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삶의 全般은 企業인 後半은 敎育인…최명재 民士高 設立者 別世 : 비즈N

삶의 全般은 企業인 後半은 敎育인…최명재 民士高 設立者 別世

뉴시스

入力 2022-06-26 19:49 修正 2022-06-26 19:49

|
폰트
|
뉴스듣기
|
記事共有  |  
  • 페이스북
  • 트위터

民族史觀高等學校(民士高)의 設立者 최명재 前 파스퇴르유업 會長이 26日 老患으로 別世했다.

26日 民士高 側은 “(故人은) 삶의 前半戰은 企業人으로, 後半戰은 敎育人으로 韓國 社會에 警鐘을 울린 時代의 反抗兒이자 奇人이었다. 國民에게 差別化된 質 좋은 牛乳를 供給하겠다는 信念으로 旣存 劉加工業界와 熾烈하게 싸웠고, 高校平準化 흐름 속에서도 民族의 指導者를 키우기 위한 英才 敎育을 主唱했다”고 밝혔다.

이어 “그 모든 過程에서 自身의 信念을 굽힌 적이 없었다. 日帝 强占期 時節 學校 設立에 財産 大部分을 바친 父親처럼, 故人의 平生 꿈은 民族의 指導者를 養成하는 先生이 되는 것이었다. 故人의 剛한 念願과 거침없는 推進力으로 오늘날의 民士高가 誕生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崔 理事長은 1927年 全北 金堤郡에서 태어난 故人은 만경普通學校, 全州북중을 거쳐 경성경제전문학교(서울대 相對의 前身)를 卒業했다.

그는 卒業 以後 商業銀行에서 職場 生活을 始作한 뒤 택시 運轉士로 轉職했다가 1960年代 直接 성진運數를 세웠다. 1970年代 中盤엔 이란에 進出해 유럽과 中東을 오가며 물類 事業을 키웠다.

以後 故人은 물類運送業으로 마련한 資金으로 酪農業에 뛰어들어 1987年 江原道 橫城에 파스퇴르乳業을 創立했다. 國內 最初로 低溫殺菌 牛乳를 導入했고, 品質을 認定 받아 國內 企業 最初 美軍에 牛乳를 納品했다.

企業活動을 통해 資金을 마련한 그는 지난 1996年 오랜 宿願이던 學校 設立을 推進했다. 그는 私財를 털어 民士高를 設立했고 投資 規模가 1000億원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各種 講演에서 崔 理事長은 “나는 장사꾼이다. 旣往 장사를 始作한 바에는 큰 장사를 하려고 한다. 創造的인 天才 한 사람이 數百萬 名을 먹여 살린다고 한다. 學校를 만들고 영재를 敎育해 將次 이 國家와 民族을 위해 일하게 한다면 나로서는 數千, 數萬倍 利益을 얻는 셈이 아니겠는가”라며 敎育의 뜻을 밝혔다.

故人은 設立 初期 直接 校長으로 就任해 敎育을 이끌기도 했다. 日帝强占期를 經驗했던 그는 學生들에게 “曺國과 學問을 위한 工夫를 하고, 出世가 아니라 素質과 適性에 맞는 進路를 擇해야 한다”고 强調한 것으로 알려졌다.

民士高는 1995年 10月17日 設立 認可를 받아 中學校 成跡 全國 上位 1% 以內인 學生을 對象으로 3學級 30名을 選拔해 開校했다.

民士高 個校 이듬해 外換 危機가 터졌고 故人은 2004年 會社를 賣却한 뒤 經營에서 물러나 民士高 運營에만 注力했다. 設立 初期 學費와 食費 等이 全額 無料였지만 財政 支援이 中斷되면서 登錄金을 받는 形態로 變更됐다.

2010年 自立型 私立高等學校 示範 運營學校로 指定된 뒤 2010年 6月30日 自律型私立高等學校(自私高)로 轉換됐다.

現在 故人의 長男인 최경종 民士高 行政室長이 維持를 이어 學校 運營을 맡고 있다.

故人의 殯所는 서울아산병원 葬禮式場, 發靷은 28日 午前 6時 20分이다. 永訣式은 28日 午前 9時 民士高에서 學校長으로 擧行되며 葬地는 民士高가 자리한 橫城郡 덕고산 자락이다.

[서울=뉴시스]

라이프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