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平生 健康 保障? 7가지를 지켜라!|주간동아

週刊東亞 852

..

平生 健康 保障? 7가지를 지켜라!

最高의 韓方醫書 ‘東醫寶鑑’

  • 안영배 記者 ojong@donga.com

    入力 2012-08-27 09:34:00

  • 글字크기 설정 닫기
    記者의 書齋 冊床머리 쪽 壁에는 明나라 때 船社(禪師)로 알려진 太乙眞人(太乙眞人)의 養生 祕訣이 붙어 있다. ‘七擒門(七禁文)’이라는 題目을 가진 이 글句를 冊床에 앉아 컴퓨터를 하거나 冊을 읽을 때 한 番씩 읽곤 한다. 이 글은 朝鮮 名醫 許浚(1546∼1615) 先生이 남긴 ‘東醫寶鑑(東醫寶鑑)’ 내경(內景)篇 第1卷 攝養要訣(攝養要訣)이라는 대목에 그대로 실렸다. 許浚 先生이 豫防醫學 次元에서 平常時 지켜야 할 健康守則으로 紹介한 것이다.

    ‘東醫寶鑑’은 우리나라와 中國 醫書를 한데 모아 編纂한 冊이다. 내경便, 外形便, 寢具便 等 모두 5篇으로 構成된 이 冊은 厖大한 規模와 井然한 編纂 體系를 갖춰 2009年 유네스코가 世界記錄遺産으로 登載했다. ‘東醫寶鑑’은 韓醫學을 專攻하는 사람들이 읽는 專門書籍이지만, 내經편은 一般人이 읽기에 그다지 부담스럽지 않다. 게다가 實生活에 도움이 되는 健康 情報가 가득하다. ‘七擒門’은 그中에서도 가장 代表的인 健康常識이라 할 수 있다. ‘東醫寶鑑’은 太乙眞人의 말을 빌려 일곱 가지 禁해야 할 事項을 다음과 같이 整理했다.

    ① 小言語 養內氣(笑言어 量내기) : 말을 적게 해 내기(內氣)를 길러라

    우리는 너무 힘들고 疲困할 때 “말할 기운조차 없다”고 얘기한다. 말은 할 때마다 人體 기운을 消耗하기 때문에 쓸데없는 말을 하지 말라는 것이다. 말을 함부로 하지 않으면 口舌數에 시달리지 않고 내 기운도 기를 수 있으니 좋은 養生法이다.

    ② 戒色慾 養精氣(界色慾 양정기) : 色慾을 操心해 定期(精氣)를 길러라



    男性은 性行爲 時 정미로운 液體인 精液(精液)을 排出하므로 生命 에센스人 情(精)을 너무 濫用 或은 消耗하지 말라는 것이다. 勿論 男性에게만 該當한다.

    ③ 簿滋味 養血氣(富者美 養血機) : 입맛을 담백하게 해 血氣를 길러라

    穴(血) 기운을 기르려면 肉類처럼 기름진 飮食보다 菜蔬처럼 담백한 飮食을 攝取하라는 것이다. 그러면 肥滿, 高血壓, 糖尿 等 各種 成人病 豫防에 큰 도움이 된다.

    ④ 嚥精液 養臟氣(年精液 洋裝機) : 津液을 保存해 五臟의 기운을 길러라

    침을 習慣的으로 뱉는 사람이 있는데, 太乙眞人은 絶對 禁忌해야 할 일이라고 봤다. 韓醫學에서는 침을 신장(腎臟) 津液으로 看做해 금장(金漿)이니 옥례(玉醴)니 하는 말로 貴重한 寶石 다루듯 取扱한다. 침을 뱉지 않고 입속에서 잘 굴려 삼키는 要領을 習得하면 五臟 기운을 북돋워 몸에 潤氣가 난다고 했다.

    ⑤ 莫嗔怒 養肝氣(幕瞋怒 양간機) : 憤怒를 調節해 간醬의 기운을 길러라

    韓醫學에서는 사람 感情이 人體 내 五臟과 直接 連結된다고 봤다. 特히 憤怒와 성냄은 肝 健康에 直擊彈을 날리는 害로운 行爲이다. 些少한 일에 걸핏하면 火를 내는 사람치고 肝이 健康한 사람이 別로 없는 것도 이런 理致다.

    ⑥ 美飮食 養胃氣(美飮食 讓位機) : 飮食을 調節해 胃腸의 기운을 길러라

    좋은 飮食을 가려 먹고, 傷한 飮食은 避하고, 더 나아가 過飮이나 過食을 避함으로써 僞裝 기운을 保護하라는 것이다. 僞裝 기운을 잘 길러야 日常生活에서도 에너지가 가득한 힘을 發揮할 수 있다.

    ⑦ 少思慮 養心氣(小思慮 良心機) : 생각을 적게 해 심기(心氣)를 길러라

    모든 病은 마음에서 비롯한다. 그 마음을 병들게 하거나 傷하게 하는 것이 바로 지나친 생각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許浚 先生도 “疾病을 治療하고자 하면 먼저 마음을 다스려야 한다”고 强調했다. 複雜多端한 現代生活이지만 마음이 수고롭지 않도록 생각을 줄이는 練習을 해보자.



    댓글 0
    닫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