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現代 서울' 大박 ‘김형종 매직’ 親環境에도 通할까?|여성동아

ISSUE

who's who

'더現代 서울' 大박 ‘김형종 매직’ 親環境에도 通할까?

現代百貨店 100% 再生用紙 쇼핑백 使用 ‘親環境’ 經營 本格化

글 이진수 記者

2022. 03. 07

4월부터 친환경 쇼핑백 사용을 선언한 현대백화점 김형종 사장.

4月부터 親環境 쇼핑백 使用을 宣言한 現代百貨店 김형종 社長.

현대백화점이 4月부터 100% 再生用紙로 製作한 親環境 쇼핑백 使用을 宣言했다. ‘必(必)環境’과 ‘價値 消費’를 重視하는 MZ世代(밀레니얼+Z世代)의 눈길을 끌만한 움직임이다. 이런 變化의 中心에 김형종(62) 현대백화점 社長이 있다.

1985年 現代百貨店 公採 出身인 金 社長은 入社 35年만인 2020年 代表理事 자리에 오름으로써 ‘샐러리맨 神話’의 또 다른 主人公이 됐다. 以後 그는 百貨店 不毛地로 통하던 서울 汝矣島 金融街 商圈에서 ‘더現代 서울(以下 더現代)’ 大박 神話를 創造하며 話題를 모았다.

더현대 서울 워터풀 가든 전경.

더現代 서울 워터풀 가든 前景.

지난해 2月 26日 門을 연 더現代의 賣出은 1年 만에 8000億 원을 突破했다. 國內 百貨店業界 開店 첫해 賣出額으로는 新記錄이다. 新種 코로나바이러스 感染症(코로나19) 流行 속에서도 이런 成果가 可能했던 건 MZ世代 等 젊은 消費者 德分이라는 게 一般的 評價다. 현대백화점 關係者는 “金 社長은 더現代 開店 準備 段階부터 MD팀에 ‘내가 모르는 브랜드를 가져와라’라고 할 만큼 젊은층의 感覺에 맞는 空間을 꾸리고자 努力했다”고 밝혔다.

이런 努力 德分일까. MZ世代는 實際 움직였다. 더現代家 지난 1年 賣出을 年齡帶別로 分析한 結果, 20~30臺가 50.3%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現代를 除外한 現代百貨店 15個 店鋪 平均(24.8%)보다 두 倍 以上 높은 數値다. 더現代에는 遠征 쇼핑客度 唯獨 많다. 賣出의 54.3%가 10㎞ 以上 떨어진 廣域上卷에서 나왔는데, 이 消費者의 75%가 30代 以下였다.

金 社長은 현대백화점이 保有한 패션브랜드 ‘한섬’ 代表理事였던 2015年 온라인 쇼핑몰 ‘더한섬닷컴’을 런칭海 大成功을 거둔 履歷도 있다. 出帆 當時 60億 원에 不過하던 더한섬닷컴 賣出은 5年 만에 20倍 以上 急騰했다. 그 過程에서 30代 以上이 입는 ‘프리미엄 브랜드’ 이미지를 갖고 있던 한섬의 消費層이 20代까지로 넓어졌고, 賣出도 急增했다. 金 社長은 2012年 引受 當時 4000億 원臺에 不過하던 한섬 賣出을 1兆3000億원 規模까지 끌어올린 뒤 현대百貨店 社長으로 자리를 옮겼다.



현대백화점의 친환경 쇼핑백. 100% 재생용지로 제작했다.

현대백화점의 親環境 쇼핑백. 100% 再生用紙로 製作했다.

金 社長에게는 “市場 흐름을 읽는 能力이 빠르다”는 評價가 恒常 따라 다닌다. ‘미다스의 손’으로 불리는 그가 最近 새롭게 내놓은 經營戰略이 바로 親環境이다. 金 社長은 國內 百貨店業界 最初로 親環境 쇼핑백 全面 使用 方針을 發表하며 “環境保護와 自願 再循環이 漸次 重要해지고 있다. 앞으로 百貨店의 特性을 살려 地域 社會와 共感하고 나눌 수 있는 다양한 親環境 活動과 支援 事業을 이어나갈 計劃”이라고 밝혔다. MZ世代를 사로잡아온 ‘김형종 매직’이 이番에도 통할지 많은 이의 關心이 쏠리고 있다.

#더현대서울 #MZ世代 #여성동아

寫眞提供 한섬 現代百貨店



  • 推薦 0
  • 댓글 0
  • 目次
  • 共有
댓글 0
닫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