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紹介 및 現況 - 은현면 - 邑面洞案內 - 洋酒紹介 - 양주시청

洋酒紹介

紹介 및 現況


位置

住所/電話番號/팩스番號

  • 住所: 11427) 京畿道 楊州市 은현면 隱現로 66
  • 電話: 031-8082-4573
  • 팩스: 個人別 別途扶餘(擔當者에게 問議)
案內事項
非對面 民願書類 發給方式{'政府24' 또는 武人民願發給氣)를 案內해드리니, 利用에 參考하시기 바랍니다.
政府24 武人民願發給氣 안내

沿革

은현면 沿革에 關한 票이며, 年度別 項目 情報를 提供
1957年 8개리로 編成
1964年 12개리로 調整(上悖理1·2·3里, 용암리 1·2里, 하패리 1·2里, 도하리1·2里)
1983年 上悖理가 東豆川市로 編入되어 11개리로 調整
1987年 운암리가 1,2里로 分離 되어 12개리로 調整(鎔巖1·2·3里, 腺癌1·2里, 雲巖1·2里, 봉암리, 下牌1·2里, 都下1·2里)
1999年 南面 閑散2里 一部가 은현면 봉암리로 編入됨
2016年 現在까지 12개리로 編成 運營 中

地名由來

地名由來에 關한 內容이며, 은현면, 용암리, 선암리, 운암리, 봉암리, 하패리, 도하리 項目 情報를 提供
은현면 사천현이었다가 朝鮮朝에 현내면이라 하여 賞牌·中牌·下敗의 3個 里를 管轄하였으며, 1914年 行政區域 廢合에 따라 묵은면·석적면·이담면의 各 一部와 南面의 一部를 倂合하여 墨銀課縣內의 이름을 따서 은현면이라 하였음
용암리 樂隊山(一名 藥大山)에 全體둘레15m, 幅 6m, 높이 3m의 龍이 昇天하는 모습을 한 용바위가 있어 용바위·鎔巖이라 불리게 되었음
선암리 선돌이 있으므로 선돌·先들바위·腺癌이라 하였음. 또는 神仙이 내려온 形象의 바위가 있다 하여 선암리이라 하며, '先들바위'가 있어 입석동이란 傳說도 있음
운암리 本來 適性群 南面의 一部 地域임. 1914年 行政區域 廢合에 따라 입암리· 발운리와 楊州市 묵은(진답)면의 三牌리·三牌하리·이悖理 一部와 縣內 麵의 하패리 一部를 倂合하여 발운과 입암의 이름을 따서 운암리이라 하였음. 或은 구름바위가 있다 하여 붙은 이름이라고도 函.
봉암리 봉바위가 있으므로 봉바위 또는 봉암리이라 하였음. 大部分 부엉이처럼 생긴 바위가 있는 곳 또는 鳳이 알을 품고 있는 形局의 指名임
하패리 本來 楊州市 현내면의 一部로서 옛날 사천현의 아래쪽이 되므로 下패라 했음
도하리 도락산 아래의 마을이라 도하동이라 函

現況

行政區域

은현면 現況 行政區域에 關한 票이며, 行政里(36個里), 自然部落(19個里), 共同住宅(17個里) 等 項目 情報를 提供
桐, 邑, 面 리(12個)
은현면
  • 鎔巖1~3里
  • 腺癌1~2里
  • 雲巖1~2里
  • 봉암리
  • 下牌1~2里
  • 都下1~2里
人口現況 (2024年 1月 基準)
은현면 現況 人口現況에 關한 票이며, 世代數, 人口數 等 項目 情報를 提供
世代數 人口數
3,052 3,111 2,324 5,435
廳舍現況
은현면 現況 廳舍現況에 關한 票이며, 規模, 延面積, 廳舍活用 等 項目 情報를 提供
規模 延面積 廳舍活用
本館 地下 1層, 地上 3層 885.95㎡ 民願室, 컴퓨터室, 大會議室
別館 地上 2層 257.85㎡ 多目的室(廚房), 住民自治센터, 豫備軍中隊本部
面積
백석읍 現況 面積에 關한 票이며, 總 面積, 農地, 林野, 其他 等 項目 情報를 提供
總 面積 垈地 農地 林野 기타
34.54㎢ 1.13㎢ 9.49㎢ 17.21㎢ 6.71㎢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