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희성 파이프오르간 獨奏會 with 카로스 打樂器 앙상블 ‘오직 感謝’[公演]|스포츠동아

김희성 파이프오르간 獨奏會 with 카로스 打樂器 앙상블 ‘오직 感謝’[公演]

入力 2024-03-19 14:35:00
프린트
共有하기 닫기

파이프 오르간의 다양한 스펙트럼을 經驗할 수 있는 舞臺 ‘김희성 파이프 오르간 獨奏會 with 카로스 打樂器 앙상블’李 4月 22日(月) 午後 7時 30分 롯데콘서트홀에서 開催된다.

파이프 오르간은 樂器의 帝王이라 불릴 만큼 다양한 音色과 音樂的 表現이 可能한 樂器이다. 오르간 獨走부터 合奏, 오케스트라 協演까지 可能하지만 파이프 오르간이 設置되어 있는 場所의 制限性 때문에 大衆들에게는 距離가 느껴지는 樂器이기도 하다.

이화여대 敎授로 在職中인 오르가니스트 김희성은 1995年 世宗文化會館 大劇場에의 獨奏會 以後 그림, 映像, 現代舞踊, 재즈, 合唱團, 오케스트라, 打樂器 앙상블 等과 함께 하는 舞臺를 선보이며, 觀客에게 다가가기 위한 다양한 試圖를 해왔다.

“오직 感謝…”라는 副題 아래 開催되는 이番 公演에서는 삶에서 겪게 되는 기쁨과 슬픔, 誕生과 죽음, 試鍊과 回復 等의 過程 以後 남은 慰勞와 監査를 主題로 公演을 構成했다. 現存하는 오르간 曲 中 가장 有名하고 익숙한 作品 中의 하나인 J.S. 바흐의 ‘토카타와 푸가 BWV 565’로 公演의 門을 연다. 이 曲의 피날레는 새로운 世上을 힘차게 여는 느낌, 마치 사람들에게 아픔에서 벗어나 밖으로 나오라고 외치는 느낌을 준다.

이어 프랑스의 作曲家이자 오르가니스트人 뒤프레가 크리스마스 캐롤 ‘노엘 累블렛(No¤l Nouvelet)’에 기초해 作曲한 ‘노엘 主題에 依한 變奏曲 op.20’李 演奏된다. 캐논 技法과 스타카토, 半音階의 使用, 華麗한 손鍵盤 테크닉, 豐富한 音色 等 뒤프레의 音樂的인 特徵들이 잘 나타난 曲으로, 監査의 始作과 感謝의 마음을 기쁨으로 表現하기에 가장 적합한 作品이다.


1部 마지막 曲으로 作曲家 이혜성(嘉泉大 作曲科 敎授)李 오랜 親舊 김희성에게 獻呈하는 ‘慰勞 10-監事’를 世界 招演한다. 作曲家 이혜성은 2018年부터 ‘慰勞’를 主題로 作品을 써왔고, 같은 主題로 作曲된 曲 中 10番째 曲이자, 파이프 오르간을 위해 作曲된 첫 作品이기도 하다. ‘유카리스트(Eucharist)’는 그리스어 ‘유카리스타’에서 由來된 말로 “感謝를 드린다”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聖體聖事’를 意味한다.

2部에서는 무소르그스키의 ‘展覽會의 그림’을 카로스 打樂器 앙상블과 演奏하며, 音樂에서 느껴지는 引上을 照明으로 表現할 豫定이다. 樂器의 오케스트라라 일컬어지는 오르간은 오케스트라의 雄壯함을, 打樂器는 오르간과 가장 잘 어울리는 리듬과 緊張感을 더해준다. 이 曲은 무소르그스키가 畫家이자 建築家인 親舊 빅토르 하르트만의 遺作展 展示會를 둘러보며 令監을 얻어 作曲한 曲으로, 展示會로 默默히 들어가는 발걸음으로 始作해 10個의 作品마다 슬픔과 感動의 메시지가 傳해진다. 特히 10番째 ‘키예프의 大門’은 그야말로 希望의 門을 여는 것과 같은 華麗한 끝맺음으로써 大尾를 裝飾하고 있다. 이番 演奏會에서 主題로 하는 苦難과 슬픔, 그리고 기쁨과 希望, 監査를 모두 느낄 수 있는 作品이다.

이番 公演은 ‘2024年 서울문화財團 藝術創作活動 支援事業’에 選定됐다.

양형모 스포츠동아 記者 hmyang0307@donga.com 記者의 다른記事 더보기




오늘의 핫이슈

뉴스스탠드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