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登錄金 負擔 덜어주는 奬學金 늘려 ‘새出發’ 支援|東亞日報

登錄金 負擔 덜어주는 奬學金 늘려 ‘새出發’ 支援

  • 東亞日報
  • 入力 2021年 11月 18日 03時 00分


코멘트

[에듀 엔리치]
建陽사이버大學校

일하면서 工夫할 수 있는 사이버大學에 對한 關心이 높아지고 있다. 時空間에 制約받지 않고 온라인으로 자유롭게 受講할 수 있고, 職務에 必要하거나 隱退 後 삶을 對備하기 위한 다양한 資格證을 딸 수 있어 ‘先(先)就業 後(後)進學’을 目標로 하는 젊은이와 第2의 人生을 準備하는 壯年層 모두에게 注目받는다.

平生敎育이나 再敎育을 넘어 職業敎育 過程으로 變化하는 建陽사이버隊는 4年制 學事 學位 및 有望 資格證 取得 機會를 提供한다. 建陽사이버隊는 最尖端 次世代 學習管理시스템(LMS)을 構築해 언제 어디서든 PC와 스마트폰으로 온라인 講義를 들을 수 있다. 試驗도 온라인으로 치를 수 있다.

모든 神·編入生에게 提供하는 奬學金 惠澤은 또 다른 長點이다. 校內 奬學金을 擴大해 職場人, 軍(軍) 家族, 多文化家庭, 滿 60歲 以上 晩學徒를 對象으로 하는 ‘새出發 奬學金’은 1學年으로 入學하면 3年間 授業料 20% 減免되고 2, 3學年으로 入學할 때는 2年間 授業料 20%를 免除해준다.

建陽사이버大와 産業體 委託敎育 業務協約을 締結한 地方自治團體, 協會, 企業은 勿論 5人 以上 事業場 構成員과 高校, 專門大學 卒業生이 産業體 委託 典型으로 入學하면 奬學金을 받을 수 있다. 1學年으로 入學할 境遇 4年間 授業料 25%, 2學年으로 入學하면 3年間 30%, 3學年으로 入學하면 2年間 授業料 30%를 各各 減免받는다. 特性化高 一般高 放送通信高를 卒業한 지 3年 以內이거나 檢定考試 合格者는 3年間 授業料 30%를 奬學金으로 받을 수 있다. 이들 奬學金은 國家奬學金과 重複으로 받을 수 있다. 所得分位 8區間 以下일 境遇에는 登錄金 全額을 支援받을 수 있다.

建陽사이버隊는 12月 1日부터 2022學年度 前期 新入生과 編入生을 募集한다. 福祉學部(社會福祉學科 老人福祉學科 保健醫療福祉學科) 휴먼學部(多文化韓國語學科 相談心理學科 兒童福祉學科 軍警相談福祉學科 行動再活治療學科) 實用學部(글로벌뷰티學科 災難安全消防學科 IT비즈니스學科)의 모두 11個 學科에서 學生을 募集한다.

入試 節次는 建陽사이버大 入學志願센터 홈페이지에서 이뤄지며 PC와 모바일로 支援하면 된다. 銓衡은 志願書 作成, 銓衡料 納付, 人·適性檢査로 이뤄진다. 仔細한 內容은 代表電話로 問議하면 알 수 있다.

高卒 學歷 以上이면 大學修學能力試驗(修能)과 學生簿 點數 없이도 누구나 支援할 수 있다. 專門大學을 卒業했거나 4年制 大學에서 35學點 以上 履修한 사람은 2學年으로, 4年制 大學에서 2年 또는 4學期 異常을 修了하고 70學點 以上 履修했을 境遇는 3學年으로 支援할 수 있다.

임옥진 入學弘報處長은 “建陽사이버隊는 ‘가르쳤으면 責任져야 한다’는 設立者 김희수 博士의 敎育哲學을 바탕으로 學生을 支援하는 서비스를 體系的으로 提供해 全國 4年制 사이버大 가운데 中途脫落率(7.1%)이 가장 낮다”며 “建陽사이버大를 통해 第2의 人生을 設計해 새로운 꿈에 挑戰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전승훈 記者 raphy@donga.com
#에듀플러스 #建陽사이버大學校 #奬學金 #登錄金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