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獨 ‘슈피겔 事件’ 市民 大規模 抗議示威…國防長官-總理 退陣|東亞日報

獨 ‘슈피겔 事件’ 市民 大規模 抗議示威…國防長官-總理 退陣

  • 入力 2007年 7月 28日 03時 03分


코멘트
■ 海外 言論 押收搜索 事例

外國의 言論社들도 押收搜索 等을 動員한 搜査當局의 取材源 公開 强要에 抵抗한 事例들이 있다.

이때마다 言論은 憲法에 保障된 基本權이자 自由民主主義의 存立 基盤인 言論自由의 守護를 위해 强力히 抵抗하며 强壓에 맞섰다. 또 끊임없는 問題 提起를 통해 取材源 保護를 위한 法律 制定과 判例들을 이끌어 냈다.

獨逸에서는 政府의 言論社 搜索에 맞선 代表的인 事件으로 1962年 ‘슈피겔 事件’이 擧論된다. 時事週刊誌 슈피겔이 國防部의 스캔들을 잇달아 暴露하자 檢察이 이 雜誌社를 急襲해 資料를 押收搜索하고 發行人과 記者를 拘束한 事件이다. 이에 抗議하는 市民들의 大規模 示威가 이어지면서 結局 國防部 長官과 總理의 同伴 退陣까지 불러왔다. 憲法裁判所는 1965年 “具體的인 根據 없이 祕密 漏泄을 理由로 言論社를 押收搜索하는 것은 言論 自由의 侵害”라는 趣旨의 決定을 내렸다.

2005年 9月에는 警察이 獨逸聯邦搜査局(BKA)의 機密書類를 記事에 引用한 月刊 ‘치體로’의 編輯室과 브루노 詩라 記者의 집을 搜索한 事件이 輿論의 뭇매를 맞았다. 獨逸 憲法裁判所는 올해 2月 슈피겔 事件 때와 같은 決定을 내렸다.

올해 5月 프랑스에서는 搜査判事(檢査처럼 搜査權을 가진 判事)가 週刊誌 ‘카나르 앙세네’의 編輯室을 押收搜索하려던 試圖가 記者들의 反撥에 부닥쳐 霧散됐다. 자크 시라크 前 大統領이 開設한 것으로 推測되는 計座가 日本에 있다는 지난해 報道에 引用된 情報要員의 祕密報告書가 搜索 對象이었다. 그러나 記者들은 言論의 自由를 規定한 유럽人權協約을 내세워 强力히 맞섰고 搜査判事는 押收搜索을 抛棄했다.

日本에서도 2005年 5月 海軍의 內部 情報를 바탕으로 作成된 요미우리신문의 記事를 놓고 情報 出處 論難이 일었다. 하지만 防衛廳은 情報 流出 嫌疑가 있는 自衛隊 幹部의 집을 搜索했을 뿐 記者를 搜査 對象으로 삼지는 않았다.

民事 事件이지만 1999年 美國의 健康食品業體인 A社가 稅務情報 流出을 問題 삼아 낸 損害賠償 請求訴訟에서도 日本 最高裁判所는 言論의 손을 들어줬다. 記事를 쓴 교도통신 記者 等에게 取材源을 밝히라는 A社의 要求에 對해 裁判所는 “取材源의 祕密은 證言 拒否가 認定되는 職業 祕密에 該當한다”고 判決했다.

憲法上 表現의 自由를 徹底히 保障하는 美國에서는 30餘 個 株價 이른바 ‘防牌法(Shield Law)’을 制定해 言論의 取材源 保護 努力을 認定하고 있다. 不當한 搜索과 押守를 禁止한 修正憲法 4條도 이를 뒷받침한다.

다만 犯罪 搜査를 위해 言論社 關係者에 對해 法定 證言이나 搜査를 許容한 境遇도 있다. ‘리크 게이트(leak gate)’로 불리는 白堊館의 前職 中央情報局(CIA) 要員 身分 流出 事件 關聯 搜査에서 法院이 뉴욕타임스와 타임지 記者에게 證言할 責任을 認定한 것이 最近의 事例. 그러나 美國內에서도 論難이 紛紛했다. 搜査上 必要가 있다고 하더라도 言論自由의 根幹을 毁損해서는 안 된다는 指摘이었다.

이정은 記者 lightee@donga.com

파리=송평인 特派員 pisong@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