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尖端 메디컬, 앞서 가는 競爭力|週刊東亞

週刊東亞 860

..

尖端 메디컬, 앞서 가는 競爭力

마음이 따뜻한 醫師 養成, 藥學大·韓醫科大와 시너지 效果

  • 박은경 客員記者 siren52@hanmail.net

    入力 2012-10-29 11:02:00

  • 글字크기 설정 닫기
    첨단 메디컬, 앞서 가는 경쟁력

    最尖端 裝備를 保有한 腦科學硏究所. 腦 構造를 撮影한 1.5T(왼쪽)와 7.0T(오른쪽) MRI 寫眞이 뚜렷하게 區別된다.

    醫科大, 醫學專門大學院, 韓醫科大, 藥學大와 吉病院을 비롯해 敎育科學技術部가 ‘世界 水準의 硏究 中心 大學(WCU)’ 事業으로 選定한 가천腦科學硏究所, 이길여癌·糖尿硏究院, 바이오나노硏究院 等 3代 硏究所를 갖춘 嘉泉大는 尖端 메디컬 特性化大學으로 거듭나고 있다. 이들 機關이 有機的 協力體系를 構築해 시너지 效果를 極大化하면서 嘉泉大는 醫生命科學 分野에서 무서운 氣勢로 成長 中이다.

    1998年 醫學 分野 基礎와 臨床硏究를 아우르는 ‘醫師科學者 養成’을 目標로 設立한 醫學專門大學院(以下 醫專院)은 先進 敎育시스템을 導入해 專門的 素養을 갖춘 人材를 養成하고 輩出하면서 國內 醫學敎育에 커다란 變化의 바람을 일으켰다. 特히 對內外的으로 注目받는 것은 注入式 敎育에서 脫皮해 醫學的 思考와 自己主導 學習이 可能한 敎育 過程 運營이다. 여기서 한걸음 나아가 全 學年 커리큘럼에 依哲學, 醫療倫理學, 醫療情報學 같은 人文社會醫學 分野도 골고루 編成해 ‘마음이 따뜻한 醫師’ 養成을 目標로 한다.

    # 하버드대 醫大와 共同學位 授與 協約

    한便, 嘉泉大 3代 硏究所가 進行하는 다양한 硏究와 吉病院의 臨床을 結合한 醫療 인프라는 醫專院에 몸담은 未來 依科學者들에게 最高의 敎育 環境을 提供한다.

    신익균 醫專院 院長(心臟內科 敎授)은 “新藥 開發, 醫生命 分野 硏究에 依한 醫療機器 開發, 맞춤醫學 分野 等은 앞으로 우리나라를 먹여살릴 核心 國家産業으로 꼽힌다. 特히 生命工學(BT) 産業 中 醫生命 分野 發展이 宏壯히 重要한데, 거기에 焦點을 맞춘 敎育을 實施하는 것이 우리의 基本 目標”라고 말했다.



    醫專院은 지난해 12月 美國 하버드대 醫大와 共同學位 過程을 運營하기로 合意해 國內外에서 注目받았다. 嘉泉大 醫專院에서 2年間 工夫한 뒤 하버드대 醫大 博士學位(Ph.d) 過程을 밟고, 이어서 醫專院에서 나머지 2年(MD) 過程을 마치는 複合學位 過程(MD-Ph.d)이다.

    現在 醫專院은 國內에서 唯一하게 碩士論文이 通過돼야만 卒業할 수 있다. 論文 通過에 失敗하면 卒業을 할 수 없기에 醫師免許試驗을 볼 수 없다. 申 院長은 “우리나라는 醫療 人力 가운데 基礎硏究 人力이 不足한 實情이다. 基礎硏究에서 臨床硏究로 가는 中間 連結고리 敎育이 宏壯히 重要하다. 그런 仲介 硏究에 學生들이 많은 關心을 갖기를 바라고, 그런 人力을 養成하고 싶다. 이 때문에 硏究 力量을 倍加하는 敎育을 重點的으로 시킨다”고 强調했다.

    # 最尖端 裝備 保有한 가천腦科學硏究所

    WCU 事業에 選定된 가천腦科學硏究所, 이길여癌·糖尿硏究院, 바이오나노硏究員은 世界的인 硏究 力量을 지닌 것으로 評價받으면서 嘉泉大가 글로벌 메디컬 파워를 發揮하는 源泉이 되고 있다. 그中 腦科學系의 世界的인 碩學 조장희 博士가 이끄는 腦科學硏究所는 科學과 技術, 비즈니스를 結合한 世界的인 硏究·開發(R·D) 前進基地다. 發病 原因조차 모르는 알츠하이머와 더불어 現在 全 世界的으로 問題되는 腦 關聯 疾患인 파킨슨, 腦出血, 腦卒中에 對한 基礎硏究가 腦科學硏究所의 核心 課題다.

    이 硏究所는 世界 最初로 高解像度 HRRT-PET(陽電子放出斷層撮影裝置)와 超鼓子長 7.0T(Tesla) MRI(磁氣共鳴裝置)의 融合시스템을 硏究, 開發해 腦 생김새와 神經化學物質 分泌 現象, 腦 속 神經다발 連結網을 硏究하며 腦疾患을 糾明하는 데 힘을 쏟고 있다. 조 博士는 “PET는 解像度가 나쁘고 MRI는 解像度는 높지만 神經化學物質을 볼 수 없어 두 裝置를 합쳤다. 이 裝置는 世界에서 唯一하게 우리가 保有하고 있다. 民間硏究所에서 世界 最初로 融合裝置를 開發해 劃期的인 腦 硏究를 進行하는 곳은 世界에서 우리가 거의 唯一하다”고 말했다.

    조 博士는 산 사람의 腦를 통해 알츠하이머와 파킨슨病, 腦出血과 腦硬塞을 精密 觀察함으로써 早期診斷이 可能하게 된 것을 硏究所의 代表的 成果로 꼽았다. 이 成果를 土臺로 各 疾患의 發病 原因과 疾病 豫後, 豫防 等에 對한 硏究를 進行 中이다. 海外 大學과 硏究所 等 40個 腦 硏究 關聯 機關도 共同으로 參與하고 있다. 한便 硏究所는 7.0T MRI를 넘어 누구도 挑戰하지 않은 領域인 14.0T MRI 開發에 着手해 世界 硏究陣을 놀라게 했다.

    첨단 메디컬, 앞서 가는 경쟁력

    1 PET와 MRI를 融合한 世界 唯一의 診斷 裝備. 2 醫學專門大學院은 基礎 硏究 力量을 倍加하는 敎育에 重點을 두고 있다. 3 韓國 最高의 實驗動物센터를 갖춘 이길여癌·糖尿硏究院.

    # 줄기細胞 硏究로 老化와 장수에 挑戰

    國際實驗動物管理評價認證協會(AAALAC International)로부터 ‘完全’ 認證을 받은 韓國 最高의 實驗動物센터 韓國마우스代謝疾患特化센터(KMMPC)와 國家가 指定한 代謝性疾患藥理效能評價센터(NECMD)를 保有한 이길여癌·糖尿硏究員은 最尖端 生命科學을 硏究한다. 動物實驗을 통해 癌은 勿論 糖尿, 肥滿, 高脂血症 같은 代謝疾患, 줄기細胞再生醫學, 老化와 장수 等 4大 課題를 集中的으로 硏究하는 한便, 新藥開發 過程에서 指摘되는 基礎硏究成果(新藥先導 物質)의 製品化 斷絶 現象을 解消해 臨床試驗 段階로의 進入을 活性化하는 硏究에 邁進하고 있다.

    硏究院長 박상철 博士에 따르면, 現在 癌 줄기細胞 硏究, 生體疾患에 적합한 줄기細胞를 만드는 硏究, 늙은 細胞를 젊게 만들어 機能的으로 장수가 可能하게 하는 硏究 等을 進行 中이다. 朴 博士는 “앞으로 癌과 糖尿를 묶어 硏究할 計劃이다. 遺傳疾患인 癌과 代謝疾患人 糖尿를 묶어 癌과 遺傳子, 大司成이 어떤 關係인지를 說明하는 좋은 툴이 될 것이다. 窮極的으로 長壽 硏究로 連結할 수도 있다”며 向後 構想을 밝혔다.

    바이오나노技術은 바이오技術과 나노技術을 結合한 神融合 分野로, 나노미터 크기의 微細 物質을 活用해 生命體의 現象을 分析하고 模倣하는 尖端技術이다. 바이오 經濟時代에 對備해 2007年 開院한 바이오나노硏究院이 現在 硏究 中인 分野는 疾病 診斷을 위한 基盤技術 開發, 組織工學을 위한 바이오 構造體 開發, 藥物 傳達을 위한 마이크로 裝備 開發, 天然物을 利用한 新藥 開發 等이다. 이를 위해 各 分野 專門家가 基礎應用 學問을 바탕으로 硏究力을 모아 共同硏究를 進行 中이며, 이미 産業體 技術移轉 等의 成果를 내고 있다.

    지난해 3月 新入生을 받기 始作한 藥學大는 짧은 時間 안에 安定的인 硏究 基盤을 두루 갖췄다는 評價를 받는다. 新設 藥學大에 對한 肯定的 評價는 歌天醫大가 메디컬캠퍼스로 再編成되면서 嘉泉大 藥學大만의 特性化 基盤을 마련한 데서 起因한다.

    한便 韓醫科大의 目標는 韓醫學을 體系化해 東西 調和를 통한 새로운 醫學을 創出하는 것이다. 藥學大와 韓醫科大, 3代 硏究所가 連繫한 嘉泉大의 폭넓은 産學硏 네트워크는 이미 國內 新藥 開發 業界가 注目하고 있다. 學校 側은 “東北亞 中心 都市인 仁川에 位置하고, 新藥開發을 先導하는 松島國際都市와 가까운 地理的 利點이 向後 藥學大와 韓醫科大가 글로벌 市場에서 競爭力을 갖추고 뻗어나가는 長點으로 作用할 것”이라고 내다본다.



    敎育

    댓글 0
    닫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