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한도전’이냐 ‘無謀한 挑戰’이냐|주간동아

週刊東亞 796

..

‘무한도전’이냐 ‘無謀한 挑戰’이냐

STX 강덕수 會長 ‘하이닉스’에 눈毒…引受資金 마련보다 引受 後 運營이 더 問題

  • 손영일 記者 scud2007@donga.com

    入力 2011-07-18 09:37:00

  • 글字크기 설정 닫기
    ‘무한도전’이냐 ‘무모한 도전’이냐
    6月 21日 하이닉스 株主協議會는 하이닉스 賣却 公告를 내고 引受意向書를 받았다. 當時만 해도 현대가(家)의 故土 回復을 꿈꾸는 現代重工業과 시너지 效果가 가장 크다고 評價받는 LG電子를 有力한 引受 候補로 꼽았다. 하지만 하이닉스 引受의 리스크가 워낙 커 뚜껑을 열어봐야 版圖를 알 수 있다는 視角이 優勢했다(주간동아 792號 ‘하이닉스 새 主人 현대重? LG?’ 記事 參照). 豫想대로였다. 有力 候補였던 現代重工業과 LG電子는 일찌감치 손을 뗐다. 7月 8日 引受意向書 接受를 마감한 結果, 하이닉스 賣却은 STX그룹과 SK텔레콤의 兩者 對決로 좁혀졌다.

    STX그룹과 SK텔레콤이 하이닉스 引受戰에 뛰어들자 市場이 보인 첫 反應은 疑訝하다는 것이었다. 朝鮮이나 通信 모두 半導體와는 시너지 效果가 크지 않은 탓이다. 골드만삭스는 7月 11日 “潛在 引受 對象인 STX그룹과 SK텔레콤은 事業 포트폴리오上 하이닉스와의 시너지가 制限的”이라는 內容의 否定的인 報告書를 내놓았다.

    하이닉스 每年 3, 4兆 원 投資 必要

    當場 3兆 원에 達하는 하이닉스 引受 代金을 어떻게 마련할지도 關心거리로 떠올랐다. 그나마 資金 餘力이 豐富한 SK텔레콤은 單獨 引受가 可能하다. 하지만 資産總額 基準 財界 14位인 STX그룹이 17位인 하이닉스를 引受하려면 그룹 全體가 死活을 걸고 나서야 한다. STX그룹은 引受 資金의 折半을 內部에서, 나머지 折半은 財務的 投資者(FI)를 迎入해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STX그룹의 3月 現在 現金性 資産은 3兆 원. STX, STX Pan Ocean(팬오션), STX造船海洋, STX엔진, STX에너지, STX重工業 等 國內 6個 主要 系列社가 1兆2000餘億 원, 나머지는 海外 系列社인 STX유럽과 STX對鍊이 保有한 것. 7月 8日 引受意向書 提出과 함께 STX유럽이 싱가포르 證市에 上場된 STX OSV 持分 一部를 賣却해 2500億 원의 資金을 마련하는 等 발 빠른 움직임을 보였다.



    STX그룹 이종철 副會長은 7月 7日 緊急 記者會見을 열고 “하이닉스 引受를 위해 따로 借入하지 않겠다”고 强調했다. 그 代身 中東 아부다비 投資廳 傘下 펀드로부터 財務的 投資를 받을 計劃이다. 아부다비 投資廳은 半導體에 關心이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實際 아부다비 投資廳 傘下 國營技術會社인 ATIC는 다른 業體가 設計한 半導體를 生産해 供給하는 파운드리 業體를 運營한다. 이 때문에 半導體 業界 一角에선 “아부다비 投資廳이 FI로 參加한다고 하지만, 向後 여러 事情에 따라 STX그룹으로부터 經營權을 가져갈 수도 있다”며 “그럼 國家 核心 技術이 流出될 수 있다”고 憂慮했다.

    STX그룹이 資金 마련 計劃을 밝혔음에도 市場 反應은 시큰둥하다. 設令 引受하더라도 莫大한 投資費가 걸림돌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 證券社 애널리스트는 “하이닉스 引受는 대한통운이나 大宇造船海洋 引受와는 次元이 다르다. 引受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꾸준히 投資해야 하기 때문에 자칫 돈 먹는 河馬가 될 수도 있다”고 警告했다. 언제 또다시 ‘치킨게임’이 벌어질지 모르는 半導體市場 狀況을 考慮한다면 每年 3, 4兆 원을 設備에 投資해야 한다는 主張이다. 하이닉스 自體 收益으로 投資할 수 있다곤 하지만, 果然 언제까지 可能하냐는 疑問이 남는다.

    이러한 現實을 그룹이 모를 理 없다. 當場 STX그룹 一角에서도 “造船業을 잘하는데 왜 半導體냐”는 不滿이 터져 나온다. 하지만 STX그룹 강덕수 會長의 하이닉스 引受 意志는 確固하다. 姜 會長은 朝鮮과 海運業으로 垂直系列化韓 事業構造를 多邊化하는 次元에서라도 하이닉스를 반드시 引受하겠다는 覺悟를 밝힌다.

    그러다 보니 그룹 職員 사이에선 “그래도 강덕수 會長이라면…”이라는 믿음도 一部 探知된다. 姜 會長은 STX그룹을 出帆 10年 만에 財界 14位 大企業으로 키운 立志傳的 人物이다. ‘引受合倂(M·A)의 鬼才’라는 別名에서 보듯 그는 私財를 털어 自身이 일했던 雙龍重工業(現 STX엔진)을 引受해 只今의 STX그룹으로 키웠다. 以後 大同朝鮮(現 STX造船海洋)과 野커야즈(現 STX유럽), 汎洋商船(現 STX팬오션) 等을 잇따라 引受하면서 社勢를 擴張했다.

    引受合倂 鬼才 또 成功할까

    ‘무한도전’이냐 ‘무모한 도전’이냐

    4月 29日 STX그룹 강덕수 會長은 STX大連 造船海洋 綜合生産基地에서 創立 10周年 記念行事와 비전宣布式을 가졌다.

    STX그룹 側은 이番 하이닉스 件도 같은 脈絡에서 理解해야 한다고 說明한다. 5月 設立한 STX未來硏究院을 中心으로 STX그룹의 비전과 持續可能한 發展 모델을 構想하고 있었으며, 하이닉스 引受件度 그 一環이라는 것. 그룹 關係者는 “姜 會長이 會社를 引受할 때마다 市場에선 豫想을 뒤엎는 結果라고 했지만, 姜 會長은 몇 手 앞을 내다보고 引受 對象과 時期를 選擇해 M·A 效果를 極大化했다”고 評價한다.

    그러나 “믿는 게 姜 會長뿐이냐”는 批判 또한 만만치 않다. 財界 關係者는 “姜 會長이 成功의 덫에 빠질 수 있다”고 指摘했다.

    “最高經營者(CEO)라고 반드시 옳은 判斷을 하는 것은 아니다. ‘CEO 리스크’라는 것이 存在하지 않는가. 아무리 未來를 내다본 戰略이라지만 現在 狀況을 全혀 考慮하지 않은 채 CEO가 一方的으로 밀어붙이는 것은 돌이킬 수 없는 結果를 가져올 수 있다.”

    더군다나 大規模 M·A에 懷疑的인 反應을 보인 株主와 主去來銀行을 이해시키는 일도 STX그룹으로선 쉽지 않은 宿題다. 財界 14位로 발돋움한 現在가 M·A의 빛이라면, 그로 인한 財務的 負擔은 어둠이다. 韓國企業評價는 지난해 末 基準 STX그룹의 連結基準 借入金이 7兆5373億 원, 負債比率이 458.4%에 이른다고 밝혔다. 2010年 國內 企業의 負債比率 平均이 114.8%임을 考慮할 때 높은 水準이다.

    STX그룹은 ‘100% 無借入 引受’를 公言하지만, 정작 引受에 成功하면 投資를 위해 借入이 不可避할 수 있다. 하지만 높은 負債比率을 考慮할 때 事實上 借入 餘力이 없는 狀況이다. STX그룹의 主債券銀行은 오래前부터 STX그룹에 大型 M·A를 自制해달라는 要請을 한 것으로 傳해진다.

    STX그룹은 크레디트 企業說明會(IR)가 열릴 때마다 借入 縮小에 注力하겠다고 밝혔다. 子會社 上場을 통해 資金을 마련하고 借入을 줄이겠다는 具體的인 約束도 提示했다. 하지만 只今껏 제대로 履行한 것이 없다는 評價를 받는다. STX그룹의 한 株主는 “5月 열린 크레디트 IR에서도 會社 側은 大規模 投資보다 借入金 減縮에 注力하겠다는 方針을 내놓았다. 只今은 大規模 M·A보다 財務構造를 튼튼히 하는 게 먼저”라고 批判했다.

    그러다 보니 STX그룹의 强한 否認에도 “肝 보기 아니냐”는 얘기가 끊임없이 흘러나온다. 前例도 있다. STX그룹은 2010年 初 大宇建設 賣却 當時 引受意向을 밝혔지만, 財務狀況에 對한 市場의 憂慮를 이기지 못한 채 抛棄를 宣言했다. M·A 鬼才의 運이 이番에도 통할지, 市場의 關心이 쏠리고 있다.



    댓글 0
    닫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