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雙둥이에 없던 이마 주름…調理院서 발찌 미리 떼고 바꿔치기” 衝擊 : 비즈N

“雙둥이에 없던 이마 주름…調理院서 발찌 미리 떼고 바꿔치기” 衝擊

뉴스1

入力 2022-04-29 14:45 修正 2022-04-29 17:13

|
폰트
|
뉴스듣기
|
記事共有  |  
  • 페이스북
  • 트위터
ⓒ News1 DB

서울의 한 産後調理院의 失手로 雙둥이 아기가 다른 아기와 바뀔 뻔한 事件이 發生해 衝擊을 주고 있다.

지난 24日 한 妊娠·出産 關聯 커뮤니티에는 ‘調理院에서 雙둥이가 바뀌어서 나왔다’라는 題目의 글이 올라왔다.

2週 前 雙둥이를 健康하게 出産한 뒤 서울 江東區의 한 産後調理院에 入所한 A氏는 이날 아침 退所하기 위해 짐을 챙기고 있었다.

불러둔 택시에 搭乘하려던 A氏는 아기 얼굴이 어딘가 다르다고 느꼈다. 그는 “元來 우리 아기한테 없던 이마 주름이 보였다”며 “겉싸개에 쌓인 아기 얼굴을 꺼내보니 우리 아기가 아닌 것 같았다”고 說明했다.

이어 “아기들이 눈 감고 (包袋에) 쌓여있으니 긴가민가했는데 異常하다 싶어서 보니 確實히 우리 아기가 아니었다”며 “新生兒室에서 우리 雙둥이랑 울음소리와 體格이 비슷해서 눈여겨보던, 며칠 前에 새로 들어온 아기였다”고 말했다.

憤怒한 A氏가 “이건 아니다. 미쳤다. 우리 雙둥이가 아니다”라고 剛하게 抗議하자, 調理院 課長은 唐慌하면서도 “아니에요. 잘 봐요. 설마 그럴 理가 있겠어? 雙둥이 맞아요”라며 否定했다.

A氏는 온몸을 부들부들 떨며 곧장 調理院에 다시 들어갔다. 그제야 調理院 側은 “失手로 다른 아기를 싸준 게 맞다”고 認定했다. 雙둥이 中 둘째는 新生兒室에 있던 것으로 確認됐으며, 바뀐 아기 엄마와도 이야기를 나눴다.

그는 “안 그래도 雙둥이 얼굴이 너무 비슷하고 둘 다 헷갈릴까 봐 하나하나 神經 쓰고 조심스러웠는데 21世紀에 이런 일이 생기냐”며 “世上에 어떤 調理院에서 이런 式으로 對處하냐”고 憤痛을 터뜨렸다.

이어 “발찌(이름標) 떼지 말라고 하고 싶었는데 내가 어머님 모셔다 드리고 오는 사이에 이미 가위로 싹둑 잘라버렸다”며 “내가 分明 아이 確認 後 新生兒室에 보내고 싶다고 미리 몇 番이고 申申當付했는데 確認도 前에 이미 잘라버렸다”고 强調했다.

그러면서 “多幸히 택시 出發하기 前에 알아서 일찍 收拾할 수 있었지만, 萬에 하나 집까지 到着해서 알았다면 精神줄 놓았을 뻔했다”고 吐露했다.

또 A氏는 “雙둥이 中 한 名 調理院에 두고 왔으면 어쩔 뻔했냐. 모르는 아이 平生 우리 집에서 키울 뻔했다”며 “그 아기 엄마도 얼마나 衝擊이 클까. 常識的으로 이런 失手 하는 게 理解가 안 간다. 이 程度면 매뉴얼이 없다는 생각이 든다”고 指摘했다.

한便 이 글을 본 한 누리꾼은 “지난番에 國民請願 올라온 調理院”이라고 主張했다. 該當 國民請願에 따르면, 지난 2020年 6月 태어난 지 7日 된 아기가 이 調理院에서 突然 피를 쏟고 5週째 意識不明 狀態에 빠졌다.

아기 病名은 GBS菌에 依한 敗血症으로 알려졌으며, 請願人은 “아기가 시름시름 앓았는데도 産後調理院에서는 父母에게 빨리 알리지 않았다”고 主張했다.

또 “아기가 新生兒室에서 어떤 狀態였는지 確認하기 爲해 CCTV를 要請했는데 갑자기 修理하는 過程에서 지워졌다더라”며 醫療 死角地帶가 없도록 産後調理院에 CCTV 設置 및 映像保存 義務化해달라고 呼訴했다.


(서울=뉴스1)


라이프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