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동아일보 80年史 *** 政治테러의 渦中에page1***

第3部 民主化의 횃불 > I. 暴壓 속에 세운 自由言論의 旗발 > 3. 政治테러의 渦中에 page1
 

鬪爭은 國際社會에서도 높은 點數를 받았다. 65年 5月 런던에서 열린 IPI 第14次 總會는 동아일보 副社長 兼 主筆 고재욱에게 ‘自由言論의 英雄’이라는 稱號를 보냈다.
고재욱은 言論波動 當時 惡法撤廢鬪爭委員會 副委員長이었으나 實質的으로는 對政府 鬪爭을 總指揮하여 勝利로 이끈 主役이었다. IPI 런던總會에는 32個 國의 新聞發行人과 編輯人, 期 타 編輯幹部 等 320餘 名이 參席했는데 이 자리에서 베리 빙햄 IPI 理事長이 고재욱을 斷想 으로 불러 最高의 讚辭와 함께 世界 言論人들에게 紹介했다.
“나는 지난 數年間 韓國의 言論이 갖가지 挑戰에 直面하여 以上과 使命感, 獨立性을 成功的으로 지켜냈다고 自負한다….”
고재욱이 演說하는 6分 동안 여러 次例 우레와 같은 拍手가 터져나왔다. 고재욱의 演說 한 대목.
…韓國新聞은 自由와 責任을 똑같이 强調해왔으며 自身의 專門的 倫理規約을 實踐할 機構를 創設했다.
그러나 昨年 韓國政府는 이런 態度가 適切치 못하다고 看做하며 言論倫理委員會法을 國會에서 통과시키고 이를 實行하려고 했다. 韓國의 新聞은 이 措置를 反對했으며 우리는 鬪爭過程에 IPI와 많은 同僚國家들로부터 精神 敵 支持를 받았다. 그 結果 政府는 言論倫理委員會法 施行을 保留했고 只今은 事實上 廢棄 된 狀態다. 韓國 新聞人들은 우리 自身이 倫理法規의 守護者로서 자유롭고 責任있는 新聞의 役割을 다한다는 理想과 信念을 지켜냈고 이를 위해 發行人協會 編輯人協會 記者協會 等 各 團體가 함께 뭉쳤다는 것을 自負한다.…

3. 政治테러의 渦中에

言論波動에서 한 발 물러선 朴正熙 政權은 이듬해인

 

65年 7月2日 ‘祕密保護와 保安調査에 關한 法律案’을 만들었다. 法案대로라면 國家機密 保護라는 名分 아래 政府의 公式發表文 外에는 거의 報道할 수 없을 程度로 言論은 統制를 받게 된다.
問題 法案이 7月 臨時國會에 上程될 豫定임이 알려지자 前 言論界가 다시 反對運動에 나섰 다. 編輯人協會 記者協會 等이 政府와 全面 鬪爭하겠다고 宣言했고 野黨과 大韓辯護士協會 道 呼應했다. 狀況이 深刻함을 눈치챈 朴大統領이 全面 再檢討를 指示하는 바람에 立法은 一旦 挫折했지만 그것은 但只 始作일 뿐이었다.
이 해 10月 政府는 다시 ‘新聞 通信 等 登錄에 關한 法律 改正案’을 極祕裡에 마련했다. 主要 內容은 旣存 登錄取消 要件에 國憲을 紊亂케 하거나 國威를 損傷하는 境遇, 公序良俗 을 해치는 境遇, 機密을 漏泄하여 國家利益을 損傷하는 境遇, 正當한 事由없이 登錄 後 2個 月 以內에 發行하지 않는 境遇 等을 追加한 것으로 定期刊行物의 登錄取消要件 範圍를 넓혀 事實上 言論을 規制하는 것이 目的이었다. 이 法案 亦是 言論界의 激烈한 反對에 부딪혀 흐 支部地되고 말았지만 言論을 손아귀에 쥐려는 政權의 試圖는 執拗했다.
朴正熙의 言論觀은 어떠했는가. 韓日協定批准 反對示威가 한창이던 65年 5月2日의 한 演說 內容에서 이를 엿볼 수 있다.
“政治人과 言論人들은 抗拒만 하는 思考方式과 姿勢를 버려야 한다.” “우리나라 인텔리들은 政府가 하는 일은 無條件 反對해야 知識人이라는 思考方式을 뜯어 고쳐야 한다.”
“無責任한 言論機關에서 無責任한 소리를 하는데 國民들은 附和雷同하지 말라.”
그는 激昂된 語調로 言論에 對한 不滿을 쏟아놓았다. 동아일보와 동아일보 記者에 對한 잇따른 테러도

 


Copyright 2000 東亞닷컴 . E-mail : newsroom@donga.com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