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비디깅 | 險한 사랑을 파헤치는 이탈리아版 '破墓'|여성동아

CULTURE

무비디깅 | 險한 사랑을 파헤치는 이탈리아版 '破墓'

문영훈 記者

2024. 05. 14

到達하지 못할 꿈을 꾸는 사람들은 現實에선 바보 取扱을 받지만 映畫에선 主人公 자리에 오른다. 이탈리아 알리體 로르바케르 監督은 얼간이 같은 人物을 카메라 한가운데 세워두고 現代의 神話를 만들어낸다.

魅惑的인 人物은 浪漫的인 盲目性을 가지고 있다. 하늘에 두둥실 떠 있는 달만 바라보다가는 얼치기 取扱을 當하기 十常이지만 그래서인지 異常하리만큼 하나에 沒頭하는 人物은 非凡함을 獲得한다. “山에서 피아노만 치고 싶다”고 말하는 임윤찬이라든가, 重力을 거스르는 세 바퀴 점프를 하기 위해 아침마다 反復되는 運動을 “그냥 하는 거지” 하고 넘겨버리는 金姸兒를 우리는 되새긴다. 문학에선 쥐뿔도 없지만 이룰 수 없는 꿈을 꾸는 캐릭터도 賞讚의 對象이 된다. 風車를 向해 突進하는 돈키호테나 許久한 날 삶과 죽음을 苦悶했던 優柔不斷 햄릿도 英雄의 자리에 오른다.

알리體 로르바케르 監督은 自身의 映畫 속에서 거리의 英雄(或은 바보)을 만들어내는 데 能하다. 自傳的 作品인 ‘더 원더스’(2014)에서 主人公 少女 ‘젤소미나’는 映畫라는, 시골 너머의 꿈을 품는다. ‘幸福한 라짜로’(2019)에서 主人公 라짜로는 近代와 現代를 뛰어넘어 貴族과 資本主義의 搾取 속에서도 純粹함과 이惰性을 維持하는 人物로 그려진다. 요즘 말로 ‘虎口’나 다름 없는 主人公의 盲目性이 엔딩크레디트가 올라갈 때쯤엔 神의 近處를 徘徊하는 特徵으로 昇華되는 快感이 로르바케르를 現代의 巨匠으로 만들었다.

사라진 사랑을 찾는 旅程
“너구나, 내 잃어버린 女子의 얼굴.“

로르바케르의 最新作 ‘키메라’에서 아르套는 사라진 女子, 베니아미나를 쫓는다. 그女는 아르套를 떠났는데 돌아올 期約은 없다. 永遠히 그女를 다시 볼 수 없을지도 모른다. 映畫의 첫 場面, 아르套는 汽車에서 베니아미나가 登場하는 꿈을 꾼다. 아르套는 베니아미나의 드레스에서 나온 붉은 실을 붙잡고 싶어 하지만 소란스러운 周邊 소리로 깨어나고 만다.

아르套는 過去, 그러니까 地下 世界에서 베니아미나를 찾을 수 있을 거라 생각한다. 베니아미나에 매여 있는 아르套는 사랑하는 에우리디케를 찾으러 죽음의 世界로 들어가는 오르페우스를 떠오르게 한다. 오르페우스에게 케르베로스를 잠재울 리라가 있다면 아르套에겐 Y 字 模樣의 나뭇가지가 있다. 그는 水脈을 찾는 起因처럼 나뭇가지를 들고 걷다 精神을 잃고 쓰러진다. 그리고 그의 발아래엔 로마가 이탈리아를 占領하기 前인 紀元前 8世紀부터 文明을 꽃피웠던 아르套리아人들의 遺物이 묻혀 있다.

아르套의 親舊 疲勞를 爲始한 톰바롤리 日當은 아르套가 ‘키메라 狀態’에 들어갔다고 말한다. 映畫 題目이기도 한 ‘키메라’는 머리는 獅子, 몸통은 羊, 꼬리는 뱀의 모습을 한 怪獸와 同時에 ‘이루기 힘든 꿈이나 希望’이라는 뜻을 갖고 있다. 톰바롤리 一黨에게 키메라는 一攫千金을 안겨주는 아르套의 能力이지만 아르套의 키메라는 돈이 아닌 베니아미나를 向한다.



서로 다른 各自의 키메라는 海邊에서 열린 祝祭가 끝난 뒤 극대화된다. 平凡한 先祖의 무덤이 아닌 아르套나 動物을 守護하는 女神, 키벨레의 神殿을 發見한 것. 돈이 되는 件數임을 斟酌한 疲勞는 大理石 女神 銅像을 옮기기 위해 곧바로 머리부터 잘라낸다. 무덤 속 遺物을 만나는 過程이 베니아미나를 찾는 旅程이라고 생각하는 아르套는 疲勞의 行動에 憤怒한다.

아르套의 盲目的인 사랑은 그를 둘러싼 人物에 依해 浮刻된다. 에트루리아 遺物을 돈이라는 價値로 換算하는 3段階의 사람들이다. 톰바롤리 一黨은 돈을 위해 徹底히 아르套를 利用하고, 그가 쓸모없어지자 假借 없이 버린다. 洞네 盜掘꾼들에 不過한 톰바롤리 一黨 위에는 都市를 根據地로 活動하는 스파르타코가 있다. 톰바롤리 一黨이 찾은 副葬品을 低廉한 價格에 사들인 다음, ‘새로운 밀로의 비너스’와 같은 마케팅 技法을 얹어 販賣한다. 바다 위 열띤 競賣價 열리는 船舶 위에 모인 全 世界 博物館 큐레이터들의 모습은 스파르타코 一黨 위에 또 다른 階級이 있음을 보여준다. 땅속에 켜켜이 쌓인 地層처럼 地上에선 돈으로 쌓아 올린 階級의 秩序가 位階를 構成한다.

아르套에게 톰바롤리 一黨과 스파르타코는 野蠻的인 사람들이다. 아르套가 바라보는 그들의 對話가 목소리가 아닌 개의 울부짖음으로 處理되는 場面이 이를 잘 보여준다. 이는 盜掘을 바라보는 監督의 視線이기도 하다. 로르바케르는 ‘씨네21’과의 인터뷰에서 ”神聖한 價値는 消滅하고 遺物은 그저 팔리기 위한 商品으로 轉落해버린 한때를 이 映畫를 통해 돌아보려 했다“고 말했다. 映畫에 登場하는 또 다른 캐릭터, 이탈리아 亦是 아르套의 盜掘 行爲에 ”人間이 보라고 만든 게 아니에요. 靈魂을 위한 거죠“라며 反旗를 든다.

映畫는 物神主義를 批判하며 遺物을 所重하게 여겨야 한다는 式의 結論에만 到達하지는 않는다. 살아 있으면서도 죽음의 世界를 渴望하는 아르套의 곁에는 現在에 密着해 사는 이탈리아가 存在하는 까닭이다. 이탈리아는 아르套 집 近處에 심어진 나무를 보고 ”바닥에 머리를 박고 있는 사람“으로 比喩한다. 映畫 내내 시큰둥한 表情을 하고 있는 아르套와 달리 이탈리아는 자유로운 몸짓으로 춤을 추고 노래와 手語로 多彩로운 意思 表現을 해내는 사람이다.

”그들은 삶의 어떤 充滿함을 가지고, 자유롭고 즐겁게 숨 쉬도록 내버려둔다. 甚至於 무덤들조차도. 이것이 眞正한 에트루리아의 價値다. 卽 便安함, 자연스러움 그리고 삶의 豐饒로움. 知性이나 靈魂을 어떤 方向으로도 强要할 必要를 느끼지 않는 것이다.“

小說 ‘채털리 夫人의 戀人’으로 有名한 D. H. 로렌스가 에트루리아 文明을 踏査하고 남긴 글이다. 이탈리아는 現在에 忠實하면서도 過去를 尊重하는 까닭에 現實에서 過去 에트루리아와 같은 理想的인 空間을 만들어낸다. 버려진 歷史에서 거리를 떠도는 아이들과 自身처럼 무시당하는 女人들과 함께 살아가는 共同體를 꾸린다. 이탈리아는 톰바롤리 一黨에게도 버림받은 아르套에게 現在로의 招待狀을 건네지만 죽음으로 들어가는 過去의 世界에 沒頭하는 아르套는 이를 拒絶한다.

自身만의 키메라를 찾아서

글로 映畫의 아름다움을 說明하는 건 장님이 코끼리 다리를 더듬는 格이다. 魔術的 리얼리즘으로 時空間을 뒤섞어내는 로르바케르 監督의 映畫에 特히 該當되는 말이다. 아날로그 필름을 固執하며 거칠지만 따스한 質感을 그대로 내버려두는 撮影 方式과 이탈리아 작은 마을을 體驗하는 듯 事實的으로 그리는 그의 映畫는 큰 스크린으로 봐야 비로소 眞價가 드러난다. 吟遊詩人 樂士들이 톰바롤리 一黨의 盜掘 流浪을 說明하는 場面이라든가 韓國의 名節 風景이 떠오르게 하는 이탈리아 家族들의 風景이 한 男子의 殉愛보 사이사이 재미를 더한다.

”모두 自身만의 키메라가 있습니다.“ ‘키메라’의 韓國 開封을 앞두고 로르바케르 監督이 傳한 말이다. 監督이 이끄는 대로 아르套의 流浪을 따라가다 보면 觀客의 눈앞에도 自身의 過去와 連結된 붉은 실이 어른거린다.

#키메라 #알리體로르바케르 #幸福한라字로 #여성동아



  • 推薦 0
  • 댓글 0
  • 目次
  • 共有
댓글 0
닫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