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靑少年 다이어트劑 '나비藥' 불티…中毒性 높아 精神異常 可能性 : 동아사이언스

동아사이언스

靑少年 다이어트劑 '나비藥' 불티…中毒性 높아 精神異常 可能性

統合檢索

靑少年 다이어트劑 '나비藥' 불티…中毒性 높아 精神異常 可能性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지난해 急增한 國內 靑少年 痲藥類 事犯 件數의 大部分은 向精神性醫藥品人 것으로 나타났다. 게티이미지뱅크 提供

나비를 닮아 一名 '나비藥'이라고 불리는 펜타민 成分의 食慾抑制劑가 靑少年 사이에서 人氣를 끌며 靑少年 痲藥 中毒에 對한 憂慮가 높아지고 있다.

 

지난 12日 大檢察廳이 公開한 2023年 11月까지의 痲藥類 動向에 따르면 國內 痲藥類 事犯 件數는 總 2萬2393名으로 前年度 같은 期間 對比 最高 66.2%까지 增加했다. 

 

二重 19歲 以下 靑少年 痲藥類 事犯수가 1380名에 이르면서 454名을 記錄한 2022年과 比較해 1年 새 約 3倍 增加했다. 靑少年들은 대부분 '向精'이라 불리는 向精神性醫藥品을 服用한 것으로 나타났다.  

 

向精神性醫藥品은 服用 時 사람의 中樞神經系에 刺戟을 줘 思考, 行動, 感情에 變化를 가져오는 物質이다. 注意力缺乏過剩行動障礙(ADHD) 治療劑로 쓰이는 메틸페니데이트, 全身痲醉劑로 쓰이는 케타민 等이 向精神性 醫藥品에 該當한다.

 

靑少年 痲藥 服用率이 急上昇한 原因으로는 一名 '나비藥'이라고 불리는 痲藥性 食慾抑制劑 '디에타민'이 꼽힌다. 디에타민은 펜터민 成分의 食慾抑制劑다. 나비넥타이 模樣의 흰色 알藥이어서 '나비藥'이라고 불린다. 

 

中樞神經系에 刺戟을 줘 飮食을 적게 攝取하게끔 調節하는 方式이지만 복용시 强한 精神的 依存性과 耐性이 나타날 수 있다. 國內에서는 處方에 依해 4週 以內로 短期間만 投與하되 基本的으로 體質量指數(BMI) 30 以上인 肥滿 患者의 體重 減量을 위해 使用된다. 

 

痲藥退治運動本部 中毒再活센터에 따르면 디에타민을 投藥할 때 食慾減少 症狀이 나타나지만 不眠症, 不安 等 精神障礙를 同伴한다. 投藥을 中斷할 境遇 極度의 疲勞感과 憂鬱함을 느끼는 等 禁斷 現象이 나타날 수 있다. 甚하면 幻覺, 精神 錯亂 等의 精神 異常 症勢도 보인다.

 

特히 國內에서 펜터민 成分은 16歲 以下 靑少年에 對해 安全性과 有效性이 確認돼 있지 않은 狀態여서 복용이 禁止돼있다.  

 

그러나 '나비藥'을 먹으면 살을 빠르고 쉽게 뺄 수 있다는 所聞이 SNS를 타고 퍼지면서 靑少年 間 不法 去來가 增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實際 인스타그램, 네이버 블로그 等 SNS에서 '#나비藥服用', '#나비藥工具(共同購買)', '#나비藥500마리있음' 等 태그를 檢索하면 服用 後記가 露出됐다. 

 

以外에도 痲藥類인 '애더럴' 等이 工夫 時 集中力에 좋다는 입所聞을 타고 靑少年에게 多數 露出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애더럴은 投藥 時 嗜眠症을 同伴할 수 있으며 禁斷 時 極端的 選擇에 對한 衝動을 일으킬 수 있다.

 

大檢察廳은 靑少年 痲藥 急增과 關聯, 靑少年에 痲藥을 販賣하는 供給冊을 嚴斷해야한다고 보고 "痲藥事犯 量刑基準을 强化하는 等 特히 靑少年 關聯 痲藥犯罪에 있어 모든 法的 手段을 動員할 것"이라 밝힌 바 있다.

 

이 記事가 괜찮으셨나요? 메일로 더 많은 記事를 받아보세요!

댓글 0

###
    科學技術과 關聯된 分野에서 紹介할 만한 재미있는 이야기, 告發 素材 等이 있으면 躊躇하지 마시고, 알려주세요. 提報하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