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每日 마시는 커피, ‘補藥’처럼 마시려면[핫피플의 飮食處方]|東亞日報

每日 마시는 커피, ‘補藥’처럼 마시려면[핫피플의 飮食處方]

  • 東亞日報
  • 入力 2022年 5月 24日 03時 00分


코멘트
現代人의 日常에선 커피를 빼놓을 수 없다. 모닝커피부터 食後 커피까지 職場人들 사이에서 하루 한두 盞 커피는 必須처럼 여겨진다. ‘아아’(아이스아메리카노), ‘얼죽아’(얼어 죽어도 아메리카노) 等 關聯 新造語가 쏟아지는 것도 커피가 日常에 스며든 文化를 뒷받침한다. 하지만 정작 커피를 제대로 알고 마시는 이들은 드문 듯하다. 커피도 잘 마시면 藥이 되지만 잘못 마시면 毒이 된다.

사진 출처 wallpaperflare
寫眞 出處 wallpaperflare
커피를 잘 마시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于先 커피를 자주 마신다면 牛乳나 豆乳를 같이 마시는 것이 좋다. 커피 속 카페인은 小便으로 칼슘을 빼내는 作用을 한다. 커피 한 盞이 4mg 程度의 칼슘 吸收를 떨어뜨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牛乳나 豆乳를 커피 한 盞에 한두 스푼 少量으로 넣어 마시면 칼슘을 補充할 수 있다. 特히 更年期 以後 骨減少症이나 骨多孔症 診斷을 받은 이들은 꼭 함께 마시길 勸한다. 筆者도 커피에 牛乳를 꼭 넣어 마시는데 牛乳에는 雪糖과는 다른 隱隱한 단맛이 있어 커피의 쓴맛과 宮合이 잘 맞는다.

筆者는 또 커피를 마신 後에는 바로 따뜻한 물을 세트처럼 마신다. 長期間 커피를 마시면 利尿 作用으로 인한 마그네슘 缺乏과 카페인 속 神經 興奮 作用 때문에 눈 떨림이 생길 수 있다. 이때 따뜻한 물을 마시면 殘餘 카페인을 빠르게 排出시켜 이런 症狀을 遮斷하는 데 도움이 된다. 比率은 커피 1盞에 물 2盞 程度가 適當하다.

커피를 마시기 좋은 時間은 따로 있을까. 커피는 食後 디저트로 마시는 境遇가 一般的인데 意外로 마시기 좋은 時間은 食事 1時間 前이다. 커피에 含有된 클로로겐산, 타닌 같은 成分 때문에 食事 後 바로 커피를 攝取하면 鐵分 吸收率이 39∼60% 程度 減少한다. 平素 健康 狀態가 좋다면 상관없지만, 철 缺乏性 貧血 患者, 每달 月經을 하는 可妊期 女性, 菜食主義者 等은 食事 後 입가심으로 커피를 마시는 것을 되도록 避하길 勸한다.

정세연 ‘식치합시다 한의원’ 원장
정세연 ‘式치합시다 韓醫院’ 院長
빈속에 마시는 모닝커피度 健康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胃粘膜層이 얇은 境遇 胃壁 損傷을 일으켜 位食道炎이 생길 수 있다. 疲勞가 甚한 境遇엔 카페인이 코르티솔 分泌를 促進시켜 副腎 機能을 枯渴시키기도 한다. 午前 커피 타임은 아침을 먹은 뒤 9∼11時 사이가 適當하다.

커피 마시는 習慣은 單番에 바꾸기 어렵다. 하지만 每日 接하는 飮食일수록 몸에 이로운 方向으로 攝取해야 한다. 모닝커피를 조금 늦춰 브런치 커피로, 點心 저녁 食後 커피를 앞당겨 食前 커피로 習慣을 바꿔 보자. 커피와 宮合이 좋은 乳製品과 물도 꼭 記憶해 ‘커피로 式致賀機’에 挑戰해 보면 어떨까.
※ 정세연 韓醫學 博士는 飮食으로 治療하는 ‘式치합시다 정세연 韓醫院’을 運營하면서, 유튜브 ‘偵邏레 채널’을 통해 各種 飮食의 效能을 紹介하고 있다. 5月 基準 채널 購讀者 數는 約 60萬 7000名이다.


정세연 ‘式치합시다 韓醫院’ 院長



#커피 #모닝커피 #커피로 式致賀機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