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웹小說 쓰면 얼마나 벌어요?”|여성동아

CULTURE

웹小說 쓰면 얼마나 벌어요?”

김민정 채널A CD

2023. 02. 17

‘財閥집 막내아들’ 히트로 다시 한番 可能性을 刻印시킨 웹小說. 錚錚한 콘텐츠들 사이에서 웹小說이 競爭力을 維持하는 祕訣은 무엇일까. 14篇의 作品을 出刊하고 여러 히트作을 執筆한 김민정 채널A CD가 內部者의 視線으로 들여다봤다. 

JTBC 드라마 ‘재벌집 막내아들’의 흥행은 새롭게 떠오르고 있는 웹소설 장르의 가능성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주었다.

JTBC 드라마 ‘財閥집 막내아들’의 興行은 새롭게 떠오르고 있는 웹小說 장르의 可能性을 다시 한番 확인시켜주었다.

“에이~ 괜찮아요. 先輩 나중에 巡洋 그룹 차리실 거잖아요.”

며칠 前 會社에서 누군가 장난처럼 내뱉은 말에 모두가 웃음을 터트렸다. ‘巡洋’이라는 單語가 內包하는 意味를 모두 알고 있지 않은가. 드라마 ‘財閥집 막내아들’은 짧은 時間 안에 大韓民國 國民들의 머릿속에서 財閥 企業을 나타내는 單語를 ‘三星’이 아닌 ‘巡洋’으로 代替시킬 만큼 뜨겁게 달아올랐다.

‘財閥집 막내아들’은 웹小說 IP 原作을 基盤으로 企劃, 開發된 作品이다. 웹小說 基盤 드라마는 이미 ‘社內맞선’ ‘先輩, 그 립스틱 바르지 마요’ 等 興行한 記錄이 있다. 이제 더 以上 웹小說 基盤의 드라마는 새롭지 않은 일이다. 하지만 不過 10年 前 웹小說이라는 單語가 처음 登場했을 때까지만 해도 웹小說의 映像化는 想像하기 어려웠다.

2023年 癸卯年은 웹小說이 10代의 班列로 跳躍하는 해다. 고작 10年 사이에 웹小說은 年齡과 性別을 아우르는 콘텐츠의 한 軸으로 자리매김했다. 그렇다면 只今 이러한 웹小說이 있기까지의 10年은 어떠했을까. 이 글을 통해 딱 10年 前 웹小說 連載를 始作하며 바라본 웹小說의 正義와 흐름 變化 그리고 未來에 對한 觀點을 말해보고자 한다.

인터넷小說이 웹小說 되기까지

웹小說이란 말 그대로 ‘웹에서 連載되는 小說’이다. 廣義的 意味로 웹에서 流通되는 純粹文學 作品을 包含한다고 볼 수 있겠으나, 흔히 웹에서 ‘先’連載되는 장르 文學을 稱한다. 勿論 웹小說이라는 말이 생겨나기 以前부터 웹에는 小說이 存在했다. 閉鎖性이 짙었지만 1990年代에도 ‘퇴마록’ ‘드래곤 라자’라는 히트作이 있었다. 2000年代 初盤 ‘그놈은 멋있었다’ ‘늑대의 誘惑’를 쓴 귀여니 作家는 엄청난 센세이션을 일으키며 인터넷小說의 大衆化를 이끌었다.



이 바통을 이어받아 現在의 웹小說이 誕生한 데에는 포털사이트 네이버의 役割이 主要했다. 네이버는 2013年 큰 人氣를 끌던 ‘네이버 웹툰’을 컴퓨터 畵面보다 모바일에 最適化된 콘텐츠로 탈바꿈시킨다. 스마트폰의 到來로 웹 콘텐츠의 形態에 必然的으로 變化가 要求되었던 것이다. 이와 同時에 네이버는 웹小說 탭을 新設했다. 앞서 言及한 인터넷小說과 웹小說의 差異는, 인터넷小說이 인터넷에서 無料로 連載된 뒤 종이冊 出刊으로 이어진다면 웹小說은 온라인에서 收益이 發生한다는 點이다.

네이버는 모바일 環境에서도 可讀性 높은 差別化된 콘텐츠를 만들었다. 假令 指紋에 비해 臺詞가 더 많은 比率을 차지한다거나, 代謝마다 캐릭터의 일러스트가 背馳되는 獨特한 形態의 콘텐츠를 提供하는 式이다. 이 德에 2013年 웹小說이라는 單語는 곧 ‘네이버 웹小說’, 卽 固有名詞에 가까워졌다.
이에 뒤질세라 카카오도 2013年 4月 ‘카카오페이지’라는 콘텐츠 플랫폼 서비스를 오픈했다. 出市 直後에는 反應이 크지 않았지만 以後 ‘달빛조각社’가 큰 成功을 거두며 카카오페이지는 恐龍 웹小說 플랫폼으로 成長했다. 以後 利用者 數가 많은 웹小說 플랫폼이 여럿 登場하며 웹小說은 플랫폼에 流通되는 장르文學을 일컫는 一般名詞로 자리 잡게 됐다.

웹小說의 成功 公式과 收益 構造

웹小說을 消費하는 이들 가운데 主로 모바일 利用率이 높은 讀者層은 10~30代이며 現在 40~60代까지 漸次 擴張되는 趨勢다. 웹小說 業界에서 通用되는 ‘成功하는 웹小說’의 公式은 移動 中에도 모바일에서 손쉽게 읽힌다는 데 焦點이 맞춰져 있다. 때문에 抽象的이거나 深刻한 主題는 避하는 傾向이 있다. 또 每 回次 末尾에 다음 廻車를 읽고 싶게 만드는 裝置를 심어놓는다. 時空間的 描寫보다는 對話體를 더 選好한다. 敍事를 浮刻하며 빠른 展開로 可讀性을 높인다. 讀者들이 빠져나가지 않고 持續해서 沒入할 수 있도록 한 會議 分量은 짧고 連載 주기 또한 짧게 잡는 게 特徵이다.

웹小說의 收益은 印稅로부터 發生한다. 卽, 作品마다 作家와 出版社 間 契約條件에 따라 收益比率이 달라진다. 直接的인 收益은 웹小說이 出刊된 各 플랫폼에서 發生한다. 精算은 出版社에 따라 翌月 或은 翌翌月로 處理된다.

收益은 一般的으로 小說을 流通하는 플랫폼이 30~45%를 가져간다. 나머지 收益은 作家와 表紙·矯正·校閱·契約 等을 作業하는 出版社가 7 對 3으로 나눈다. 勿論 收益 分配는 作家의 認知度, 前作 成跡 等에 따라 달라지기도 한다.

最近에는 웹小說 IP 基盤으로 多樣한 콘텐츠가 興行하며 業界 內 IP 先占 戰爭이 熾烈하게 벌어지고 있다. 이제 웹小說, 웹툰 中에는 完決되기도 前에 2次 著作物 版權 契約이 成事되기도 한다. 特히 前作에서 成果를 보였던 作家의 境遇 次期作 突入 以前부터 映像化, 게임化 論議가 이루어지는 境遇도 있다.

웹小說 장르는 多樣하다. 國內 最大 플랫폼인 카카오페이지를 基準으로 판타지, 現代 판타지, 로맨스, 로맨스 판타지, 武俠, 판타지 드라마, BL(Boy Love)로 나뉜다. 웹小說의 장르는 讀者層에 따라 크게 女性向과 男性向으로 區分한다. 男性向에 비해 女性向의 需要가 많으며 間或 男性向과 女性向 사이에 걸쳐 있는 作品도 存在하는데, 이 둘의 境界는 分明하다.

大體로 웹小說은 클리셰가 確立되어있고, 타깃層을 確保하기 위한 人氣 素材가 定해져 있다. 作家는 이를 執筆 段階 以前부터 考慮하는 境遇가 大部分이다. 市場을 女性向과 男性向, 둘로 나누는 理由 또한 市場을 細分化해 타깃層을 明確히 했을 때 收益이 安定的으로 確保되기 때문이다.

웹小說의 플랫폼은 連載本 플랫폼(카카오페이지)과 單行本 플랫폼(리디북스, 알라딘) 그리고 連載本과 單行本을 모두 出刊하는 플랫폼으로 나뉜다. 連載本 플랫폼에서는 普通 5000字 分量의 글이 한 回로 묶여 出刊되며, 單行本 플랫폼은 25~30回次를 冊으로 엮어 流通한다. 一般的으로 連載本 플랫폼에 小說을 먼저 선보이고, 單行本은 連載本에서 公開되지 않은 外傳 等이 追加된다. 또한 웹小說 作家의 登龍門 役割을 하는 自由 連載 플랫폼(카카오페이지 스테이지, 네이버 챌린지리그)도 있다. 作家 志望生이라면 누구나 自由롭게 連載가 可能하다.

筆者는 映像 業界에 발을 들이며 ‘N잡러’가 됐다. 14個 作品의 出刊 經歷이 있는 웹小說 作家이자 映像을 企劃하는 CD가 되면서다. IP 販賣 論議를 위해 미팅에 나가면 “앞으로 웹小說은 어떻게 變化할 것 같나요?”란 質問을 자주 받는다. 처음엔 模糊하게 答하곤 했다. “流行은 돌고 도니 다시 종이冊이 流行하지 않을까요” 또는 “메타버스 世上에 適用되지 않을까요”라 答하기도 했다. 이제 와서 속 시원히 答하자면 나도 正말 모르겠다.

質問하는 사람들에게 “웹小說의 다음 形態가 都大體 왜 重要한가요?”라고 되묻고 싶다. 콘텐츠는 技術 發展에 발맞춰 繼續해서 變化해왔다. 김은숙 作家는 여태 써왔던 로맨틱코미디가 아닌 復讐劇 ‘더 글로리’를 出市해 또다시 空前의 히트를 記錄했다. 김은숙 作家의 挑戰 背景에는 보다 다양한 장르물이 成功할 수 있는 OTT 市場의 成長이 있다. 그가 앞으로 어떤 形態의 콘텐츠를 만들어야 할지 只今 苦悶할 必要가 있을까. 創作者는 새롭게 登場하는 트렌드에 맞춰 適用시킬 수만 있으면 그만이다. 重要한 건 포맷이 아니라 消費者들이 찾는 재미를 만들어내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只今으로선 이를 가장 잘 보여주는 포맷 中 하나가 바로 웹小說이라는 데 異見이 없다.

#웹小說 #財閥집막내아들 #빅노아作家 #여성동아



김민정(筆名 빅노아)
웹小說 作家이자 채널A 映像 製作 CD, N잡러의 꿈을 實現한 갓生 社는 콘텐츠 製作者. 代表作으로는 ‘惡役 工作 영애의 特別한 쌀 栽培法’ ‘師母님의 야릇한 寢室’ ‘惡魔의 育兒日記’ 等이 있다.


寫眞 게티이미지 
寫眞提供 JHS BOOK JTBC 네이버 리디북스 알라딘 카카오



  • 推薦 0
  • 댓글 0
  • 目次
  • 共有
댓글 0
닫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