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映畫界 ‘뉴노멀’ 監督의 誕生|여성동아

PEOPLE

director

映畫界 ‘뉴노멀’ 監督의 誕生

글 이미나

2021. 03. 31

코로나19로 劇場에 가지 못하는 憂鬱한 狀況 속에서 逆說的으로 반짝반짝 빛나는 才能을 지닌 監督들이 誕生했다. 韓國을 넘어 글로벌 映畫界를 뒤흔들고 있는 次世代 能力者 리스트.

미나리 正이삭 監督
#늦깎이 監督의 大逆轉劇 #이대로 오스카 受賞?

요즘 國內外 映畫界를 아울러 彗星처럼 登場해 現在進行形 記錄을 써내려가고 있는 韓國系 美國人 監督이 話題다. 그 主人公은 얼마 前 國內에서도 開封해 박스오피스 1位를 記錄 中인 映畫 ‘미나리’의 正이삭(43) 監督이다. ‘미나리’는 아메리칸드림을 좇아 美國으로 건너간 移民 1世代의 이야기이자, 鄭 監督의 自傳的 經驗이 相當 部分 담겨 있기도 하다. ‘信號燈도 없고, 햄버거 먹을 수 있는 곳도 두 군데뿐’이었던 작고 조용한 아칸소주의 시골 마을에서 자란 鄭 監督은 어린 時節 外할머니가 韓國에서 가져온 미나리 씨앗을 떠올리며 映畫의 題目을 붙였다. 그에게 낯선 土壤에서도 어떤 作物보다 잘 자라났던, 질기고도 剛한 生命力을 보여준 미나리는 ‘子息의 未來를 위해 獻身하며 希望을 걸었던’ 世上 모든 父母에 對한 比喩이자 家族 間의 사랑 그 自體를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래서인지 鄭 監督은 自身의 父母가 ‘미나리’를 鑑賞한 後 “네가 우리의 삶을 모르지 않았구나”라고 傳했을 때 映畫를 만든 뒤 가장 보람을 느꼈다고 밝혔다. 또한 지난 2月 美國 골든글로브 施賞式에서 最優秀 外國語映畫賞 受賞作으로 呼名된 뒤에는 함께 있던 딸을 가리키며 “여기 이 아이가 내가 映畫를 만드는 理由”라고 밝히기도 했다. 家族을 向한 그의 愛情이 엿보이는 대목이다. 

只今은 美國 아카데미賞 候補에 오를 程度로 世間의 注目을 받는 監督이 됐지만, 그는 스스로의 삶을 ‘늦깎이’라고 表現한다. 實際 鄭 監督은 作家 志望生으로 예일대에 入學했으나 “脂肪 割當 쿼터를 채우기 위해 나를 입학시킨 게 아닌가 싶을 程度 實力이 끔찍했다”고 털어놓을 만큼 挫折을 겪었고, 뒤늦게 偶然히 들은 映畫 授業을 契機로 映畫를 本格的으로 배우기 始作했다. 2007年 르완다 不足 間의 虐殺로 苦痛 받은 두 少年의 이야기를 담은 첫 作品 ‘무뉴랑가步’로 칸 國際 映畫祭에 招請됐지만, 以後 두 篇의 映畫에서 내리 失敗를 맛본 뒤 演出者 代身 敎育者로서의 삶을 살았다. 映畫監督 隱退까지 苦悶하던 때도 있었으나, 마지막으로 人生에서 變化를 만들어야겠다고 決心하고는 幼年 時節의 記憶을 더듬어 써내려간 原稿가 바로 ‘미나리’ 시나리오다. 그리고 우리가 알고 있는 대로 이 作品은 第36回 선댄스映畫祭 美國 劇映畫 競爭 部門 審査委員 對象과 美國 劇映畫 競爭 部門 觀客賞 受賞을 始作으로 美國 內 各種 映畫祭에서의 受賞 記錄을 이어가고 있다. 特히 4月 25日 열리는 美國 아카데미賞에서 最優秀 作品賞, 監督賞, 女優助演賞(윤여정) 等 6個 部門 候補에 오르며 最終 首相도 占쳐지고 있다. 鄭 監督은 日本과 國內에서 큰 人氣를 얻었던 애니메이션 映畫 ‘너의 이름은’의 實寫板 演出을 비롯해 續續 後續作 消息을 알려오는 中이다. 

하지만 그는 只今의 기쁨을 躁急하게 누리기보다는 “천천히, 愼重히 해나가려고 한다”고 强調한다. ‘뉴욕 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鄭 監督은 “앞으로 어떤 일이 벌어지더라도 흔들리지 않을 겁니다. 只今까지 내게 벌어졌던 모든 일들도 全혀 豫想치 못한 것들이었거든요”라며 自身의 信念을 밝혔다.

勝利號 조성희 監督
#韓國型 SF 映畫의 始作 #그림의 代價

넷플릭스나 디즈니 플러스 等 海外 OTT(인터넷으로 映畫와 드라마 等 各種 映像을 提供하는 서비스)의 國內 上陸이 마냥 달갑지만은 않다가도 한便으론 반가울 때가 있다. 그 理由는 어쩌면 이 地球上의 누군가는 存在하는 줄도 몰랐을 韓國 콘텐츠의 優秀함을 全 世界로 傳播하는 契機가 되기 때문이다. ‘韓國 最初의 宇宙 SF 映畫’를 標榜하며 넷플릭스를 통해 世界에 公開된 映畫 ‘勝利號’가 좋은 事例다. 코로나19의 影響으로 두 次例나 開封이 延期된 끝에 넷플릭스를 通해 公開된 事緣이 있지만, 公開 當日 넷플릭스에서 가장 많이 再生된 映畫 1位에 올랐다. 또한 美國의 한 製作社가 리메이크를 推進한다는 消息까지 傳해지면서 그間의 迂餘曲折을 挽回할 만한 成果를 거뒀다. 

“수줍은 固執쟁이 天才!” ‘勝利號’에서 場 船長을 演技한 俳優 金泰梨가 作品을 演出한 조성희(42) 監督을 두고 남긴 評이다. 映畫는 想像 속에서만 存在하는 未來, 그것도 廣闊한 宇宙를 背景으로 쓰인 탓에 實際로는 CG가 입혀지지 않은 세트場과 綠色 크로마키 畵面 앞에서 撮影됐다. 그럼에도 큰 好評을 받은 映像美의 祕訣은 世界 最高 水準의 ‘韓國産 CG’와 더불어, 조 監督이 10餘 年 前부터 勝利號의 구석구석을 그리며 그만의 獨步的인 世界觀을 創造해온 德分이다. 이와 關聯해 金泰梨는 “첫 만남 자리에 노트를 들고 나와서 醬 船長을 스케치하셨어요. 그림으로 많이 想像하니 獨創的 場面이 나오는 것 같아요. 이야기를 10年 넘게 準備한 만큼 머릿속에 그림이 確實했죠”라고 傳하기도 했다. 




‘승리호’의 주역들과 
함께한 조성희 감독. 
유해진, 송중기, 
조 감독, 김태리, 진선규(왼쪽부터).

‘勝利號’의 主役들과 함께한 조성희 監督. 유해진, 송중기, 조 監督, 金泰梨, 진선규(왼쪽부터).

‘그림’이라는 말로 대표되는 映像美는 조 監督 作品의 代表的인 特徵으로 꼽힌다. 이는 監督의 履歷과도 깊은 聯關이 있다. 서울大學校 産業디자인科에서 視覺디자인을 專攻한 그는 卒業 後 인디 밴드 뮤직비디오를 만들었고, 直接 CG 會社를 차려 廣告 會社에 納品하기도 했다. 한 製作社에서 準備하던 怪獸 映畫의 크리처 디자인 作業에 參與하거나, TV 애니메이션 ‘따개비 壘’의 몇몇 에피소드도 直接 演出했다. 映畫 아카데미에 入學해 本格的으로 映畫 演出을 工夫하기 前부터, 이야기를 그림으로 그려내는 作業만큼은 이골이 날 程度로 反復해왔던 셈이다. 그래서인지 자칫 現實的일 것 같지 않은 스토리도 조 監督의 그림 속에서는 땅을 단단히 디딘 채 보는 이를 納得하게 만드는 힘을 지닌다. 그는 2009年 처음으로 내놓은 短篇映畫 ‘男妹의 집’으로 審査委員의 滿場一致가 나오지 않으면 大賞作을 選定하지 않는다는 미쟝센 短篇映畫祭에서 7年 만에 大賞을 받았다. 商業映畫로 처음 내놓은 ‘늑대少年’(2012)이나 ‘探偵 洪吉童: 사라진 마을’(2016) 모두 興行 與否와 關係없이 뛰어난 映像美로 好評을 받았다. 때론 新派 아니냐는 評價를 듣는다 해도, ‘善함’에 對한 끝없는 探究를 해나가는 것 또한 트레이드마크라 할 만하다. ‘늑대少年’에 이어 ‘勝利號’로 다시 한番 조 監督과 만난 俳優 송중기는 “그게 조성희 監督의 色깔 같아요. 그런 스타일을 제가 좋아하고, 그래서 作品을 選擇했죠”라고 傳하기도 했다. 송중기의 말처럼 그의 作品은 이야기의 設定도, 背景도 各各 다르다. 하지만 特有의 그림, 그리고 ‘善함’을 믿고 지키려는 마음만은 뚝심 있게 밀고 나간다. 조 監督의 다음 作品이 기다려지는 理由는 바로 누구도 흉내 내기 어려운 ‘조성희 월드’가 어디까지 뻗어나갈 수 있을지 쉬이 斟酌하기 어렵기 때문은 아닐까!

소리도 없이 홍의정 監督
#이토록 무서운 新銳의 誕生 #嫉妬를 부르는 演出力

코로나19로 唯獨 沈滯돼 있었던 지난해, 韓國 映畫界에서 記憶에 남는 作品을 꼽으라면 躊躇 없이 홍의정(39) 監督의 ‘소리도 없이’가 아닐까 싶다. 組織의 下請을 받아 殺人이 일어날 場所에 미리 비닐을 깔아주거나 屍身을 暗埋葬하는 일을 하는 태인(유아인)과 창복(유재명)을 主人公으로 내세운 이 作品은, 두 人物이 마치 平凡한 일터에서 일하는 것처럼 너무나도 誠實한 表情으로 各種 犯罪를 저지르며 獨特한 雰圍氣를 자아낸다. 古典小說 ‘鼈主簿傳’을 모티프로 하고 있으며, 平凡한 犯罪劇이 想像할 법한 展開를 비틀어 보여준다. 이러한 아이러니는 善함과 惡함, 그리고 生存은 어떤 意味를 갖는지를 묻고 싶었던 監督의 意圖다. 처음 洪 監督이 생각했던 映畫의 題目이 ‘소리도 없이 우리는 怪物이 된다’였다는 點을 떠올리면, 主題 意識을 좀 더 明確하게 理解할 수 있겠다. 

더욱 놀라운 건 이 作品이 洪 監督의 첫 長篇作이라는 點이다. 그는 韓國藝術綜合學校 映像院 映像디자인科를 卒業한 뒤 런던필름스쿨에서 碩士學位를 마쳤고, 2018年 直接 脚本을 쓰고 演出한 短篇映畫 ‘棲息地’로 釜山國際映畫祭 와이드앵글 韓國短篇競爭 섹션에 招請되며 評壇의 注目을 받았다. ‘소리도 없이’는 2016年부터 매달려온 一種의 長期 프로젝트인데, 첫 番째 或은 두 番째 長篇映畫를 演出하는 監督을 選定해 베니스國際映畫祭가 製作 支援을 맡는 ‘베니스 비엔날레 칼리지 시네마’ 最終 候補作에 오르기도 했다. 洪 監督은 最終 候補作에 오르면서 한 달間 베니스 現地에서 參與했던 워크숍 當時를 “새벽부터 밤늦게까지 進行됐기 때문에 피 吐할 것 같은 心情으로 臨했지만, 不必要한 部分을 없애는 過程을 한番 겪으면서 쓰고 싶은 이야기의 原形이 나온 時間”으로 回想한다. 어쩌면 이 時間들은 韓國에 돌아온 뒤 “商業性을 添加해야 한다”는 助言을 듣거나, 스토리나 캐릭터의 變更을 要求받으면서도 끝내 自身이 하고 싶었던 이야기의 原型으로 돌아올 수 있었던 뚝심의 源泉이 되지 않았을까. 이를 證明이라도 하듯 제41회 靑龍映畫祭는 “周邊의 映畫人들에게 지난해 가장 印象的인 新人 監督을 물었을 때 모두가 홍의정 監督을 꼽았다. 어떤 이들은 ‘嫉妬가 날 程度로 演出을 잘했다’라는 反應을 보이기도 했다”는 審査評과 함께 그에게 新人監督賞 트로피를 안겼다. 


‘소리도 없이’의 주인공 유재명과 홍의정 감독, 
또 다른 주연인 유아인(왼쪽부터).

‘소리도 없이’의 主人公 유재명과 홍의정 監督, 또 다른 主演인 유아인(왼쪽부터).

一般的인 商業映畫의 製作費에 턱없이 모자라는 水準인 製作費(13億원)에도 臺本의 價値를 알아보고, 기꺼이 손을 잡은 俳優들도 洪 監督에 對한 極讚을 아끼지 않는다. ‘소리도 없이’ 製作報告會에서 “오늘 자리는 홍의정 監督을 스타 監督으로 만들기 爲해 礎石을 다지는 자리”라고 公言했던 俳優 유아인은 이 作品으로 靑龍映畫祭 男優主演賞을 받자 “2百億원짜리 블록버스터 提案이 들어왔을 때 ‘와, 해볼까’ 하기도 하는데, 홍의정 監督님이 주신 作品은 俳優로서 初心을 되새기게 했다”며 “低豫算에 퀄리티가 保障될 수 있을까 걱정도 했지만 이 映畫를 하면서 제가 가장 큰 價値를 둔 건 새로움이고 홍의정 監督님이 가지신 倫理 意識이었다. 映畫로 무엇을 해야 할지 아시는 분과 (作業)할 수 있어서 기쁘다”고 말했다. 그야말로 이동진 映畫評論家가 말했듯이 “장르의 慣習에 발목 잡히지 않은 채 自身만의 步法으로 新鮮하게 걷는” 新銳의 誕生이다.

벌새 김보라 監督
#59冠王에 빛나는 映畫祭 트로피 컬렉터 #女性의 視線, 한발 앞으로

2019年 文化界 決算에 빠지지 않고 登場했던 映畫는 ‘벌새’다. 

같은 해 開封한 映畫 ‘寄生蟲’이 韓國 最初로 美國 아카데미賞을 受賞하는 等 놀라운 記錄을 써내려간 渦中에도, ‘벌새’의 行步는 斷然 獨步的이었다. 低豫算 獨立映畫로는 異例的으로 14萬 名의 觀客을 動員한 데다, 總 59個의 海外 映畫祭에서 온갖 賞을 그야말로 蒐集하며 신드롬에 가까운 人氣를 얻었다. 1994年 일어난 聖水大橋 崩壞 事件이 劇 中에 登場하고 主 舞臺가 서울 강남구 대치동으로 設定되는 等 韓國籍 要素가 映畫 곳곳에 있었음에도 言語와 國家의 境界를 넘어 뜨거운 反應을 얻었다. 그 背景에는 主人公이 겪어야 했던 有無形의 差別과 暴力, 그리고 喪失과 慰勞와 成長의 敍事가 ‘韓國’이라는 특수한 곳에 限定되어 있지만은 않았기 때문일 것이다. 어쩌면 全 世界的으로 擡頭되고 있는 페미니즘의 물결 속에서 이 作品은 萬國 共通의 ‘姊妹愛’를 깊숙하게 省察한 作品이라고도 할 수 있다. 每해 開封 映畫 中 男性 中心의 映畫가 얼마나 많은지 計量化하기 위해 使用되는 ‘벡델 테스트’의 創始者인 앨리슨 벡델이 ‘벌새’를 두고 “가장 政治的이지 않은 方式으로 政治的인 메시지를 傳達하는 映畫”라고 評한 것은 그래서 더욱 意味深長하다. 

‘벌새’의 中心에는 오랜 時間 自身의 內面을 고요히 들여다보며 作品을 完成해낸 김보라(40) 監督이 있다. 高等學校에서 演劇映畫를 專攻한 그는 동국대 映畫映像學科를 거쳐 스물일곱의 나이에 美國으로 留學을 떠났다. 컬럼비아대 大學院 映畫科에서 工夫하며 果然 自身이 映畫를 만들 수 있을지 疑問이 따랐었던 때, 種種 中學校 時節의 꿈을 꾸었던 게 ‘벌새’의 始作이었다. ‘모든 이에겐 各自의 우물이 있다’는 말처럼, 金 監督도 그 우물 속에서 잊기 어려운 트라우마와 傷處를 한 동이씩 천천히 길어냈다. 그것들과 한 글字씩 맞바꾼 글이 ‘벌새’의 시나리오가 됐다. 2013年 草稿가 나오고 2017年 本格的인 撮影이 始作되기 前까지 酷毒한 批評과 숱한 拒絶을 겪었음에도 이 作品을 抛棄하지 않았던 背景이다. 

自傳的 經驗과 虛構를 織造해 만든 ‘벌새’가 ‘사람들에게 便紙처럼 配達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내놓고, 映畫가 여러 사람들에게 깊은 사랑을 받는 經驗을 통해 答狀을 받는 듯 幸福을 느꼈다는 그는 비로소 映畫監督으로서의 本格的인 出發線에 선 것처럼 보인다. 

金 監督은 “‘벌새’를 만드는 過程 안에서 確實히 마음가짐이 달라진 것 같다. 繼續해서 照明되지 않은 이야기를 내 方式대로 풀어나가고 싶은 마음이 漸漸 커지고 있다”는 속내를 털어놓기도 했다. 自身의 視線으로 照明되지 않았던 이야기에 注目하고, 社會에 꼭 必要한 意味 있는 視線들을 映畫 속에 담아내고 싶다는 金 監督의 바람은 次期作에서도 묻어난다. 그가 準備 中인 作品은 김초엽 作家에게 2019年 ‘오늘의 作家賞’을 안긴 小說集 ‘우리가 빛의 速度로 갈 수 없다면’에 收錄된 短篇 ‘스펙트럼’이다. 屬望받던 生物學者 희진이 事故로 不時着한 行星에서 知性을 가진 外界 生命體 루이와 遭遇, 특별한 交感을 나누는 內容이다. 1秒에 平均 80番의 날갯짓을 하며, 꿀을 찾아 먼 距離를 날아다니는 벌새를 金 監督은 抛棄하지 않고 希望을 찾아가는 旅程의 메타포로 여겼다. 그가 ‘벌새’와 같이, 지치거나 抛棄하지 않고 꾸준히 좋은 이야기를 내놓을 수 있기를 바랄 뿐이다.

寫眞提供 넷플릭스, 메리크리스마스, 釜山國際映畫祭, 에이스메이커무비웍스, 엣나인필름, 판씨네마, A24 films 홈페이지



  • 推薦 0
  • 댓글 0
  • 目次
  • 共有
댓글 0
닫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