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僞作 論難’으로 가려진 천경자를 닮은 女人들|여성동아

CULTURE

‘僞作 論難’으로 가려진 천경자를 닮은 女人들

안현배 藝術史學者

2023. 07. 06

1933年 ‘新家庭’으로 創刊한 ‘여성동아’는 올해 90周年을 맞았다. 創刊號부터 1981年 3月까지 表紙를 裝飾했던 수많은 그림의 歷史를 되짚어본다.

1969년 1월호.

1969年 1月號.

1874年 4月 15日 프랑스 파리의 카푸新 대로. 寫眞作家 나다르의 스튜디오에서는 30餘 名의 畫家가 參席한 가운데 ‘이름 없는 作家들의 展示會’가 열렸다. 後날 ‘印象派의 첫 番째 展示會’라고 고쳐 불린 이 行事場에는 唯一한 女性 作家가 있었다. 바로 베르트 모리조다. 그는 이 展示會 첫 回에 參席한 以後 해마다 꾸준히 展示에 皆勤하면서 많은 作品을 發表했으나 同僚 畫家 드가, 모네, 르누아르에 比하면 名聲은 덜 알려졌다.

베르트 모리조가 存在感이 적었던 건 比較的 덜 果敢한 主題 選定과 부드러운 技法 때문일 수도 있다. 하지만 當時 言論 記者들이 그가 女性 畫家라는 理由로 ‘配慮’를 했던 게 根本的인 原因이었다. 모네와 르누아르는 言論의 集中 攻擊을 받으면서도 自身들의 새로운 藝術을 防禦하며 舞臺 前面에 나섰다. 反面 모리조는 當時 獨自的인 判斷 없이 男子 畫家들에게 속아 展示에 參與했을 것이라는 推測 程度에 머물렀다.

藝術 인프라가 갖춰져 있는 當代 유럽에서조차 女性 畫家는 制限的으로 다뤄졌다. 이러한 環境에서 極少數의 作家만 揀擇받듯 狹小한 자리에 存在하는 것으로 滿足해야 했다. 20世紀 初 全 世界를 뒤흔든 두 番의 戰爭이 끝난 뒤 女性의 社會 參與가 자연스러워진 새로운 時代가 오기 前까지 말이다.

日帝强占期, 6·25戰爭, 戰後 復舊까지 卵管의 連續이었던 韓國 現代史에서 藝術 分野의 正常的인 發展은 期待하기 힘들었다. 西洋畫 分野는 日本 等에 留學을 갔던 少數의 天才的인 畫家들이 서둘러 消化해내는, 多少 性急한 成果에 滿足해야 했던 때도 있었다. 오랜 時間 體系的인 敎育과 支援이 必要한 藝術 分野로서는 當然한 것일지 모른다.

그런데 韓國 近現代 藝術의 歷史에서 千鏡子는 특별한 存在感을 빛내고 있다. 그의 藝術 世界를 說明하는 데 ‘女性 畫家인데도 不拘하고’라는 말은 어울리지 않는다. 千鏡子의 藝術을 對할 때 ‘韓國 歷史의 어두운 部分’이라는 加算點 亦是 全혀 必要하지 않다. 千鏡子는 千鏡子로서 韓國美術의 歷史에 단단하게 서 있는 巨木이다. 女性 畫家가 거둔 이런 成果는 오랜 歷史를 써온 유럽에서도 흔하지 않은 일이다.



千鏡子는 唯獨 個人的인 不幸이 話題거리에 오르던 時期에 살았다. 特히 그의 家庭事는 많은 사람이 좋아하는 먹잇감이었다. 하지만 그의 作品과 藝術史에 寄與한 바는 揮發性 强한 스캔들로 가려지지 않았다. 千鏡子의 作品은 人間의 삶에 對한 苦悶과 本質을 만들어내려는 眞心을 담고 있다.

1974年 2月號 ‘여성동아’ 表紙에 실린 천경자의 그림은 그래서 반갑다. 꽃 裝飾 사이에 족두리를 쓴 女性의 視線은 若干 아래쪽을 向한다. 이 그림은 같은 해에 그려진 또 다른 女人의 肖像畫 ‘高’를 떠올리게 한다. 천경자 그림 속 女性은 大部分 自己 自身이었으며, 딸을 모델로 한 적도 있었고 同時에 모두의 모습이기도 했다. 꽃의 奧妙한 色感과 優秀 어린 눈빛, 그러면서도 內面의 단단한 모습을 보이는 그의 女人들은 가장 사랑받는 主人公들이었기에 表紙火로서는 더할 나위 없었을 것이다.

올곧은 千鏡子의 길

한국 미술의 아이콘, 천경자.

韓國 美術의 아이콘, 천경자.

1967年 復刊된 ‘여성동아’는 日帝에 依해 廢刊되었던 全身 ‘新家庭’과 그 性格을 조금 달리했다. 박완서 作家가 ‘羅牧’으로 ‘여성동아’ 女流 長篇小說 公募展에 當選되면서 韓國 文壇에 登場하게 된 것이 1970年이었다. ‘여성동아’는 1970年代부터 빠르게 經濟成長 街道를 탄 大韓民國의 雰圍氣에 맞게 좀 더 華麗한 外觀을 갖추고 綜合 情報地로서의 役割도 맡았다. 表紙에 女性 肖像畫가 실린 건 ‘新家庭’의 傳統을 이은 것으로 볼 수도 있지만, 이미 當時 韓國을 代表하던 畫家였던 千鏡子가 이를 맡은 건 새로운 變化로 볼 수 있다.

오늘날 천경자 畫家와 關聯한 記憶은 1991年 ‘美人圖’를 둘러싼 僞作 論難이 많다. “내가 낳은 子息을 내가 모르느냐”는 老畫家의 抗辯이 아직 많은 사람의 머릿속에 남아 있다. 이 事件의 미스터리는 아직 풀리지 않았다. 하지만 明確한 結論을 내리지 못했기 때문에 ‘아직 國內 美術界는 公式的으로 信賴받는 僞作 檢證 方法이 없는 것 아니냐’는 不信을 낳기도 했다. 論難을 둘러싼 對話나 討論이 不足하다는 點도 當時 事件이 남긴 課題다.

수많은 觀客을 불러모았던 人氣 作家에 關한 스캔들이었기 때문일까. ‘美人圖’를 둘러싼 對立에 關한 이야기는 숱한 記事와 TV 프로그램 主題로 다뤄졌다. 그러면서 千鏡子의 藝術에 對한 注目度는 오히려 옅어졌다. 우리는 그에 對해 좀 더 仔細히 알 必要가 있다.

女性, 自然을 主題로 한 길 걸어

1971년 6월호(왼쪽), 1974년 2월호.

1971年 6月號(왼쪽), 1974年 2月號.

1924年에 태어난 千鏡子는 1944年 東京女子美術專門學校를 卒業했다. 그가 日本에서 工夫하던 때는 野獸派·立體派 等이 活潑히 紹介되고 大部分 學生이 西洋畫에 集中하던 時期였다. 하지만 그는 오히려 東洋的인 雰圍氣에 集中해 日本畫 工夫에 邁進했던 것으로 傳해진다. 千鏡子의 스승 고바野歌와 기요시는 西洋畫의 破格的인 試圖에 關心을 기울이긴 했지만 東洋畫의 基盤을 더 단단하게 만드는 걸 重要하게 생각했다. 천경자에게 작은 部分도 徹底하게 하고 韓國的인 것을 發見해야 한다고 忠告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以後 홍익대 美大 敎授로 勤務하는 等 戰亂 속에서도 安定된 길을 걸었다. 하지만 새로운 刺戟에 渴望을 느낀 듯 敎授職도 버리고 世界 旅行을 떠나면서 오로지 畫家로만 살아가기로 決定한다. 이는 世界 旅行과 留學이 드문 時期에 試圖한 冒險이었다. 아프리카, 南太平洋, 南美 等을 쉬지 않고 旅行하며 이를 作品에 反映한 千鏡子의 旅程은 그의 藝術 世界를 理解하는 데 重要한 役割을 한다.

몇 次例에 걸친 變化 끝에 천경자의 그림은 다양한 形態와 色彩를 包含하는 人物畫로 發展했으나, 恒常 女性이 主人公이라는 點과 自然의 아름다움과 聯關韓 表現이라는 點에서는 하나의 길을 걸어왔다.

歷史는 個人에게 變化를 强要하고, 種種 그 삶을 집어삼키기도 한다. 千鏡子는 激動의 時期를 살았지만 生命에 關한 苦悶과 自身의 內面世界를 向한 探究에 焦點을 맞췄다. 그에게 ‘日本 스타일’이라는 非難이 加해진 것은 神奇한 일도 아니다. 光復 以後 새 出發한 韓國美術은 倭色 排擊을 主要 目的으로 삼아 日本으로부터 影響받은 작은 部分도 容納하지 않는 强勁한 態度를 보였다. 傳統의 再解釋을 理由로 文人畫 雰圍氣가 나는 水墨畫의 鎭重함만이 옳은 것으로 强調되기도 했다. 이 때문에 色彩의 힘이 넘치는 彩色畫를 섬세하게 그리는 千鏡子의 스타일은 그女 家政事와 엮여 그에게 否定的 評價를 加했다. 하지만 家族 모두가 反對했다고 알려진 日本 留學을 敢行했듯, 그는 自身의 길을 恒常 스스로 認知하던 畫家였기에 藝術 世界는 一貫性을 가질 수 있었다.

그림이 슬픔이나 恨을 表現한다는 말은 이제 너무 食傷하다. 오히려 천경자의 女性들이 보여주는 視線은 限이 서린 슬픔의 感情이라고 보기엔 距離가 있다. 그가 그린 女性들은 어떨 땐 夢幻的이고 어떻게 보면 淡淡하게 自身의 길을 가는 固執을 갖고 있는 듯하다. 剛하지 않게 보이지만 存在感이 느껴지고, 緊張돼 보이지만 무너질 것 같지 않다.

千鏡子가 꾸준하고 細心하게 싸워왔던 自己 內面의 創作 過程은 아름다움과 省察을 담은 作品들로 남았다. 政治的인 理由로 非難받았던 그의 畫風은 그림에서 가장 힘을 담고 있는 要素가 아닐까. 여러 겹 덧漆해 깊이를 더하는 方式으로, 이미 그려진 디테일들을 덮기도 하는 千鏡子의 붓은 수많은 苦悶의 過程을 보여준다. 그리고 그 女人들은 마침내 천경자 그 自身을 닮아간다.

#여성동아表紙畫 #여성동아 #表紙畫 #천경자 #안현배 #여성동아

寫眞 홍중식 記者 뉴시스 東亞日報DB



  • 推薦 0
  • 댓글 0
  • 目次
  • 共有
댓글 0
닫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