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西便制’ 撮影地, 羞惡黨은 왜 順天으로 갔을까|신동아

2022年 5 月號

‘西便制’ 撮影地, 羞惡黨은 왜 順天으로 갔을까

[名作의 祕密]

  • 이광표 西原大 휴머니티敎養大學 敎授

    kpleedonga@hanmail.net

    入力 2022-05-11 10:00:02

  • 글字크기 설정 닫기
    • 曳引 한창기의 ‘뿌리깊은나무 博物館’

    • 6400點 遺物, 판소리 聖戰 羞惡黨까지

    • 오정해와 김명곤의 소리를 듣고 싶다

    전남 순천시 ‘뿌리깊은나무 박물관’ 한편에 있는 수오당. [이광표]

    全南 順天市 ‘뿌리깊은나무 博物館’ 한便에 있는 數梧堂. [이광표]

    누군가 “20世紀 後半 韓國의 曳引(藝人)을 꼽아보라”고 한다면, 나는 躊躇 없이 한창기(1936∼1997)를 내세울 것이다. 그를 한 番도 만나본 적이 없는데 언제부턴가 자꾸만 그에게 끌린다. 그가 世上을 떠난 지 20餘 年 흘렀지만 한창기를 記憶하는 이는 적지 않다. 그의 痕跡을 만날 수 있는 方法은 오래된 雜誌 ‘뿌리깊은 나무’와 ‘샘이 깊은 물’을 뒤적여보는 일. 그것만으로 아쉽다 싶으면 全南 順天市 낙안읍성 마을로 간다. 그곳에 있는 ‘뿌리깊은나무 博物館’에서 한창기 컬렉션을 만나고 野外에 있는 멋진 古宅 수梧堂(羞烏堂)을 거닌다. 그런데 羞惡黨은 元來 求禮의 智異山 자락에 있던 短簫 名人 김무규(1908∼1994)의 집이었다. 그 집이 어떻게 이곳으로 오게 된 것일까.

    아름다움을 제대로 사랑한 한창기

    한창기의 履歷을 要約해 보자. 1936年 全南 寶城郡 筏橋 出生. 서울大 法大 卒業. 法曹界가 自身의 길이 아님을 깨닫고 卓越한 英語 實力을 바탕으로 美8군에서 飛行機票와 英語 聖經冊 等을 販賣. 브리태니커 百科事典 세일즈맨으로 活躍하면서 새로운 次元의 營業 文化를 開拓. 韓國브리태니커 代表 지냄. 브리태니커 收益金을 韓國의 傳統文化 暢達에 쓰겠다고 美國 本社에 提案해 同意를 얻음. 1974~1978年 100回에 걸쳐 판소리 鑑賞會 開催. 1976年 月刊 ‘뿌리깊은 나무’를 創刊해 처음으로 한글 專用 表記와 가로쓰기를 導入. 1980年 新軍部에 依해 ‘뿌리깊은 나무’가 强制 廢刊된 뒤 1984年 月刊 ‘샘이 깊은 물’ 創刊. ‘韓國의 發見’ ‘판소리 全集’ ‘民衆 自敍傳’ 等을 出版. 판소리 다섯마당 音盤 刊行. 甕器·白瓷 飯床器 現代化와 잎茶 大衆化에 獻身, 文化財 6400餘 點을 蒐集. 1997年 他界.

    어떤 이는 한창기를 한 時代를 風靡한 月刊誌 ‘뿌리깊은 나무’와 ‘샘이 깊은 물’의 發行人으로 그래서 韓國 出版 歷史에 足跡을 남긴 出版人으로 記憶할 것이고, 어떤 이는 멋쟁이 세일즈맨의 象徵으로 記憶할 것이다. 또 다른 누군가는 傳統文化 保存·復元에 獻身한 사람 或은 民俗 文化財를 蒐集한 컬렉터로 記憶할 것이다. 한창기의 삶을 貫通하는 키워드는 뭘까. 누군가는 “韓國 文化界의 審美的 天才”라고 불렀는데, 나는 “아름다움을 제대로 사랑했던 사람”이라고 말하고 싶다.

    한창기 10周忌였던 2007年 以來 그를 記憶하려는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다. 遺稿集 發刊, 博物館 開館, 다큐멘터리 放送, 記念 展示, 學術的 硏究 等. 그가 發行한 ‘뿌리깊은 나무’와 ‘샘이 깊은 물’ 全權을 蒐集하고 講讀하는 젊은이들까지 있을 程度다.

    1976年 3月 한창기는 月刊誌 ‘뿌리깊은 나무’를 創刊해 世上을 놀라게 했다. 新鮮한 題號, 果敢한 表紙 디자인, 한글 가로쓰기, 아트 디렉션 制度 導入, 出版 實名制, 雜誌廣告 디자인의 革新, 글꼴의 革新 等 ‘뿌리깊은 나무’는 破格的 디자인과 品格 있는 콘텐츠로 大衆 敎養雜誌에 對한 通念을 무너뜨렸다.



    敎養雜誌 通念 무너뜨린 ‘뿌리깊은 나무’

    1976년 3월 발간된 월간 ‘뿌리깊은 나무’ 창간호. [동아DB]

    1976年 3月 發刊된 月刊 ‘뿌리깊은 나무’ 創刊號. [東亞DB]

    特히 創刊號의 標識가 强烈했다. 表紙 위쪽에 訓民正音 書體의 題號를 큼지막하게 配置하고 表紙의 나머지 空間은 寫眞 한 컷으로 꽉 채웠다. 쌀을 한 움큼 퍼 올리는 農夫의 거친 두 손을 클로즈업한 寫眞. 이 寫眞은 ‘農夫’와 ‘쌀’이라는 두 個의 이미지를 통해 民衆의 生命力, 傳統의 存在 意味를 省察하도록 했다. 컬러 寫眞이지만 全體的으로는 褐色 톤이다. 傳統, 흙, 民衆의 이미지를 效果的으로 浮刻하기 위함이다. 이는 현대와 傳統의 調和를 暗示했다. 創刊號의 表紙 디자인은 讀者에게 新鮮한 衝擊이었다. 이러한 雰圍氣는 內容과 形式에서 흐트러짐 없이 이어졌다. 1980年 8月 전두환 新軍部에 依해 强制 廢刊될 때까지 말이다. 當時 문화공보부는 社會淨化라는 名目으로 定期刊行物의 12%(172種)를 폐간시켰다. 이때 ‘뿌리깊은 나무’도 사라졌다.

    한창기가 ‘뿌리깊은 나무’를 創刊한 것은 傳統文化의 意味와 價値를 再發見해 共有하기 위해서다. 그런데 傳統과 民衆의 콘텐츠를 다루면서도 그것을 傳達하는 方式은 現代的이고 美學的이었다. 그 세련됨은 雜誌의 구석구석에 배어 있었다. 이 모든 것이 傳統과 아름다움에 對한 한창기의 執拗함에서 비롯했다.

    한창기는 1970年代 初부터 文化財를 蒐集했다. 當時 韓國日報 論說委員이자 文化財委員이던 예용해(1929~1995)와 交遊하면서 蒐集에 깊이 빠져들었다. 예용해가 누구인가. 當代를 代表한 文化財 專門家로 ‘人間 文化財’라는 用語를 만들어낸 人物이다. 한창기는 예용해와 함께 “하루가 멀다 하고 인사동을 드나들면서 土器, 白瓷, 民畫를 통해 韓國 傳統의 美를 熱情的으로 涉獵해 나갔다.”(한창기의 知人이던 곽소진의 證言, ‘特輯! 한창기’, 創批, 2008)

    한창기는 聽者, 白瓷, 會話, 金銅佛像 같은 古美術 文化財보다는 土器, 石物, 民畫, 목家具, 衣食住 關聯 遺物 等 民俗文化財를 主로 蒐集했다. 土器, 瓦當(瓦當), 石物(石物), 목家具, 小盤, 螺鈿함, 網巾과 網巾桶, 빗과 비녀, 傳統 樂器(北, 短簫, 퉁소, 大笒, 伽倻琴, 꽹과리 等), 籌板, 됫박, 갓집과 思慕함, 담배盒과 담뱃대, 燈盞걸이와 촛臺, 傳統 韓服(저고리, 치마, 두루마기 等), 이불, 베개, 方席, 신발(太史鞋, 唐鞋, 雲鞋, 짚신), 眼鏡과 眼鏡집, 負債, 筆筒과 硯滴, 木雁(木雁), 民畫, 全的類, 地圖 等 民衆의 生活相이 담겨 있는 遺物이다. 1997年 他界할 때까지 모은 文化財가 6400餘 點에 達한다.

    6400點 文化財 모인 ‘뿌리깊은나무’ 博物館

    2011년 문을 연 전남 순천시의 순천시립 ‘뿌리깊은나무 박물관’. 한창기가 살아생전 모은 다양한 유물이 전시돼 있다. [이광표]

    2011年 門을 연 全南 순천시의 順天市립 ‘뿌리깊은나무 博物館’. 한창기가 살아生前 모은 다양한 遺物이 展示돼 있다. [이광표]

    한창기가 世上을 떠나고 그의 컬렉션은 遺族이 保管했다. 博物館을 建立하고자 했으나 이런저런 어려움에 逢着했다. 遺族들은 財團法人 ‘뿌리깊은나무’를 設立해 컬렉션을 保管하다 순천시에 寄託했고, 全南 순천시가 博物館 敷地를 提供함으로써 2011年 順天市립 뿌리깊은나무 博物館이 門을 열게 됐다.

    뿌리깊은나무 博物館은 담백하다. 特別히 華麗하지도 않다. 博物館에는 그가 蒐集한 遺物이 가지런히 展示돼 있다. 遺物도 좋지만 그가 發行하던 ‘뿌리깊은 나무’ ‘샘이 깊은 물’은 勿論 그의 유고와 遺品, 生前에 寄稿한 글들이 정겹게 다가온다. 그가 着用하던 옷과 眼鏡, 時計도 있다. 한창기는 韓服이면 韓服, 洋服이면 洋服 모두 正統으로 제대로 입는 멋쟁이였다. 그와 關聯된 다큐 映像物도 感動的이다.

    野外 展示場의 石物도 좋은 구경거리다. 華奢하지 않지만 餘韻이 오래 가는 石物들. 어찌 보면 한창기 컬렉션의 精髓라고 해도 좋을 것 같다. 石佛, 文人石, 武人石, 童子石, 長明燈, 望柱石, 石造(石槽), 돌구유, 돌확, 돌절구…. 花崗巖의 質感이 참 좋다. 穩全한 것도 있지만 부서지고 깨진 것도 많다. 목이 부러진 石佛, 塔身은 사라지고 屋蓋石들만 올려놓은 石塔을 보면 참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한다. 國立慶州博物館 野外에 展示 中인 머리 없는 石佛들이 떠오른다. 김무규 古宅 수오당이 그 石物 展示場 바로 옆에 있다.

    ‘西便制’ 낳은 수梧堂

    수오당은 김무규 명인의 생가이며 영화 ‘서편제’의 촬영지로 잘 알려져 있다. [동아DB]

    羞惡黨은 김무규 名人의 生家이며 映畫 ‘西便制’의 撮影地로 잘 알려져 있다. [東亞DB]

    羞惡黨은 全南 求禮郡 元來 구례읍 산성리 智異山 자락에 있었다. 이곳이 大衆에게 알려진 때는 映畫 ‘西便制’에 登場한 뒤부터다. 暫時 映畫 속으로 들어가 보자. 떠돌이 소리꾼 父女, 酉峯(김명곤)과 松花(오정해)는 어느 날 南道 땅 韓屋에 暫時 몸을 依託한다. 그곳 舍廊채에서 유봉은 눈먼 송화의 머리를 정성스레 빗겨준다. 그런데 바로 옆 樓마루에서 거문고 소리가 들려온다. 이에 맞춰 유봉이 口音(口音)으로 노래한다. 悽然하기도 하고 悲壯하기도 하다.

    映畫에서 거문고를 연주한 사람은 人間文化財이자 短簫·거문고 名人이던 김무규, 撮影 場所는 求禮 김무규 家屋의 舍廊채 樓마루였다. 임권택 監獄이 김무규의 집에서 映畫의 한 場面을 찍은 것이다.

    김무규는 短簫와 거문고의 當代 最高 名人이다. 特異하게도 短簫·거문고 名人 以前에 歷史學者이고 國語學者였다. 오랫동안 구례중·高等學校 敎師와 校長을 지낸 履歷이 이를 잘 보여준다. 技藝에 앞서 世上을 보는 哲學을 더 重視했다고 할까. 김무규의 孫子인 大笒 演奏者 김정승(한국예술종합학교 敎授)은 이런저런 인터뷰에서 할아버지를 이렇게 回顧했다. “漢學에 精通하고 늘 願書를 가까이하며 學問을 닦으셨다. 억지로 國樂을 가르치거나 强要하지 않으셨다. 音樂은 風流로 즐겨야지 돈을 버는 手段으로 삼아선 안 된다고 말씀하셨다.” 김무규 音樂의 넉넉함 或은 大汎함이 느껴지는 대목이다.

    김무규 古宅은 1922年 지어졌다. 이곳에서 김무규는 熱心히 冊을 읽고 短簫와 거문고를 工夫했으며 後學도 길렀다. 김소희 名唱 等 많은 國樂人이 이곳을 드나들었다고 하니 國樂과 風流를 즐기는 이들의 舍廊房이었던 셈이다. 그 核心 空間은 舍廊채 樓마루였을 것이다. 映畫 ‘西便制’의 主演俳優 김명곤度 大學 時節 病 治療를 위해 智異山 庵子에 머물다 이곳을 찾아 短簫를 배웠다고 한다. 西便制를 撮影한 것도 이 因緣 德分이라고 한다.

    김명곤은 月刊誌 ‘뿌리깊은 나무’의 記者였다. 그가 박초월 名唱에게 판소리를 師事하던 1977~1978年 記者로 일했다. 김명곤의 回顧. “뿌리깊은 나무와의 因緣은 一 年밖에 맺어지지 않았지만 한창기 社長과의 因緣은 돌아가실 때까지 이어졌다. 그것은 아마도 한창기 社長이 追求했던 우리말과 傳統文化에 對한 사랑에 나도 心醉했고. (…) 내가 하고자 하는 일들에 對해 놀라운 識見으로 助言과 批判을 아끼지 않으셨을 텐데, 이승에 안 계시니 아쉽고 그립다.”(‘특집! 한창기’, 創批, 2008)

    수梧堂, 順天 온 까닭

    求禮에 있어야 할 이 韓屋이 어떻게 順天까지 옮겨온 것일까. 이 얘기를 하려면 1970年代로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 한창기는 1974年부터 1978年까지 100回에 걸쳐 판소리 鑑賞會를 開催했다. 처음엔 ‘브리태니커 판소리 鑑賞會’라는 이름으로 始作해 1976年 ‘뿌리깊은 나무 판소리 鑑賞會’로 이름을 바꾸었다.

    1970年代는 밀려드는 西歐文化의 물결 속에서 우리 傳統文化에 對한 關心이 식어가던 時節이다. 판소리도 마찬가지였다. 이런 狀況에서 한창기의 판소리 鑑賞會는 傳統音樂의 存在感을 알리는 데 적잖은 影響을 미쳤다. 한창기는 100回 公演을 마치고 이렇게 所感을 밝힌 바 있다. “적어도 판소리를 絶命의 危機에서는 求한 것으로 여겨지며 그로써 이 鑑賞會의 所任은 끝났다.”

    1980年代 大學街에서 傳統 公演이 人氣를 끈 데는 뿌리깊은 나무 판소리 鑑賞會라는 밑거름이 있었다. 한창기는 판소리 鑑賞會 때 부른 소리 가운데 조상현의 ‘春香歌’, 한애순의 ‘沈淸歌’, 박봉술의 ‘興甫歌’와 ‘水宮歌’, 정권진의 ‘赤壁歌’ 等을 다시 錄音해 1982年 ‘뿌리깊은 나무 판소리’란 이름으로 音盤 23張을 내놓았다. 同時에 이에 對한 社說集을 ‘뿌리깊은 나무 판소리 다섯마당’(前 6卷)이란 冊으로 出版했다. 이 冊은 全面的 脚註가 붙은 最初의 판소리 社說集이다.

    그런 한창기가 김무규를 모를 理 없다. 뿌리깊은 나무 事務室에서 記者였던 김명곤과 판소리를 주고받을 程度였는데, 求禮의 羞惡黨을 모를 理 없다. 판소리와 우리 가락을 사랑했던 한창기에게 김무규 古宅 羞惡黨은 魅力 덩어리가 아닐 수 없다. 建物도 建物이지만 그곳에 담겨 있는 來歷과 스토리를 더 좋아했을 것이다. 그래서인지 한창基는 1980年代 들어 羞惡黨을 눈여겨봤다. 買入하고 싶을 만큼 탐냈다는 말이다. 그러나 김무규가 살고 있는 집을 팔라고 할 수는 없는 法. 기다려야 하지 않았을까.

    그러다 歲月이 흘러 1993年 ‘西便制’가 開封했다. 서울 團成社에서 開封한 西便制는 그야말로 ‘大舶’을 터뜨렸다. 觀覽客이 110萬 名을 넘었으니 當時로서는 엄청난 記錄이었다. 그런데 이듬해인 1994年 김무규는 世上을 떠났다. 1996年頃 한창기의 健康이 急速度로 惡化했고, 1997年 世上을 떠났다. 그와 함께 羞惡糖度 사람들의 머릿속에서 잊혀갔다. 한창기가 더 오래 살아 羞惡黨을 買入했다면, 그곳에서 魅力的 프로그램이 여럿 만들어졌을 텐데.

    羞惡黨에 다시 판소리가 들렸으면…

    한창기 事後, 그의 컬렉션을 保管·硏究·展示하기 위한 博物館 建立이 推進됐다. 그 過程에서 遺族들은 求禮의 김무규 古宅을 떠올렸다. 한창기가 그렇게도 좋아했던 김무규 古宅. 狀況을 알아보니 그 집이 비어 있었고 遺族들은 이를 買入해 2006年 낙안읍성 옆 博物館 野外 敷地로 옮겼다. 뿌리깊은 나무 博物館이 公式 開館하기 5年 前의 일이다.

    2006年 古宅을 解體해 順天으로 옮길 때, 求禮 사람들은 “김무규 先生 古宅을 지키지 못해 부끄럽다”고 말했다고 한다. 그때 求禮 사람들의 마음은 그랬을 것이다. 그럼에도 한창기의 遺族이 羞惡黨을 買入해 뿌리깊은나무 博物館 野外로 옮긴 것은 卓越한 選擇이다. 솟을大門을 들어서면 舍廊채 樓마루가 한눈에 들어온다. 映畫 ‘西便制’에 登場했던 그 空間. 典型的 兩班 家屋인 羞惡黨은 반듯하고 깔끔하다. 안채 뒤쪽으로 가면 정갈한 醬독臺가 찾는 이의 발걸음을 오랫동안 붙잡는다. 古宅 담牆 너머로는 낙안읍성 風光이 쫙 펼쳐진다.

    그런데 이곳을 찾을 때마다 아쉬움이 남는다. 이 空間의 本質과 意味를 제대로 드러내지 못하기 때문이다. 왜 이곳으로 옮겨왔는지, 김무규는 누구인지, 한창기라는 사람이 이 建物에 왜 눈毒을 들였는지, 김명곤은 中間에서 어떤 役割을 했는지, 月刊誌 ‘뿌리깊은 나무’와 한창기는 우리 가락에서 어떤 位置에 있는지 等等을 이곳에서 經驗할 수 없다는 말이다.

    한창기, 김무규, 김명곤, 수梧堂, ‘西便制’, ‘뿌리깊은 나무’의 스토리는 感動的이고 한便으론 力動的이다. 그 因緣은 奧妙하고 아름답다. 하지만 막상 羞惡當 現場에선 이런 雰圍氣를 느낄 수가 없다. 求禮에서 옮겨 온 韓屋 建物만으로는 感動을 주지 못한다. 그 建物을 視覺的으로 만나는 것만으론 그 意味와 아름다움을 제대로 經驗할 수 없다. 김무규 故宅의 本質은 視覺的인 建物이 아니다. 이 建物에서 이뤄졌던 다양한 音樂 活動이 羞惡黨의 本質이다. 그것은 한창기를 中心으로 한 아름다운 因緣이기도 하다. 그 因緣을 다시 만나기 爲해선 뿌리깊은나무 博物館의 數오당이 좀 더 분주해져야 한다. 이곳에서 김무규의 短簫와 거문고 소리를 들을 수 있어야 하고, 한창기가 사랑했던 판소리 다섯마당度 들어볼 수 있어야 하지 않을까. 오정해와 김명곤의 소리라면 더 좋을 것 같다.


    이광표
    ● 1965年 忠南 豫算 出生
    ● 서울대 考古美術史學科 卒業
    ● 高麗大 大學院 文化遺産學協同過程 卒業(博士)
    ● 前 동아일보 論說委員
    ● 著書 : ‘그림에 나를 담다’ ‘손 안의 博物館’ ‘韓國의 國寶’ 外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