘靈魂과 肉體’다. 靈魂과 肉體의 二元性은 持續的으로 테레자를 괴롭힌 問題다. 그女는 肉體에 穿鑿했던 어머니에게서 벗어난 또 다른 世界를 願했다.

첫 만남에서 토마시는 술酒酊뱅이들 사이에서 唯一하게 冊을 펼쳐놓고 있었다. 冊은 테레자가 低俗한 世界에 對抗할 수 있는 唯一한 武器였다. 테레자는 그 瞬間 自身의 靈魂이 그 男子에게 보이기 위해 튀어 오르는 걸 느꼈다. 테레자가 집을 뛰쳐나올 勇氣를 얻은 것은 토마시가 펼쳐놓은 冊, 그에게 코냑을 가져갈 때 라디오에서 흘러나오던 베토벤 音樂 같은 거듭된 偶然에서였다. 獨占權을 내세우지 않는 關係가 두 사람 모두에게 幸福을 줄 수 있다고 主張했던 토마시는 이 原則을 깨고 테레자와의 再婚을 選擇한다.

“이제부터는 그女가 그를 責任져야 한다”

그들의 結婚 以後 歷史的 소용돌이가 들이닥친다. ‘프라하의 봄’으로 알려진 1968年 체코 民主化運動이다. 이를 막고자 蘇聯軍이 체코를 侵攻했다. 當時 테레자는 토마시의 親舊 사비나 紹介로 한 週刊誌 寫眞部에서 일하고 있었다. 테레자는 蘇聯軍과 이에 抵抗하는 체코 市民들을 찍다가 逮捕되기도 한다.

이때 스위스 취리히에 있는 한 病院 院長이 토마시를 念慮해 醫師 자리를 提案한다. 토마시는 테레자가 프라하를 떠날 理 없다고 생각하고 提案을 拒絶한다. 그런데 테레자는 떠나기를 願했다. 不幸했기 때문이었다. 테레자에게 結婚의 代價는 至毒했다. 토마시는 結婚 後에도 다른 女子들과 에로틱한 友情 關係를 이어갔다. 테레자는 토마시의 不倫을 象徵하는 꿈을 反復해 꿨다.

두 사람이 定着한 취리히에서도 토마시의 自由奔放한 삶은 달라지지 않았다. 테레자는 몇 달 後 便紙를 써놓고 다시 프라하로 떠난다. 토마시는 自由의 香氣를 들이마시며 存在의 달콤한 가벼움을 滿喫한다. 그런데 이틀 後 토마시는 테레자가 便紙를 쓰면서 가졌던 感情을 느꼈다. 同情心이 엄청난 무게로 토마시를 짓눌렀다.

結局 토마시는 테레자를 찾아 프라하로 돌아온다. 火를 내는 病院長에게는 “그래야만 한다(Es muss sein)”라고, 베토벤 4重奏의 마지막 樂章 모티프로 대꾸한다. 토마시에게 프라하로 돌아온다는 건 이제 더는 安全한 外國으로 나갈 수 없다는 걸 뜻한다. 우연한 만남은 무게를 漸漸 더했고, 이 決定은 以後 토마시의 삶을 흔들어놓는다.

테레자는 프라하로 돌아온 토마시의 잠자는 숨소리를 들으며 無限한 幸福感을 느낀다. 테레자와 토마시의 關係는 이제 逆轉됐다.

“토마시는 그女 때문에 돌아왔다. 그女 때문에 그의 運命이 바뀌었다. 이제 그女를 책임질 사람은 그가 아니다. 이제부터는 그女가 그를 責任져야 한다.”

테레자와 토마시의 決定的 差異 中 하나는 肉體와 靈魂의 關係에 對한 것이다. 肉體와 靈魂, 다시 말해 섹스와 사랑은 別個라는 게 토마시의 생각이었다. 테레자의 見解는 달랐다. 肉體가 關係를 갖는 동안 肉體의 深淵에 幽閉된 靈魂이 누군가 불러주길 絶望的으로 기다린다는 게 그女의 생각이다. 테레자에게 肉體와 靈魂, 섹스와 사랑은 둘이 아니라 하나다.

토마시는 프라하에 돌아와서도 다른 女子의 냄새를 풍기며 退勤한다. 프라하의 祕密警察은 道廳과 監視를 일삼는다. 테레자는 어머니와 함께 산 幼年 時節을 集團收容所로 表現했다. 自身의 私生活이 剝奪된 空間이었기 때문이다. 이제는 世上이 集團收容所였다.

男便의 바람氣에 시달리면서도 그 男便을 떠나지 못하는 女子 이야기는 通俗劇의 단골 素材다. 그 따위 男子는 버리는 게 나을 거라고 생각하는 讀者도 많을 것이다. 테레자의 選擇은 달랐다. 테레자는 우연한 한 番의 選擇에 담긴 運命的 意味를 받아들였다.

토마시를 運命으로 選擇한 테레자는 幸福했을까. 小說의 마지막에서 테레자는 토마시에게 시골에 갈 것을 提案한다. 뜻밖에도 이에 應한 토마시는 이제 永遠한 休暇를 얻겠다고 決心한다. 테레자의 樂園은 거기에 있었다. 토마시가 만날 女子도, 警察의 監視도 없었다. 小說은 테레자와 토마시가 마을 사람들과 함께 춤을 추고 난 뒤 호텔에 묵으면서 끝이 난다.

女性의 삶에 正答은 없다

영화 ‘프라하의 봄’. 쥘리에트 비노슈가 테레자를 연기했다.

映畫 ‘프라하의 봄’. 쥘리에트 비노슈가 테레자를 延期했다.

그런데 時間順으로 보면 이게 끝이 아니다. 우리는 사비나의 敍述을 통해 테레자와 토마시가 어느 날 트럭 事故로 죽은 것을 이미 알고 있다. 그러니 마침내 樂園과 같은 곳에서 幸福해 보이는 삶을 살아가기 始作한 테레자의 다음과 같은 告白을 읽는 讀者의 마음은 애틋해진다.

“이 슬픔은 우리가 終着驛에 있다는 것을 의미했다. 이 幸福은 우리가 함께 있다는 것을 의미했다. 슬픔은 形式이었고, 幸福이 內容이었다. 幸福은 슬픔의 空間을 채웠다.”

‘참을 수 없는 存在의 가벼움’은 니체의 永遠回歸를 紹介하며 始作한다. 永遠回歸란 삶이 원의 모습을 띠며 같은 것들이 繼續 反復된다는 思想이다. 한 番의 選擇은 永遠으로 못 박힌다. 그 世上에서는 몸짓 하나하나가 永遠의 責任을 진다. 그래서 니체는 永遠回歸 思想은 가장 무거운 짐이라고 말했다. 그런데 삶이 永遠回歸와 달리 한 番뿐인 選擇의 連續이라면 正答이 무엇인지 알기 어렵다. 딱 한 番만 決定을 내릴 수 있는 것이기에, 果然 어떤 게 좋은 結晶이고 어떤 게 나쁜 決定인지 確認할 수 없다. 이런 視角에서는 옳고 그름의 境界가 흐려질 수밖에 없다.

쿤데라가 冊을 통해 傳하려는 意味는 바로 이 地點에서 찾을 수 있다. 우리 삶에서 무엇이 무거운 것이고, 무엇이 가벼운 것일까. 가벼움과 무거움, 偶然과 運命, 肉體와 靈魂, 섹스와 사랑, 一回性과 永遠回歸의 對立은 처음부터 固定된 걸까. 偶然에 不過한 事件은 내가 받아들이면 必然의 意味를 가진다. 偶然히 누군가를 만나 平生을 같이하기로 한 約束은 運命의 사랑으로 무게를 가진다.

테레자는 永遠한 사랑을 얻고자 苦痛을 堪耐했다. 이런 테레자의 犧牲을 21世紀를 살아가는 女性으로서 받아들이기 쉽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쿤데라度 말하듯 이 世上의 일에 언제나 옳은 正答은 없다. 사랑 亦是 마찬가지다. 우리가 사랑을 하는 까닭은 분명하다. 삶의 가장 아름답고 燦爛한 기쁨을 膳賜하기 때문이다. 同時에 사랑은 가장 아프고 고통스러운 슬픔을 안겨준다. 기쁨과 슬픔을 모두 품어 안은 女性의 삶을 어떻게 봐야 할까. 이 連載는 앞으로 이 質問에 對한 다양한 女性 캐릭터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보려고 한다.

#테레자 #참을수없는존재의가벼움 #성지연 #여성동아

寫眞出處 민음사 IMDB



  • 推薦 0
  • 댓글 0
  • 目次
  • 共有
댓글 0
닫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