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erald Design

Back To Top

news
ARCHITECTURE
“建築物, 더 나은 世上 追求하는 希望의 빛 돼야” [헤럴드디자인포럼2023]
2023.09.22
edit article
헤럴드디자인
디에베도 프란시스 케레 基調演說
建築界 노벨賞 프리츠커賞 受賞者
氣候變化 危機속 建築의 役割 强調
“建築·敎育 통해 世上 바꾸고 싶다”
‘建築界의 노벨賞’으로 불리는 프리츠커賞의 2022年 受賞者 디에베도 프란시스 케레가 19日 열린 헤럴드디자인포럼에서 ‘Opportunities: Material and Place’主題로 講演을 하고 있다. 이상섭 記者

“제 建築物이 人類社會가 더 나은 未來로 가는 令監의 媒介體가 된다면 좋을 것 같아요. 더 많은 사람들이 文明社會에서 오는 便安함을 누릴 수 있도록, 그 빛을 누릴 수 있도록 努力해 나가려고 합니다.”

부르키나파소 出身의 建築家 디에베도 프란시스 케레(58)는 19日 서울 中區 신라호텔에서 열린 2023年 헤럴드 디자인포럼의 基調演說者로 나서 氣候變化 危機 속 建築의 役割을 强調했다. 그는 “建築은 사람들이 마주하고 있는 여러 가지 氣候危機를 克服하는 手段이 돼야 한다”면서 特히 第3世界 國家에서의 建築의 重要性을 力說했다.

케레는 아프리카 人·黑人 最初의 ‘프리츠커賞’ 受賞者다. ‘建築界의 노벨賞’으로 불리는 프리츠커賞은 建築界에서 最高 權威를 자랑한다. 프리츠커賞 受賞은 곧 建築界 巨匠 登極을 意味한다. 現地 特性에 맞는 다양한 建築物을 선보이면서 受賞의 榮譽를 안았다.

케레는 木手가 되기 위해 간 獨逸에서 서른 살에 建築家로 길을 걷기 始作했고, 以後 故鄕인 부르키나파소 肝도(Gando)의 初等學校와 베냉(Benin)의 國會議事堂 建物을 선봬 世界的인 關心을 받은 建築家다.

氣候變化 속 漸漸 나빠지는 環境 속에서, 그가 내놓은 建築物은 사람들의 避身處이자 쉼터가 되고 있다. 그가 내놓은 建築物은 現地에 있는 材料만을 活用해 建築되는 게 特徵이다. 그의 作品 모두가 現地에서 나오는 材料를 活用해 지어진다.

케레는 “오랜 時間 튼튼한 내구도를 자랑하고 活用되기 위해서는 現地에서 나오는 豐富한 資源을 最大限 活用해야 한다”면서 “이런 建築 方式은 單純히 個人的인 目標나 關心事로 끝나는 水準이 아니라 建築 分野 全般에 重要한 寄與를 할 수 있는 革新的인 아이디어가 됐다”고 말했다.

이어 “現地에서 나오는 材料를 가지고 特色 있는 建築物과 作品을 만들었을 때, 作品을 使用하는 사람들이 幸福해하는 것을 느낀다”면서 “내가 만든 作品을 보고 幸福해 하는 사람들을 볼 때 幸福感을 느끼고, 建築家로서 삶에 보람을 느낀다”고 덧붙였다.

그의 關心은 ‘사람’을 向해 있다. ‘建築을 통해 통해 社會를 바꾸는 것’이 그의 作品 中心에 서 있다. 그는 特別히 ‘共同體’라는 主題에 많은 關心을 쏟는다. 아무리 複雜하고 어려운 問題라도 사람들이 모여서 머리를 맞대고 討論하면 解決할 수 있다는 굳은 信念을 갖고 있다. 그가 선보인 作品에도 이런 哲學이 고스란히 反映돼 있다.

代表的인 事例가 最近 그가 建設하고 있는 베냉 共和國의 國會議事堂 建物이다. 建物은 아프리카에 많은 ‘팔레버(Palaver) 나무’의 形象을 띠고 있다. 아프리카 現地 部族들이 팔레버 나무 아래에서 討論과 祝祭, 모임을 가지는 傳統에 基盤한 形態다. 最近 骨組 作業을 마친 建物은 來年부터 市民들에게 開放될 豫定이다.

케레는 “팔라버나무 아래는 아프리카의 不足 長老들이 모여서 會議를 나누던 傳統的인 場所”라면서 “가장 賢明한 사람들이 모여 共同體, 不足, 民族의 運命을 論議하던 팔라버나무를 象徵으로 쓰면서 國會議事堂 建物이 民主主義의 場이 돼야 한다는 指向點을 表現하고 싶었다”고 說明했다.

그의 첫 番째 作品인 ‘間島初等學校’도 共同體에 焦點을 맞추면서 誕生했다. 아이들의 ‘知的인 成長’과 共同體注意를 具現하는 過程에서 나왔다.

케레는 “間島初等學校를 지을 때 마을 住民들을 說得해 學校를 함께 짓자고 하고 왜 學校가 必要한지 說明하고 모든 마을 住民들이 함께 建物을 지었다”면서 “建築物을 짓는 過程에서 내가 獨逸에서 받았던 工學을 直接 建築 結果物로 보여주면서 敎育의 重要性을 說破했다”고 當時를 回想했다. 그는 “敎育은 社會的 存在로서 탄탄한 基礎를 다질 수 있게 해주는 根幹”이라면서 “建築家가 될 수 있었던 것도 間島 地域에서 村長이던 아버지가 나를 學校에 보내고, 읽고 쓰는 法을 배우게 시켰기 때문”이라고 强調했다.

그 外에도 美國의 티펫 라이즈 아트 센터(Tippet Rise Art Centre)에 設置한 訪問客用 派빌리온 ‘者일럼(Xylem)’, 지난 2010年 그가 부르키나파소에 지은 建築物 ‘間島 圖書館(2010)’, 지난 2018年 모잠비크 테테의 벤가 리버사이드 學校에는 그가 說破하는 ‘敎育의 重要性’이 담겨있다.

最近 케레는 勞動者부터 大學院生까지 다양한 階層을 對象으로 活潑한 講演 活動을 벌이고 있다. ‘建築으로 世上을 변화시키겠다’는 哲學을 많은 사람들과 함께하고 싶어서다. 그 根底에는 敎育이 世上을 바꾸는 契機가 될 것이라는 믿음이 깔려 있다.

그는 “建築家가 될 수 있었던 것도 間島 地域에서 村長이던 아버지가 나를 學校에 보내고, 읽고 쓰는 法을 배우게 시켰기 때문”이라면서 “敎育은 社會的 存在로서 탄탄한 基礎를 다질 수 있게 해주는 根幹”이라고 强調했다. 이어 “善한 影響力을 미치기 위해서는 메시지를 廣範圍하게 擴散시켜야 하는데, 建築家로서 具現할 수 있는 建物은 限定돼 있다”면서 “熱心히 演壇에 서고 講演을 하면서 내가 알고 있는 知識이나 메시지를 여러 사람에게 傳播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또 世界 곳곳에서 여러 公共建築 프로젝트를 進行하고 있다. 케레는 “建築과 敎育을 통해 世上을 바꾸는 삶을 살고 싶다”고 했다.?

김성우 記者 / zzz@heraldcorp.com

share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