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죽을 때 몸과 돈 누구에게 맡길지 생각하고 準備해야”|신동아

2022年 5 月號

“죽을 때 몸과 돈 누구에게 맡길지 생각하고 準備해야”

[플라톤아카데미와 함께하는 ‘삶이 묻는 것들에 答하다’] ‘30年 殮장이’ 유재철 氏가 傳하는 삶과 죽음

  • 허문명 記者

    angelhuh@donga.com

    入力 2022-05-16 10:00:01

  • 글字크기 설정 닫기
    • 屍身에 念하면 靈魂에도 무게가 느껴져

    • 마지막에 돈과 成功이 不幸이 되는 境遇

    • 가장 便安한 죽음으로 만난 어느 할머니

    • 生死 岐路 서보니 삶에는 正答이 없더라

    신동아는 人文學財團 플라톤아카데미와 함께 ‘삶이 묻는 것들에 答하다’ 시리즈를 지난해에 이어 進行한다. 플라톤아카데미는 2010年 11月 設立된 國內 最初 人文學 支援 財團으로 人類의 오랜 知識과 智慧를 바탕으로 삶의 根源的 물음을 새롭게 傳한다는 趣旨로 硏究 支援, 大衆 講演, 온라인 포털 等 다양한 事業을 進行하고 있다. 올해 시즌2로 선보이는 ‘삶이 묻는 것들에 答하다’는 코로나19 以後 많은 것이 바뀌고 있는 世上에서 새로운 價値를 摸索하는 사람들의 인터뷰로 進行한다. 이番號 主人公은 ‘殮장이’(葬禮指導社) 유재철 氏다. <編輯者 週>

    장례지도사 유재철 씨는 “세월이 흐를수록, 경험이 쌓일수록 영혼의 존재를 믿게 된다”며 “마지막까지 죽음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지 못하면 돈과 성공이 가장 불행한 요소가 된다”고 말한다. [허문명 기자]

    葬禮指導社 유재철 氏는 “歲月이 흐를수록, 經驗이 쌓일수록 靈魂의 存在를 믿게 된다”며 “마지막까지 죽음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지 못하면 돈과 成功이 가장 不幸한 要素가 된다”고 말한다. [허문명 記者]

    2006년 서거한 최규하 전 대통령의 하관 광경. 최 전 대통령은 자신의 장례식과 제사를 어떻게 할지를 모두 유지로 남겼다고 한다. 그가 묻힌 대전 현충원 묫자리는 다섯 가지 빛깔의 오색토가 나온 흔치 않은 명당 자리였다. [김영사]

    2006年 逝去한 최규하 前 大統領의 下棺 光景. 崔 前 大統領은 自身의 葬禮式과 祭祀를 어떻게 할지를 모두 維持로 남겼다고 한다. 그가 묻힌 大戰 顯忠院 묫자리는 다섯 가지 빛깔의 誤色토가 나온 흔치 않은 明堂 자리였다. [김영사]

    歷代 大統領, 財閥 會長에서부터 獨居老人, 無緣故者 等 30年 가까이 數千 名의 마지막 가는 길을 함께한 葬禮指導社 유재철(62) 氏가 펴낸 에세이集 ‘大統領의 殮장이’를 읽었다. 題目에서 强調한 前職 大統領 6名의 마지막을 描寫한 部分도 흥미로웠지만 무엇보다 눈길이 갔던 文章은 “歲月이 흐를수록, 經驗이 쌓일수록 靈魂의 存在를 믿게 된다”는 대목이다. 冊에 나오는 글句다.

    “죽으면 모든 게 끝이고 아무것도 아니라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다. 勿論 죽지 않고서는 아무도 모른다. 하지만 頻繁히 죽음을 接해 온 나로서는 靈魂의 存在를 剛하게 느낀다.”

    그가 느낀 靈魂의 存在란 건 果然 무엇이었을까. 答을 듣고 싶어 그와 連絡해 만났다. 봄기운이 宛然한 週末 午後였다.

    산 者보다 죽은 者들과 일하는 것이 맘 便하다는 그의 表情에서 죽음이라는 單語가 주는 무거움이나 어두움은 없어 보였다. 맑고 밝은 印象이었다.



    큰 몸을 잔뜩 움츠리고 숨진 어떤 男性

    人事를 나누고 자리에 앉자마자 結論부터 물었다.

    靈魂의 무게라는 게 뭔가.

    “屍身에 殮을 하면 生前에 體重이 100㎏ 넘게 나갔던 巨軀(巨軀)였는데도 사뿐하게 몸이 들려 가볍게 느껴지는 사람이 있고 40㎏, 50㎏으로 비쩍 마른 사람인데도 너무 무거운 사람들이 있었다. 산(生) 사람들도 마찬가지지만 용을 쓰면 몸이 힘들다. 葬禮式場에서 念佛하던 스님으로부터 들은 말인데 ‘恨을 품고 간 사람들한테는 念佛도 잘 안 된다’고 하더라.”

    具體的 經驗이 있나.

    “어느 날 連絡을 받고 가보니 60代 男性이 큰 몸을 잔뜩 움츠리고 주먹을 꽉 쥔 채 숨져 있었다. 모든 亡者(亡者)는 臨終 後 3, 4時間이 지나면 硬直 現象이 온다. 자는 듯 평화롭게 돌아가신 분들도 나중에는 몸이 若干 뒤틀리며 굳어진다. 그런데 이분은 잔뜩 몸을 웅크린 姿勢로 돌아가셨으니 이튿날 殮할 때까지 그대로 두면 棺 뚜껑을 덮지 못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두 아들과 함께 겨우 몸을 펴서 모신 적이 있다.

    事情을 들어보니 서울에 빌딩 세 채와 집도 몇 채 갖고 있는 富者라고 했다. 末期 癌이 進行돼 더는 스스로 몸을 움직이지 못하는 狀態가 돼 病院에서도 해줄 것이 없다고 했는데도 죽음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家族들에게 있는 대로 火를 내고 辱說을 쏟아내 힘들게 했다고 한다.

    마지막까지 삶에 對한 執着을 버리지 못하면 돈과 成功은 가장 不幸한 要素가 된다. 結局은 다 놓고 가야 하는데 놓지 않으려고 몸부림치다 便하게 눈 감을 機會까지 놓치고 되니 말이다. 온몸이 뒤틀려 硬直된 그분의 屍身에서 죽는 瞬間까지도 모든 것을 부여잡으려 했던 靈魂의 무거움이 느껴졌다.”

    그는 또 世上에 對한 未練이나 欲心은 돈이나 不動産, 名譽나 地位처럼 대단한 것이 아닐 수도 있다면서 이런 이야기도 傳했다.

    “혼자 지내던 庵子에서 실족사한 스님 한분이 있었다. 감나무 가지를 치다가 발을 헛디뎌 絶壁으로 떨어져 돌아가셨는데 추운 겨울이라 며칠이 지나서야 屍身이 發見됐다. 스님의 屍身도 限껏 웅크려 뻣뻣하게 굳어 있었는데 生前에 비쩍 마른 분이었다는데도 너무 무거웠고 도무지 펼 수가 없었다. 손에는 감나무 가지가 꽉 쥐어져 있었는데 그걸 보면서 마지막 瞬間 손안에 쥔 것은 意外로 매우 個人的이고 些少한 것들이 될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스스로 죽을 날 고른 할머니의 境遇

    屍身의 몸 中에서도 손(手)을 눈여겨보는 것 같다.

    “손을 보면 人生을 어떻게 살았는지 느껴지는 境遇가 많다. 주먹을 아무리 펴려고 해도 펴지지 않는 境遇가 있는데 삶에 對한 執着과 未練이 주먹 안에 아직도 버티고 있는 것처럼 느껴지는 境遇가 있다.”

    反對의 境遇는 없었나.

    “나의 마지막도 이랬으면 하는 한 할머니의 葬禮가 기억난다. 男便과 일찍 死別하고 2男 1女 子息들을 잘 키운 분이었다. 여든이 넘어 持病이 惡化돼 가자 어느 날부터 갑자기 穀氣를 끊었다고 한다. 子息들이 ‘제발 드시라’고 懇請해도 ‘精神이 있을 때 떠나겠다’며 아무 말도 않고 누워만 계시다 一週日을 보냈다고 한다. 그러다 볕 좋은 어느 날 아침, 스스로 일어나 깨끗이 沐浴을 하고 生前에 가장 아끼던 粉紅치마 저고리를 꺼내 입더니 소파에 다시 누워 아들이 出勤하는 것까지 보고 잠이 들었다고 한다. 설거지와 淸掃를 마친 며느리가 흔들어 깨웠을 땐 이미 世上을 떠나신 뒤였다.

    흔히 殮襲을 하면 입과 肛門으로 異物質이 새어나오는데 할머니는 마지막에 穀氣를 끊어서였는지 아무것도 나오지 않았다. 沐浴도 하셔서 몸도 깨끗했다. 當身 스스로 殮을 하신 거다. 生前에 葬禮에 對한 言及이나 遺言도 없었고 舞鶴(無學)이라 글도 남기지 않았지만 할머니의 차분한 마무리로 家族들도 차분하게 葬禮를 치를 수 있었다.”

    가장 힘들었던 葬禮도 있었나.

    “이 일을 始作하고 2, 3年 程度 지났을 때였는데 交通事故로 젊은 엄마와 어린 두 아이가 함께 숨을 거둬 葬禮를 치른 적이 있다. 嗚咽하는 젊은 男便 앞에서 엄마와 아이들 屍身을 함께 殮襲을 하는데 精神的으로 괴로웠다. 屍身의 狀態도 너무 좋지 않았다. 自願奉仕로 나선 女子 念死의 도움이 아니었다면 無事히 마칠 수 없었을 葬禮였다. 只今도 어려운 葬禮를 맡으면 27年 前 그날을 떠올린다. 안타깝게 殞命한 屍身을 앞에 두고 울컥할 때면 엄마와 두 아이를 함께 떠나보내던 그날만큼 힘든지 自問하면서 마음을 다잡는다.”

    살아 있어도 죽은 것처럼 사는 사람이 많다

    2010년 3월 13일 법정스님 운구 장면. 유재철 씨는 “스님의 마지막 모습이 너무 편안해 보여 흔들어 깨울 뻔했다”며 “생전에 ‘관도 준비하지 말라’고 하셨지만 다비장까지는 어쩔 수 없이 운구가 필요해 평소 쓰시던 다나무 평상에 모셔 옮겼다”고 했다. [김영사]

    2010年 3月 13日 法頂스님 運柩 場面. 유재철 氏는 “스님의 마지막 모습이 너무 便安해 보여 흔들어 깨울 뻔했다”며 “生前에 ‘棺도 準備하지 말라’고 하셨지만 茶毘場까지는 어쩔 수 없이 運柩가 必要해 平素 쓰시던 多나무 平牀에 모셔 옮겼다”고 했다. [김영사]

    殮襲은 故人을 마지막으로 沐浴시키고 깨끗한 옷을 입혀 棺에 모시는 일이다. 葬禮指導社가 하는 일 中에서 가장 象徵的이고 重要한 節次다. 옛날에는 염장이라고 불렀다.

    只今이야 그렇지 않지만 일을 始作했을 때만 해도 선뜻 일을 擇하기 어려웠을 텐데.

    “事業을 하다가 亡해서 心的으로 힘들 때 因緣이 돼 일을 始作했다. 殮을 하는 것 自體는 拒否感이 없었다. 大學校 1學年 때 할머니가 돌아가셨을 때 아버지와 큰아버지를 도와 殮을 해드린 적도 있고, 둘째 할아버지 殮을 한 일도 있다.

    屍身 하면 ‘좀비’나 ‘僵屍’ 이미지를 떠올리는데 미디어가 만든 先入見이다. 나는 殮襲이나 酸素 일을 完璧하게 해냈을 때 느끼는 뿌듯함이 돈을 만졌을 때의 滿足感보다 크다. 遺族이 慰勞받는 모습을 보면 보람을 느낀다.

    只今이야 念하는 일이 專門職으로 인정받고 있지만 한동안 나 亦是 家族한테조차 祕密에 부칠 程度였다. 屍身을 만진다는 理由로 不潔하다며 握手下記를 躊躇하는 사람도 있었고, 殮할 때는 그저 ‘고맙다, 고맙다’ 하다가도 飮食 나르는 일을 거들기라도 할라치면 ‘屍身 만진 손으로 飮食을 만지면 어떡하느냐’고 대놓고 싫어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요즘 이 일을 해보겠다고 찾아오는 젊은 사람들도 있다고 들었다.

    “맞다. 關聯 大學을 나오면 就業도 100%다. 하지만 絶對 쉽게 생각하면 안 된다. 周邊에 젊은이들이 내게 自己들도 해보고 싶다고 하면 ‘洞네 葬禮式場 가서 無料로 淸掃부터 해보라’고 말한다. 殮襲을 包含해 모든 葬禮 意識은 故人의 人生을 잘 갈무리하고 떠나보내는 사람의 마음을 慰勞하는 일이다. 그 일이 正말 重要하다는 걸 알아야 한다. 나 같은 境遇 처음 2年은 全國에 有名하다는 葬儀社들을 찾아다녔고 스님들을 찾아가 가르침도 받았다. 大學院 工夫도 게을리하지 않았다. 來日 무너져도 全혀 異常할 것 없는 낡은 집에서 사는 가난한 사람들부터 歷代 大統領, 財閥 會長들까지 수많은 죽음을 만났다.

    사람들이 ‘只今까지 몇 名이나 殮을 했느냐’고 해서 4~5年 前까지만 해도 3000名이라고 答한 적이 있는데 只今은 세지 않는다. 모든 分의 죽음에는 決코 가볍지 않은 무게가 있다. 늘 그 무게와 마주하며 살다 보니 하루하루 虛套루 보낼 수 없게 된다. 故人을 보낼 때마다 참된 삶이란 무엇인가 가르침을 받고 있다.”

    그래도 毁損된 屍身을 里長하거나 收拾하는 건 힘들 것 같은데.

    “무섭다기보다 안됐다는 마음이 들어 어떻게 하면 빨리 옷을 입혀드리고 눕혀드릴까 그런 생각부터 한다. 나는 내가 殮을 하는 瞬間 만나는 亡者에만 集中한다. 가끔 49再에도 갈 때가 있는데 影幀 寫眞을 보고서야 내가 念해드린 그분이 맞나 할 때가 있다. 殮을 하고 나오는 瞬間 故人에 對해서는 잊어버린다.”

    그는 수많은 죽음과 대면하며 삶에는 答이 없다는 事實을 깨달았다고 했다.

    “젊을 때는 나도 내 생각이 옳다고 믿었다. 하지만 삶에는 正말 正答이 없더라. 남과 比較하며 더 가지려고 하는 사람의 마음에는 眞正한 自己는 없고, 自己를 괴롭히는 怪物만 있다고 생각한다. 삶에 答이 없지만 그래도 잘사는 것이라고 할 수 있는 한 가지는 있다. 바로 ‘살아 있는’ 사람처럼 사는 것이다. 살아 있어도 죽은 것처럼 사는 사람이 많다. 生氣가 없는 사람들이다. 좋아하는 일에 熱情을 쏟을 때 生氣가 돌고 살아 있는 사람이 된다. 내게는 故人이 어떤 사람이든 죽음을 맞이한 사람을 便安하게 보내는 일이야말로 삶에 生氣를 불어넣는 일이다.”

    그는 그러면서 무슨 일이든 肯定的으로 생각하며 하루하루 省察하는 게 重要하다고도 했다.

    “墓를 移葬하며 屍身을 收拾하는 일도 하고 있는데 어느 家族이 생각난다. 管에 물이 차서 屍身 모습이 險하게 變했는데도 子息들이 ‘우리 아빠 沐浴하고 나오셨다’며 밝게 그 狀況을 받아들였다. 똑같은 狀況이라도 어떻게 받아들이냐에 따라 結局 삶의 質이 바뀐다. 그게 人格이 되고 그렇게 돼야 幸福이 온다.

    언제 어떻게 죽을지 모르는 人生인데 우리는 來日이 當然한 줄 알고 산다. 나 亦是 큰 交通事故로 까딱하면 ‘來日’을 맞지 못할 뻔한 적이 있다. 後悔 없이 산 人生이 잘 산 人生이라고들 하는데 事實 우리는 每日 後悔할 일을 하며 살고 있지 않은가. 그러면서 죽음이 臨迫할 때는 淸算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막상 나도 生과 死의 岐路에 서보니 每日 反省하지 않으면 죽기 前에 그 일을 淸算하지 못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엔딩노트를 써보라

    요즘 웰 다잉에 對한 關心이 높다.

    “죽음을 抽象的으로 생각하는데 젊을 때부터 엔딩노트를 써볼 것을 勸한다. 이를테면 마지막 瞬間에 내 돈과 몸을 누구에게 맡길 것인가 하는 것은 매우 重要한 問題다. 그걸 생각하면 내게 第一 所重한 사람이 누구인가 하는 게 떠오른다. 世俗的으로 利得이 되는 사람과의 交流도 重要하지만 現在 時點에서 내 몸과 돈을 누구에게 맡길 것인지를 생각하면서 맺는 交流는 또 다르게 다가온다.

    또 내게 重要한 物件을 누구에게 줄 것인지, 마지막에 醫療 行爲를 어디까지 할 것인지, 化粧을 할 건지 埋葬을 할 건지도 미리 생각하고 記錄해 놓는 게 좋다. 어느 집의 境遇 葬禮 期間 家族들끼리 火葬이냐 賣場이냐를 두고 다섯 番이나 바뀐 境遇도 있었다.

    事實 어제 너무 속상한 일이 있었다. 平素 알고 지내던 比丘尼 스님으로부터 親戚이 갑자기 돌아가셔서 殮을 해달라는 付託을 받았는데 혼자 살던 분이라 가까운 親戚도 없었고 親舊도 없어 아파트 祕密番號를 몰라 애를 태웠다. 겨우 指紋을 照會해 먼 親戚을 찾았는데 葬禮도 안 치르고 化粧을 하겠다고 해서 囚衣만 건네주고 돌아왔다.

    葬禮式은 結局 살아 있는 사람의 일이다 보니 살기도 바쁜 世上에서 죽음을 미리 생각하는 건 時間 浪費처럼 느껴질 수 있고 막상 닥치면 누구나 다 어떻게든 치러내기 때문에 잘 생각하지 않는 것 같다. 하지만 죽음도 平素 準備해야 한다.”

    좀 더 具體的으로 助言해 준다면.

    “亡者를 보내드릴 때에는 ①屍身에 對한 處理가 있고, ②社會的 關係에 對한 處理가 있다. 우리나라 葬禮는 大部分 葬禮式場이나 相助會社에서 시키는 대로 치러진다. 故人들의 人生은 모두 다른데 모시는 方式은 內容은 없고 形式만 남아 있다 보니 어느 葬禮式에 가도 비슷비슷하다. 나의 境遇 2014年에 丈母님 葬禮式 때 發靷 前날 저녁 家族들이 모여 哀悼式을 했다. 아내가 어머니의 略歷을 읊었고 詩朗誦 판소리까지 했다. 30分 내내 故人과 함께 있다가 떠나보내 드렸다는 느낌이 들었다.

    내 親한 親舊는 形式的인 弔問을 받고 싶지 않다며 母親喪을 누구에게도 알리지 않았다. 그리고 故人의 魂이 順坦하게 빠져나가길 기다리겠다며 家族들만 모여 亡者와 8時間을 집에서 보낸 後 그대로 化粧하고 어머니를 보내드렸다. 形式的인 弔問을 받고 싶지 않다면서 말이다. 兄弟들 宗敎도 제各各이었지만 아무도 自己 欲心을 내세우지 않았고 오로지 어머니를 위한 葬禮만 오랜 期間 準備해 왔다. 發靷 前날 哀悼式만 했다. 訃告를 받아 든 周邊 사람들은 이런 이야기들을 傳해 들으며 故人이 俗世를 훌훌 털고 가벼운 마음으로 돌아가셨음을 누구도 疑心하지 않았다.”

    요즘은 正말 弔問도 받지 않고 집에서 家族葬으로 치르겠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많은 것 같다.

    “그럴 境遇 節次를 미리 알아놓는 것도 重要하다. 집에서 死亡한 境遇 119나 警察에 申告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正常的으로 돌아가신 분들의 境遇 亡者가 숨을 거두면 醫師의 死亡診斷書가 必要하다. 미리 葬禮指導社와 相議해 놓는 것도 좋다. 死亡診斷書가 나오면 24時間이 지나야 化粧을 할 수 있다. 더운 季節에는 冷藏館 서비스를 받을 수도 있다. 하루 使用料 約 20萬 원假量 된다. 집에서 모셨다가 死亡診斷書 받고 火葬場으로 移動하면 된다.”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