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中東의 舍廊房 魔즐리스를 아시나요?|주간동아

週刊東亞 1191

..

이세형의 度하일기 〈마지막 回〉

中東의 舍廊房 魔즐리스를 아시나요?

도하에서 體驗한 아랍人들의 삶…팔레스타인의 남다른 敎育熱과 韓國 카페의 人氣 印象的

  • 동아일보 記者

    turtle@donga.com

    入力 2019-06-03 10:00:01

  • 글字크기 설정 닫기
    마즐리스 문화와 에티켓에 대해 
배우고 있는 카타르 어린이들. [카타르 트리뷴]

    魔즐리스 文化와 에티켓에 對해 배우고 있는 카타르 어린이들. [카타르 트리뷴]

    지난해 7月 카타르 도하에서 始作했던 中東 硏修가 끝나간다. 中東 이슈에 關心이 늘 많아 中東으로 海外硏修를 오는 冒險을 敢行한 것이다. 

    硏修 期間 내내 많은 現地人과 對話를 나누려 努力했다. 特히 敎授, 公務員, 學生(大學生과 大學院生)을 내 나름 積極的으로 만났다. 크고 작은 中東 이슈 關聯 포럼과 세미나에도 參席했다. 이를 통해 잘 몰랐거나 생각지도 않은 것들을 보고 느낄 수 있었다. 硏修를 마치면서 특별하게 생각하는 部分이다.

    모든 일은 魔즐리스에서 이뤄진다

    가장 먼저 떠오르는 건 ‘魔즐리스(Majlis) 文化’다. 魔즐리스는 아랍語로 ‘앉는 場所’를 뜻한다. 主로 家族과 親知, 卽 한 집안 男子들이 모여 政治, 經濟, 社會 이슈부터 家庭事까지 事實上 모든 이야기를 나누는 空間이다. 아시안컵과 월드컵 같은 蹴球 競技도 카타르人은 主로 여기서 應援한다. 親姻戚 中心의 舍廊房이라고 보면 된다. 魔즐리스는 카타르를 包含해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UAE), 쿠웨이트, 바레인 같은 걸프地域 國家에서 特히 活性化돼 있다. 

    普通 魔즐리스는 집안의 中心이 되는 사람이 사는 집 近處에 만들어진다. 집안 經濟力이나 사람 數에 따라 크기도 달라진다. 집안 構成員 間 親密度度 影響을 미친다. 어떤 집안은 비슷한 또래끼리 모이는 方式을 選好해 年齡帶別로 魔즐리스가 있고, 또 어떤 집안에는 많은 年齡帶가 모두 모이는 커다란 魔즐리스가 있다 

    平素 가깝게 지내던 카타르仁義 魔즐리스에 招待를 받았다. 널찍한 홀을 聯想케 하는 空間에 ‘아랍 스타일’의 카펫이 깔려 있었다. 椅子와 테이블이 여러 個 놓여 있고, 壁에는 大型 TV가 걸려 있었다. 사람들은 커피와 紅茶를 繼續 마시며 끊임없이 對話를 이어갔다. 記者에게도 北韓 問題, 손흥민의 活躍, 카타르 生活 等을 主題로 繼續 말을 걸어왔다. 



    카타르人은 “카타리(카타르人이란 뜻) 사이에선 祕密이 없다”고 强調한다. 카타르人이 30萬 名(全體 카타르 居住者 數는 約 270萬 名) 程度밖에 안 되는 게 가장 큰 理由다. 그러나 많은 이가 魔즐리스 效果에 對해 强調한다. 正常的으로 社會生活을 하는 카타르人이라면 魔즐리스에 꾸준히 가고 對話를 나누기 때문이다. 

    “大部分 一週日에 3~4番은 가는 것 같다. 나는 週末에도 특별한 일이 없으면 잠깐이라도 들른다. 魔즐리스에 가야 카타르가 어떻게 돌아가는지 알 수 있다.”(카타르인 事業家) 

    “政府 高位職 人士와 主要 政策은 勿論, 中東 情勢에 對해서도 意見을 나눈다. 너무 많은 이야기가 나오기 때문에 어떨 때는 뜬所聞이 돌기도 한다.”(카타르인 大學院生) 

    輿論이 形成되고 擴散되는 空間이다. 그래서 政府에선 ‘魔즐리스 토크(talk)’에 緊張하기도 한다. 中東 問題를 數年間 取材해온 한 外信記者는 “한때 쿠웨이트에선 ‘魔즐리스에서 政府에 對한 强度 높은 批判이 자주 나온다’는 이야기가 나돌아 쿠웨이트 王室이 緊張했다는 所聞이 있었다”고 말했다.

    敎育熱이 가장 뜨거운 아랍圈 나라

    아라비아해에서 카타르 수도 도하의 도심인 웨스트베이를 바라본 풍경. 카타르에선 2022 월드컵을 앞두고 경기장, 신도시, 지하철 건설이 한창이다. [걸프타임스]

    아라비아海에서 카타르 首都 都下의 都心인 웨스트베이를 바라본 風景. 카타르에선 2022 월드컵을 앞두고 競技場, 新都市, 地下鐵 建設이 한창이다. [걸프타임스]

    大學敎授와 硏究員 中에는 레바논, 시리아, 요르단 같은 이른바 ‘레반트 地域’ 出身이 많았다. 意外로 그中 相當數는 팔레스타인人이었다. 팔레스타인 難民 出身으로 레바논, 시리아, 요르단에서 살다 都下의 大學과 硏究所에 자리 잡은 이들이다. 카타르 公共機關과 企業에서도 팔레스타인 職員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經濟的, 社會的으로 힘든 與件에 놓인 팔레스타인 出身 가운데 이렇게 화이트칼라 人力이 많다는 게 神奇했다. 궁금症을 풀고자 그 理由를 많은 사람에게 물어봤다. 

    하나같이 이 質問에 對한 答으로 팔레스타인人들의 높은 敎育熱을 꼽았다. 카타르, 레바논, 예멘, 아프가니스탄 等에서 活動한 美國人 中東 專門家는 “全體 아랍圈에서 팔레스타인人만큼 子息 敎育에 熱誠的인 이들은 없다”고 말했다. 

    가장 큰 理由는 生存을 위해서다. 難民이라는 不安한 身分 탓에 어느 나라에서도 ‘確實한 實力’과 ‘좋은 職場’을 가져야만 살아남을 수 있다는 認識이 强해서다. 甚至於 레반트 地域에서는 社會 高位層 子女들이 다니는 國際學校나 私立學校를 除外하고는 팔레스타인 學生이 많은 學校가 가장 水準 높다는 게 定說로 받아들여진다. 正確히는 팔레스타인人에게 敎育과 醫療 서비스를 提供하고자 設立된 유엔팔레스타인難民機構(UNRWA)가 運營하는 이른바 ‘UNRWA 스쿨’의 競爭力이 높다는 것이다. 요르단 出身 硏究員은 “UNRWA 스쿨은 使命感과 專門性을 지닌 敎師들이 學生들을 剛하게 교육시켰고, 學生들 亦是 ‘내가 生存하려면 工夫뿐’이라는 마음으로 工夫한다”며 “平凡한 요르단 學校와는 雰圍氣가 完全히 다르다”고 말했다.

    카타리들은 韓國 카페를 사랑한다

    카타르의 인문사회과학계열 대학원대학인 도하인스티튜트 언론학과에서 특강을 마친 뒤 필자(가운데)가 학생들과 함께 직은 기념사진. 이 학교의 학생과 교수 중에서도 팔레스타인 출신 비율은 가장 높은 편에 속한다. [이세형 동아일보 기자]

    카타르의 人文社會科學界熱 大學院大學人 도하인스티튜트 言論學科에서 特講을 마친 뒤 筆者(가운데)가 學生들과 함께 職은 記念寫眞. 이 學校의 學生과 敎授 中에서도 팔레스타인 出身 比率은 가장 높은 便에 屬한다. [이세형 동아일보 記者]

    카타리들은 韓國에 對해 얼마나 알고 있을까. 基本的으로 韓國에 對한 이미지는 좋다. 韓國 建設社들이 現地의 紀念碑的 建築과 大型 天然가스 및 原油 工場을 많이 지은 게 큰 몫을 했다. 防彈少年團(BTS)과 孫興慜도 ‘코리아 브랜드’를 키우는 데 큰 役割을 하고 있다. 

    韓國産 電子製品도 人氣다. 재미있는 點은 韓國産 高級 TV는 販賣가 잘 되는 反面, 高級 冷藏庫와 洗濯機는 相對的으로 人氣가 없다는 것. 經濟的으로 넉넉한 家庭은 人件費가 低廉한 東南亞와 西南亞 出身 家政婦를 雇用하는 境遇가 많아서다. 自身들이 直接 使用하는 TV는 비싼 製品을 選好하지만, 家政婦가 主로 쓰는 冷藏庫와 洗濯機에는 돈을 아낀다는 것이다. 

    카타리들의 韓國 旅行은 아직 活性化돼 있지 않다. 하지만 다녀온 사람들 사이에서는 評價가 相當히 좋다. 特히 2030世代에게는 韓國 카페가 人氣다. 서울 光化門, 삼청동, 街路樹길, 北村 等과 같이 獨特한 인테리어를 갖춘 카페가 많은 地域에 對한 입所聞이 빠르게 퍼지고 있다. 커피나 茶 文化가 發達한 나라임에도 카타르의 카페 인테리어는 단출하다. 서울의 카페 프랜차이즈가 카타르에 進出하면 成功하리라는 생각이 들 程度였다. 

    早晩間 새로운 旅程에 突入한다. 이番에는 이집트 카이로에서다. 그리고 硏修生이 아닌 特派員 身分으로 中東에서 또 다른 삶을 始作한다. 카이로에선 어떤 것을 보고 느낄지 벌써부터 궁금해진다.


    이세형_ 現在 韓國言論振興財團의 海外硏修 프로그램을 통해 카타르 도하에 있는 싱크탱크 아랍調査政策硏究院(ACRPS)에서 訪問硏究員으로 活動하고 있다.



    댓글 0
    닫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