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동아일보 80年史 *** 오지 않는 봄 page 1 ***

第3部 民主化의 횃불 >Ⅳ. 거짓을 말하느니 입을 닫겠다 >1. 오지 않는 봄 page1
 

1. 오지 않는 봄

‘서울의 봄’이 오고 있었다. 늦가을 밤空氣를 찢은 ‘宮井洞의 銃소리’로 한瞬間에 모든 政治的 흐름이 反轉했다. 79年 10月26日 朴正熙 大統領이 心腹인 김재규 中央情報部長의 銃에 쓰러지면서 維新體制는 그 날 밤으로 허물어졌다. 維新獨裁가 빠져나간 자리는 새로운 政治勢力의 登場을 기다리고 있었다. 國民들의 視線은 自然스럽게 JP(김종필) YS(김영삼) DJ(金大中)의 3金(金)쪽으로 옮아갔다. JP는 朴大統領 葬禮가 끝난 뒤 執權與黨의 政治基盤을 그대로 吸收했다. 누구도 그가 朴大統領이 떠난 자리를 이어받아 黨의 總裁가 되는 것에 反對하지 않았다. 공화당으로서는 選擇의 餘地가 없었다.

신민당 總裁인 YS는 10·26萬으로도 注目을 끌기에 充分했다. YH女工 籠城事件, 新民黨 議員 籠城, 國會議員職 題名에서 부마(釜馬)事態로 이어진 2個月間의 ‘10·26前夜’는 그와 朴正熙의 正面對決이나 다름없었기 때문이다. 在野의 DJ는 10·26 當時 동교동 自宅에 軟禁되어 있었다. 76年 3·1民主救國宣言 事件으로 投獄되었다가 78年 12月 刑執行停止로 풀려나 있는 狀態였다. 3金은 이처럼 維新과 不可分의 緣을 맺고 있었다. 그리고 維新體制가 무너지면서 3金의 競爭關係가 ‘서울의 봄’을 이끌고 있었다.

그러나 아직도 채 오지 않은 ‘서울의 봄’에 決定的으로 一擊을 加하는 事件이 터진다. 바로 12·12事態다. 전두환 노태우를 爲始한 ‘政治軍人’들이 쿠데타를 일으켜 鄭昇華 戒嚴司令官을 ‘逮捕’하고 軍部를 掌握한 事件이다. 이들은 以後 5·17 戒嚴擴大와 光州民衆抗爭 鎭壓 等을 거쳐 國家保衛非常對策委員會를 만들고 政治 表面에 나서게 된다. 朴大統領이 被殺된 때로부터 한 달 半이 막 지났을 무렵이었다. 80年 初 JP는 當時의 政治狀況을 묻는 記者들에게 特有의 比喩法을 써서 이렇게 말했다. “韓國에는 只今 봄이 오고 있다. 그러나 아직은 그 봄이 꽃이 피어날 봄인지, 다시 겨울 속으로 돌아가버릴 봄인지 알 수가 없다. 이른바 春來不似春(春來不似春·봄이 왔으나 봄 같지 않다)의 政局이다. …안개가 잔뜩 끼어 있어 앞이 잘 보이지 않는다. 안개政局이라고 할까.”

不幸하게도 이 말은 들어맞았다.

 

不幸하게도 이 말은 들. 語맞았다민주화 움직임이 靑信號를 켠 듯하던 煙草의 狀況이 어두운 局面으로 접어들기 始作한 것이다. 大學 캠퍼스는 年初부터 維新과 함께 廢止했던 總學生會 復活을 準備하느라 부산했다. 3月28日 서울대 總學生會長 選擧를 전후해서 各 大學에서 잇따라 總學生會가 出帆했다. 總學生會의 一次的인 目標는 學徒護國團 廢止, 情報員의 學院査察 및 學內 出入禁止, 御用敎授 退陣과 指導敎授制 廢止, 學生活動과 學內 言論自律化 保障 等으로 대표되는 學院自律化였다. 이 해 4月18日 문교부가 集計한 學院民主化 鬪爭 狀況에 따르면 當時 學園民主化를 拒否하는 總學長 退陣要求가 21個 大學, 御用敎授 退陣要求가 24個 大學, 財團非理 剔抉 要求가 12個 大學, 學校施設擴張 要求가 11個 大學, 學生會 人定 및 學內 言論自由 要求가 20個 大學이었다.

동아일보는 4·19革命 20周年을 맞아 4月19日子 ‘橫說竪說’에 이렇게 썼다. 언제나 어디서나 壓迫은 革命의 씨앗이 된다. 그러나 씨앗이 뿌려졌다고 해서 반드시 革命이 난다고 斷定할 수는 없다. 權力萬能으로 國民을 支配하는 者는 틀림없이 暴君이고 獨裁者지만 이에 服從만 하는 ‘百姓’의 時代가 있다. 暴君의 統治를 甘受하는 境遇 ‘百姓’은 곧 ‘奴隸’다. 暴君이 있는 곳에 奴隸가 있고, 奴隸되기를 拒否하는 狀況에 暴君이 설 땅이 없다. …4·19革命 스무 돌. 暴君의 驕慢과 不義를 拒否하고 자칫 奴隸로 轉落할 수도 있는 무서운 强壓을 물리친 지 벌써 20年이 되었다. …20年 동안 自由의 나무가 얼마나 자랐을까. 이렇게 생각할 때 錯雜하고 안타까운 마음을 누를 길 없다.

分明하게 自由와 民主主義에 큰 進步가 없었기 때문이다. 한 次例의 混亂과 無秩序 時代 끝에 自由와 民主主義를 主張하는 많은 사람이 다시 한 番 壓迫과 困辱을 치러야 했기 때문이며 卑怯하게 不意의 便에 섰던 者들이 繼續 氣勝을 부리는가 하면 勇敢하게 自由의 便에 선 사람들이 繼續 그늘에서 살아야 했기 때문이다.
…가장 喜劇的인 現實은 自由와 民主主義를 韓國 土壤에 맞지 않는다고 罵倒하던 政治人과 知識人들, 그리고 겉으로 民主主義 云云 하면서 實際로는 그들의 앞잡이였던 政治人과 知識人들, 그들이 하루 아침에 熱烈한 民主主義者가 되었다는 것, 때로는 民主鬪士인 양 行世까지 한다는 現實이다. 80年 4月19日 아침부터 모진 비바람이 歷史의 現場, 세종로 거리를 휘몰아치고 있다.

 


Copyright 2000 東亞닷컴 . E-mail : newsroom@donga.com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