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準備하는 者만이 富者가 된다|주간동아

週刊東亞 261

..

準備하는 者만이 富者가 된다

  • 入力 2005-05-31 11:37:00

  • 글字크기 설정 닫기
    준비하는 자만이 부자가 된다
    萬若 當身에게 只今 100萬원이 생긴다면? 흘러간 노래 中에는 이런 歌詞가 있기도 하지만 갑자기 10億원의 돈벼락을 맞은 사람 얘기를 하고 싶다.

    올해 35歲의 寒心한씨는 어젯밤 三겹살에 燒酒 한 盞 걸치는 꿈을 꾼 것이 效驗이 있었던지 10億원짜리 福券에 當籤됐다. ‘이게 꿈이냐 生時냐’고 自問하면서 볼때기를 하도 꼬집어 시퍼렇게 멍든 모습으로 寒心한씨가 가장 먼저 한 일은 5000萬원짜리 最高級 乘用車를 장만한 일이다. 그리고 只今 살던 집을 歇값에 팔아버리고 福券 當籤金 中 3億5000萬원을 빼내 50坪짜리 넓은 아파트로 移徙했다.

    그리고도 남은 돈이 6億원. 이 돈으로 뭘 할까 생각하다가 銀行에 맡기고 每달 利子를 찾아 生活費로 쓰기로 했다. 요즘 利子率 7.5%를 適用하면 (來年부터) 利子所得稅로 16.5%를 控除하더라도 每달 利子가 300萬원 假量 된다. 이 所得에 맞춰 生活하기로 하고 지긋지긋한 會社는 當場 집어치웠다.

    같은 條件이라도 돈 굴리기 따라 큰 車

    모두들 부러워하는 生活이었지만 이렇게 몇 年이 흘러가면서 問題가 조금씩 생기기 始作했다. 每年 인플레이션이 5% 程度 되다보니 每年 必要한 生活費가 늘어나게 된다. 하지만 每달 銀行 利子는 제자리 水準. 그렇다고 生活 水準을 後退할 수는 없어 할 수 없이 元金을 조금씩 까먹게 됐다. 그러다보니 自然히 利子가 줄어들고, 또 그만큼 元金을 더 많이 축내게 됐다. 이렇게 해서 寒心한씨가 福券을 탄 지 20年이 지나 그의 나이 55歲가 될 때쯤 銀行에 맡긴 돈은 모두 바닥나 버렸다. 10億원 돈벼락이 20年 동안 무위도식하는 가운데 다 날아가버린 셈이다.



    이番에는 김돈만氏 事例. 김돈만氏는 創業의 꿈을 가지고 이런저런 事業計劃을 構想하고 創業資金을 마련하느라 汨沒하던 中이었다. 至誠이면 感天이라던가 亦是 김돈만氏도 10億원의 돈벼락을 맞았다. 가뭄에 단비 만난 듯 김돈만氏는 이 돈을 밑천으로 그동안 準備했던 事業에 着手해 年 12%의 收益을 올렸다. 每달 生活水準을 月 300萬원으로 하고, 여기에 인플레를 곱해도 每年 벌어들이는 收益이 인플레를 넘어서는 까닭에 오히려 每年 財産이 불어나게 된다. 20年 後 김돈만氏의 나이가 55歲가 됐을 때 10億원의 財産이 어느덧 60億원으로 늘어났다(표 參照).

    比較가 잘못됐다고 말할 수도 있을 것이다. 寒心한씨는 車를 사고 집을 사서 돈을 써 버리고 6億원을 銀行에 預金해서 6%의 歲後收益을 올렸다고 假定하고, 김돈만氏는 돈벼락 맞은 돈을 몽땅 投資해 年 12%의 收益을 올렸다고 家庭하니 當然히 이런 數字 놀음이 나오는 게 아니냐고 反問할 것이다.

    그러나 여기서 核心은 收益率 比較가 아니다. 아무런 準備 없이 돈벼락을 맞자 어쩔 줄 모르다가 結局 다 蕩盡한 사람과 미리 準備된 狀態에서 幸運의 돈으로 밑천을 삼아 順風街道를 달린 사람의 比較다. ‘가난한 아빠’는 돈이 생긴 뒤에 돈 굴릴 일을 생각해보자고 말한다. 그러나 ‘富者 아빠’는 미리 돈을 잘 굴리는 方法을 準備한 狀態에서 種子돈을 기다린다.

    結局 富者가 되는 것은 돈벼락의 幸運을 누가 잡는지의 問題가 아니다. 돈을 잘 굴릴 수 있도록 얼마나 미리 잘 準備하는지가 關鍵이라는 點을 强調하고 싶다.



    댓글 0
    닫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