半달가슴곰 成體가 2年 連續 非武裝地帶(DMZ)에서 發見됐다. 2018年 새끼가 처음 發見된 後 2年 連續 捕捉된 건 이番이 처음이다.
環境部와 國立生態院은 지난해 非武裝地帶(DMZ) 東部地域 生態調査에서 滅種危機 野生生物 Ⅰ級 ‘半달가슴곰’ 書式을 把握했다고 23日 밝혔다.
國立生態院 硏究陣은 2014年부터 DMZ에 無人센서카메라를 設置하고 野生動物을 觀察해 왔다.
DMZ 東部地域에서 半달가슴곰이 發見된 건 2020年에 이어 2年째다. 軍部隊에서 保安 檢討 等을 거쳐 보내온 無人센서카메라 資料에 半달가슴곰이 捕捉됐다.
2020年 4月16日 한 곳에서 半달가슴곰 聖體 1마리가 捕捉된 後 다음달인 5月29日 다른 地域에서 聖體 1마리가 찍혔다.
지난해 4月21日 또 다른 位置에서 聖體 1마리, 8月21日 같은 場所에서 同一 個體로 推定되는 1마리가 各各 捕捉됐다. 앞서 6月1日에도 같은 個體로 推定되는 1마리가 다른 位置에서 撮影됐다.
지난해 捕捉된 場所는 2018年 10月12日 8~9個月 程度로 推定되는 어린 새끼가 처음 捕捉된 곳에서 直線距離로 6.2㎞ 떨어져 있다.
硏究陣은 이 個體가 2018年度에 처음 發見된 어린 個體와 同一한지는 알 수 없다고 밝혔다. 다만, 이 個體가 DMZ 內部에서 行政區域을 넘나들며 棲息한다고 分析했다.
이番에 發見된 個體는 復元 또는 飼育된 個體일 可能性이 작은 것으로 보인다. 環境部는 長期的으로 專門家, 軍 關係者와 論議를 거쳐 把握할 計劃이다.
半달가슴곰은 日帝 强占期에 濫獲, 密獵, 棲息地 毁損 等으로 個體 數가 急減했다. 環境部는 1998年 滅種危機 野生生物 Ⅰ級으로 指定해 保護하고 있다.
2001年부터 智異山 一帶에서 復元事業을 始作한 以來로 現在 70餘 마리가 智異山, 德裕山, 首都산 一帶에 棲息하고 있다.
김종률 環境部 自然保全局長은 “DMZ에서 2018年 以後 지난해까지 半달가슴곰 棲息이 確認됐다”며 “앞으로도 DMZ 一員 生態系 調査를 强化해 體系的인 保全·管理 方案을 마련할 計劃”이라고 밝혔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이미지
좋아요
- 슬퍼요 이미지
슬퍼요
- 火나요 이미지
火나요
- 後速記士 願해요 이미지
後速記士 願해요
Copyright ⓒ 東亞日報 & 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