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름값 暴騰은 부시 탓”|週刊東亞

週刊東亞 493

..

“기름값 暴騰은 부시 탓”

美國-中東 不安定 政治狀況이 첫째 要因 … 美·中 消費 急增, 産油國 供給 調節도 한몫

  • 이준범/ 韓國石油公社 石油情報處 調査硏究팀長

    入力 2005-07-07 14:46:00

  • 글字크기 설정 닫기
    國際油價가 强勢를 보이기 始作한 지 벌써 1年 半이 지났다. 지난해 1月부터 始作된 國際油價 上昇勢는 當初 一時的 現象일 것이란 視角도 있었으나, 豫想과 달리 連日 最高 價格을 更新하더니 及其也 6月27日 西部텍사스中質油(WTI) 價格이 배럴當 60달러를 넘어서 큰 衝擊을 주었다.

    ‘배럴當 60달러’는 1年 前만 해도 想像하기 어려운 일이었다. 以前까지 國際油價는 石油輸出國機構(OPEC·11個 産油國이 結成한 國際組織)가 2000年 3月 導入한 ‘油價밴드制’라는 制度를 통해 배럴當 25~30달러 線에서 安定的으로 움직였다. 하지만 OPEC는 2004年 12月 油價가 30달러를 突破했는데도 이에 積極 對應하지 않았고, 一部에서 밴드를 上向調整해 價格을 안정시킬 必要가 있다는 意見을 내놓기도 했으나 亦是 어떤 努力도 기울이지 않았다. 올 1月 OPEC 總會에선 아예 한 발 더 나아가 밴드制를 抛棄한다는 決定까지 내리기에 이르렀다. 이는 價格 安定을 爲한 制度的 努力을 抛棄한다는 것을 意味한다.

    OPEC가 이 같은 決定을 내린 데는 政治的 要因이 크다. 最近의 배럴當 60달러 突破 事件 또한 이란 大統領 選擧 結果에 對한 石油市場의 不確實性 增加가 主原因이었다.

    需給과 政治의 相關關係

    美國과 中東 産油國 間의 關係는 國際油價 安定의 가장 重要한 變數다. 美國은 사우디아라비아에서 油田을 確保한 1930年代 以來 安定的 石油供給을 위해 中東과의 關係에 力點을 둬왔다. 問題는 부시 行政府가 들어서면서 中東과의 關係가 圓滿하지 않아졌으며, 이것이 國際油價에 否定的인 影響을 끼치고 있다는 點이다.



    過去 클린턴 政府 時節, 美國은 사우디·쿠웨이트 같은 中東 主要 産油國을 中心으로 이른바 ‘石油供給 安保’를 確保하려 했다. 美國은 軍事力을 提供해 이라크·이란 等과 같은 强勁 아랍國家로부터 産油國을 保護하고, 産油國들은 圓滑한 石油 供給을 保障한다는 이른바 ‘石油-安保 交換關係’를 構築한 것이다. 美國은 이를 위해 이란과 이라크를 封鎖하는 ‘二元封鎖 政策’을 驅使했다. 그 代價로 當時 美國 國務部 中近東 擔當 마틴 인다이크 局長은 中東 産油國들에 배럴當 23~25달러 水準으로 國際油價를 안정시켜줄 것을 公開 希望하기도 했다. 그 때문일까, 實際로 90年代 初盤 國際油價는 25달러 水準에서 安定勢를 維持했다.

    그러나 부시 行政府가 들어서면서 美國의 政策은 急激하게 變化했다. 부시 行政府는 前任 行政府의 二元封鎖 政策이 潛在的 國際油價 不安要因인 이란과 이라크 問題를 根本的으로 解決할 수 없다는 생각을 갖고 있었다. 特히 이런 渦中에 發生한 9·11테러는 美國이 問題 解決을 위한 行動에 積極 나서도록 하는 轉換點이 됐다.

    美國은 9·11테러의 背後로 이라크를 指目하고, 후세인 政權 崩壞를 위한 軍事作戰을 벌였다. 當時 이 같은 美國의 決定은 石油供給 側面에서 肯定的 結果를 가져올 것으로 豫想됐다. 이라크는 世界 3位의 石油 埋藏量을 保有하고 있지만 生産能力 不足으로 90年 걸프戰 以後 UN이 石油輸出 禁輸 措置를 통해 制限한 程度의 原油만을 散發的으로 輸出하고 있었다. 美國의 이라크 戰爭 成功으로 후세인 政權이 退陣하고 外國 企業들이 石油産業에 投資를 始作하면 이라크는 하루 500萬 배럴 以上의 原油를 生産할 수 있을 것이란 結論이었다.

    그러나 只今, 現實은 正反對다. 이라크는 現在 準內戰 狀態에 있으며, 當然히 外國 企業 投資를 통한 增産은 期待하기 어려운 狀況이다. 甚至於 現在 保有하고 있는 生産能力 250萬 배럴조차 工場 修理用 部品을 제때 供給 못해 70%만 稼動하고 있는 形便이다.

    消費는 늘고 供給은 限界

    美國과 사우디의 關係 또한 썩 圓滿한 便은 아니다. 사우디는 美國이 中東 石油 政策에서 가장 重視해온 나라다. 美國은 9·11테러 背後 指導者인 오사마 빈 라덴과 테러 加擔 人物들이 사우디 出身이라는 點에 注目, 테러와 關聯 있는 勢力을 剔抉할 것을 사우디에 要求했다. 그러나 사우디는 美國의 要求를 積極 들어주지 않았을 뿐 아니라, 一部 王子들은 테러 勢力을 庇護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自然히 美國과 사우디의 關係는 不便해졌다.

    이런 狀況을 反映하듯, 現在 사우디는 美國이 要求하는 生産能力 200萬 배럴 增大에 消極的이다. 사우디에는 80餘個의 遺傳이 있지만, 實際 原油를 生産하는 곳은 10餘個에 지나지 않는다. 사우디가 生産能力을 擴大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니다. 그럼에도 사우디는 美國이 要求하는 200萬 배럴 生産 擴大 施設을 2009年, 卽 美國의 다음 大統領選擧가 치러진 以後에나 完成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는 부시 大統領에 對한 反感을 露骨的으로 드러낸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勿論 國際油價의 衝擊的 上昇에는 國際經濟的 影響도 있다. 消費國의 需要 增加가 그 核心이다. 2002年까지만 해도 世界 石油消費는 7800萬 배럴로 前年에 비해 60萬 배럴, 單 0.8% 增加하는 데 그쳤다. 그러나 2003年에는 180萬 배럴, 2004年에는 270萬 배럴로 急激히 늘어났다. 올해에도 最小 180萬 배럴이 늘어날 것으로 豫想된다.

    石油 需要 急增을 主導하는 것은 美國과 中國이다. 世界 石油消費 中 60%는 經濟協力開發機構(OECD) 國家에서 發生한다. 그中 유럽 各國과 日本은 石油消費 增加가 거의 없는 反面, 하루 2050萬 배럴을 消費하는 世界 最大 石油消費國 美國의 境遇에는 2003年부터 每年 40萬~50萬 배럴씩 消費가 늘어나고 있는 形便이다. 中國 또한 石油 消費가 2003年에는 60萬 배럴, 지난해에는 80萬 배럴이나 늘었다. 이 두 나라의 石油消費 增加가 世界 增加分의 거의 折半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다.

    美國과 中國의 石油消費 急增은 制限된 供給 物量을 두고 相互 競爭하는 樣相으로 이어지고 있다. 高油價 行進이 本格化하기 始作한 2004年 여름부터 나타난 現象이다. 英國의 ‘諸人 인텔리전스’誌는 ‘美國과 中國이 更迭原乳를 確保하기 위해 大西洋 沿岸 原油市場을 中心으로 競爭을 벌이고 있다’는 報道를 하기도 했다.

    中國의 精油工場들은 自國 內 원유인 大經原油에 맞춰 設計된 것이다. 大經原油는 揮發油와 같은 高級 石油製品을 많이 生産하는 高品質 更迭原油다. 그러나 石油消費 急增에 비해 大經原油의 生産은 늘지 않아 結局 中國은 海外市場에서 이런 高級 原乳를 調達해야 하는 形便에 處하게 된 것이다. 海外 石油市場 中 更迭原乳가 많이 生産되는 곳은 西部아프리카와 北아프리카 地域이다. 이곳의 原油는 大西洋 沿岸 市場에서 主로 去來된다. 이는 必然的으로 美國 側 更迭原油 購買者들과의 競爭을 불러왔다. 이 競爭이 價格에 그대로 反映되었음은 勿論이다.

    이렇듯 急增하는 石油 需要에 비해 産油國이 保有하는 生産能力은 限界를 보이고 있다. 大部分의 産油國들은 生産能力을 最大限 稼動시켜왔다. 效率的 生産管理를 위해 生産施設을 놀리지 않는 것이다. 反面 OPEC 國家들은 稼動되지 않는 生産能力, 이른바 剩餘 生産能力을 保有하고 있다. 卽 非OPEC 國家들이 原油市場 需要에 맞춰 生産함으로써 剩餘 生産能力을 保有하고 있지 않는 反面, OPEC 國家들은 剩餘 生産能力을 保有해 一部 産油國에서 石油生産 中斷이 發生하거나 需要가 갑자기 增加할 境遇 이를 活用할 準備가 되어 있는 것이다.

    自國 利益 위해 産乳量 調節 疑惑

    高油價가 始作되기 直前인 2003年 12月 基準으로 OPEC 國家들은 總 3150萬 배럴의 生産能力을 保有하고 있는 것으로 把握됐다. 二重 稼動하지 않고 있는 剩餘 生産能力은 260萬 배럴 程度였으나, 30日 內에 稼動할 수 있는 實質的 剩餘 生産能力은 176萬 배럴에 不過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全體 生産能力의 5%에 그치는 것으로 心理的 안정선人 10%에 크게 못 미치는 것이다. 이렇게 OPEC의 剩餘 生産能力이 限界에 直面했다는 心理가 擴散되면서 國際油價는 걷잡을 수 없이 上昇했다.

    이런 狀況 아래 只今 OPEC 産油國들은 自國 利益을 위해 産油量을 調節하고 있다는 疑心마저 받고 있다.

    앞에서도 指摘했듯 更迭原油 確保를 위한 主要 石油消費國의 競爭이 2004年 油價 强勢의 原因이었다. 그 結果 2004年 여름, 更迭原油와 重質原油의 價格 差異가 크게 벌어졌다. 代表的 更迭原油인 WTI와 代表的 重質原油人 두바이유의 價格差는 高油價가 始作되기 前에는 2~3달러에 不過했다. 하지만 更迭原油 값이 急上昇하면서 2004年 10月에는 價格差가 平均 15달러까지 벌어졌다. 그런데 올해 들어서 이 差異가 6月 平均 5달러로 다시 縮小된 것이다. 이는 重質原油를 主로 生産하는 中東의 OPEC 産油國들이 原油 販賣 收入 極大化를 위해 그 生産量을 줄여 價格을 大幅 상승시켰음을 의미한다.

    國際 政治·經濟 狀況이 이처럼 複雜하게 꼬여 있는 만큼, 油價 强勢가 얼마나 오래갈지는 알 수 없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石油 需給과 같은 經濟的 問題들이 解消된다 해서 油價가 下落하지는 않으리라는 點이다. 더 根本的인 原因, 卽 美國과 中東 産油國 間의 政治的 葛藤이 常存하고 있기 때문이다. 巨大 石油企業 經營者이자 相續者인 부시 大統領. “石油 問題만큼은 自信 있다”고 큰소리쳐온 그가 原油값 上昇에 決定的 原因을 提供하고 있다는 嫌疑를 받고 있는 點은 아이러니라 하지 않을 수 없다.





    댓글 0
    닫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