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타짜부터 破墓까지, 商業映畫가 밈 弘報에 眞心인 理由|여성동아

ISSUE

타짜부터 破墓까지, 商業映畫가 밈 弘報에 眞心인 理由

金慶洙(@人文學的개소리) 밈評論家

2024. 05. 17

金慶洙(@人文學的개소리) 밈評論家

최근까지 회자되고 있는 영화 ‘타짜’의 밈.

最近까지 膾炙되고 있는 映畫 ‘타짜’의 밈.

“싸늘하다. 가슴에 匕首가 날아와 꽂힌다”(영화 ‘타짜’), “살아 있네”(영화 ‘犯罪와의 戰爭’), “갈 때 가더라도 담배 한 臺 程度는 괜찮잖아”(영화 ‘新世界’). 興行한 韓國映畫에서 派生된 밈의 臺詞다. 이 中 ‘타짜’ 밈은 開封 20周年이 다 돼가는 只今까지 膾炙될 程度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大部分의 인터넷 밈은 流行語에서 始作된다. KBS 藝能프로그램 ‘개그콘서트’나 드라마에서 誕生한 流行語를 살펴보면 몇 가지 共通點이 있다. 높은 視聽率은 基本이고, 視聽者들이 興味를 느끼며, 따라 하기 쉽다는 것. 流行語가 하루아침에 誕生하는 境遇는 極히 드물다. 이처럼 여러 條件을 通過해야만 ‘流行語’라는 타이틀이 붙게 된다.

“그걸 아는 사람이 그래?” “그건 니 생각이고” 등의 유행어를 히트시킨 개그맨 박영진.

“그걸 아는 사람이 그래?” “그건 니 생각이고” 等의 流行語를 히트시킨 개그맨 박영진.

流行語는 또 다른 流行語를 낳기도 한다. 따라 하는 이가 流行語에 담긴 뉘앙스와 脈絡을 模倣해 새로운 流行語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개그콘서트’ ‘웃찾사’와 같이 公開 코미디 프로그램이 活潑하게 放映되던 時節, 코미디언은 流行語를 만드는 데 熱中했다. 流行語 하나만 있으면 온갖 廣告에 出演해 톱스타로 거듭날 수 있었기 때문. 코미디언은 誇張된 뉘앙스와 反復되는 漁具로 流行語가 될 만한 單語와 文章을 사람들 귀에 맴돌게 하려고 努力했다.

商業映畫나 드라마는 코미디와 달리 그 안에서 하나의 이야기를 完成해야 한다. 따라서 流行語 誕生을 위해 억지로 臺詞를 만든다든지, 誇張된 뉘앙스를 反復할 수 없다. 結局은 누군가가 名場面이나 名臺詞를 發掘하고 共有해야 한다. 또 藝能에서 그 名臺詞를 聲帶模寫 하는 等 視聽者에게 꾸준히 里마인드시켜야 한다. 演藝人 聲帶模寫의 단골 素材였던 映畫 ‘親舊’의 “느그 아부지 뭐 하시노?”와 ‘타짜’가 流行語로 자리 잡은 것도 같은 脈絡이다.

영화 ‘파묘’ ‘서울의 봄’ 등은 충성 팬들을 통해 인터넷 밈을 발굴하고 확산시켰다.

映畫 ‘破墓’ ‘서울의 봄’ 等은 忠誠 팬들을 통해 인터넷 밈을 發掘하고 擴散시켰다.

인터넷 밈은 콘텐츠를 積極的으로 消費하는 環境에서 誕生한다. 다시 말해 옛날 콘텐츠도 充分히 인터넷 밈으로 發掘될 수 있다는 意味다. 最近까지 꾸준히 膾炙되고 있는 ‘타짜’의 곽철용, ‘野人時代’의 4딸라, ‘해바라기’의 김래원 等이 代表的인 例다. 이 콘텐츠들은 流行이 한참 지났지만 누군가 업로드한 글로 偶然히 인터넷 밈이 됐다. 이는 캐릭터의 再發見으로 이어져 팬덤을 確保하며 인터넷 밈으로 復活했다.



인터넷 밈은 어느 程度의 팬덤에 基盤한다. 팬덤은 映畫를 反復的으로 消費하고, 밈이 될 만한 콘텐츠를 積極的으로 發掘한다. 現在 映畫界는 開封과 同時에 팬덤 確保에 熱을 올리는 趨勢다. 팬덤은 인터넷 밈을 發掘하고 擴散시키는 役割을 하기 때문. 映畫 ‘阿修羅’로 코어 팬層을 確保한 金性洙 監督은 侯爵 ‘서울의 봄’ 弘報를 위해 100番 以上 舞臺 人事를 다니며 팬層을 擴張해갔다. 그로 인해 “失敗하면~~ 成功하면~~ 아닙니까!”라는 인터넷 밈이 誕生했다.

얼마 前 1000萬 觀客을 넘긴 映畫 ‘破墓’도 마찬가지다. ‘破墓’는 오컬트라는 장르 特性上 興行하기 어려운 映畫다. 하지만 開封 直後 여러 劃期的인 이벤트로 팬層을 모았으며, 팬 아트를 公式 포스터로 活用하는 等 팬과 活潑히 疏通하며 忠誠度를 높였다. 그 結果 映畫를 여러 番 보는 N次 觀覽과 인터넷 밈, 팬픽 等 여러 2次 創作 콘텐츠가 생기며 一般 觀客의 視線을 사로잡는 데 成功했다.

#인터넷밈 #流行語 #破墓 #서울醫봄 #타짜

寫眞出處 서울醫봄·타짜·破墓 포스터 KBS개그콘서트 캡처



  • 推薦 0
  • 댓글 0
  • 目次
  • 共有
댓글 0
닫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