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非伴侶人度 함께 즐기는 伴侶犬 놀이터 만들어야|주간동아

週刊東亞 1393

..

非伴侶人度 함께 즐기는 伴侶犬 놀이터 만들어야

[이학범의 펫폴리] 伴侶犬 健康·福祉 위한 놀이터, 反對 輿論에 新設 가로막혀

  • 이학범 獸醫師·데일리벳 代表

    入力 2023-06-15 10:00:01

  • 글字크기 설정 닫기
    ※伴侶動物 人口 1500萬 時代. 伴侶動物과 幸福한 同行을 위해 關聯法 및 制度가 漸漸 進化하고 있다.
    ‘멍兩 執事’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伴侶動物(pet)+政策(policy)’을 이학범 獸醫師가 알기 쉽게 整理해준다.


    사회화 시기 반려견이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산책이다. [GettyImages]

    社會化 時期 伴侶犬이 다양한 經驗을 할 수 있는 가장 좋은 方法은 散策이다. [GettyImages]

     낯선 사람이나 다른 강아지를 보면 마구 짖는 伴侶犬들이 있습니다. 大部分은 社會性이 不足한 강아지입니다. 강아지는 通商 生後 4株부터 12週까지가 社會化 時期인데요. 이때 처음 周邊 環境을 認識하고 그에 對한 反應이 생깁니다.

    社會化 時期에 만들어지는 記憶은 平生 가기 때문에 伴侶犬의 行動發達에 ‘아주 重要한 時期(Critical Period)’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伴侶犬은 이 時期에 最大限 많은 經驗을 해봐야 합니다. 多樣한 行色의 사람을 만나보고, 엘리베이터도 타보고, 오토바이 소리도 들어봐야 합니다. 小型犬, 大型犬 가릴 것 없이 여러 강아지도 대면해봐야 하죠. 이 모든 經驗을 할 수 있는 가장 좋은 方法이 바로 ‘散策’입니다.

    “伴侶犬에 목줄 없는 散策 必要”

    伴侶犬은 保護者와 散策하면서 適切히 運動하고, 자연스럽게 다른 사람이나 강아지를 만나며, 다양한 場所에 訪問하는 經驗을 쌓을 수 있습니다. 또 散策만 잘해도 分離不安, 攻擊性 같은 問題行動이 相當 部分 解決됩니다. 무엇보다 散策은 伴侶犬이 保護者와 穩全히 交感하는 時間입니다. 이 時間을 통해 伴侶犬과 保護者가 더 親密해질 수 있는 거죠. 따라서 伴侶犬에게 散策은 選擇이 아닌 ‘必須’입니다.

    某 大學 獸醫科大學 敎授는 現職 獸醫師들을 對象으로 한 講義에서 “獸醫師가 病院에 온 강아지에게 藥이나 注射만 줄 게 아니라 散策을 處方해야 한다”고 强調하기도 했습니다. 그 程度로 伴侶犬에게 散策은 重要하다는 意味죠.



    散策할 때는 반드시 伴侶犬에게 길이 2m 以內 목줄을 채워야 합니다. 다만 몇 年 前부터 囚衣學界에서는 “강아지에게 ‘吳프리視(Off-Leash)’ 散策이 必要하다”는 內容의 動物行動學 論文들이 發表되고 있습니다. 가끔은 伴侶犬이 사람 없는 空間에서 목줄을 차지 않고 자유롭게 뛰어놀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2021年 發表된 한 論文(‘The Importance of Off-Leash Walks for Pet Dogs’)에 따르면 吳프리視 散策은 伴侶犬의 올바른 걸음걸이, 社會的 交流, 探索 行動을 强化하기 때문에 伴侶犬의 健康과 福祉에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論文 硏究陣은 “都心에서 伴侶犬을 기를 때는 목줄 着用이 不可避하지만 伴侶犬의 身體 機能과 情緖 安定을 위해 목줄 없이 活動할 수 있는 安全하고 풍요로운 環境을 造成할 것”을 强力히 勸했습니다.

    非伴侶人은 캠핑·文化 祝祭 즐기도록

    서울시 등 여러 지방자치단체가 시민 편의를 위해 반려견 놀이터를 운영하고 있다. [서울시 홈페이지 캡처]

    서울市 等 여러 地方自治團體가 市民 便宜를 위해 伴侶犬 놀이터를 運營하고 있다. [서울市 홈페이지 캡처]

    伴侶犬이 목줄 없이 活動할 수 있는 安全하고 풍요로운 環境을 갖춘 곳은 어디일까요? 代表的인 場所 中 하나가 ‘伴侶犬 놀이터’입니다. 伴侶犬 놀이터는 강아지가 목줄 없이 마음껏 뛰어놀 수 있는 空間입니다. 一般的으로 地方自治團體(地自體)가 市民 便宜를 위해 運營하며, 豫防 接種과 動物 登錄을 마친 伴侶犬만 入場할 수 있습니다.

    最近 地自體들이 伴侶犬 놀이터 新設에 積極 나서고 있습니다. 伴侶動物 人口가 늘어남에 따라 地方選擧에서 伴侶犬 놀이터 關聯 公約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죠. 問題는 地自體長이 伴侶犬 놀이터를 지으려 해도 番番이 反對 輿論에 가로막힌다는 點입니다. 伴侶犬을 기르지 않는 自治區民들의 反對가 거센 탓입니다.

    이들이 伴侶犬 놀이터 新設에 反對하는 理由는 크게 3가지입니다. △모두가 낸 稅金을 伴侶犬을 기르는 一部를 위해 쓰는 것은 옳지 않다 △伴侶犬 놀이터가 생기면 치우지 않은 排泄物, 개 짖는 소리 等으로 周邊이 더럽고 시끄러워질 것이다 △여러 마리 개가 한곳에 모이면 개물림 事故 發生 可能性이 높아진다 等이 그것입니다.

    伴侶犬을 기르지 않는 市民들의 反對 理由와 걱정도 一見 理解는 됩니다. 하지만 앞서 살펴본 것처럼 伴侶犬 놀이터는 강아지의 健康과 福祉를 위해 꼭 必要합니다. 따라서 伴侶犬 놀이터가 빈 땅에 울타리를 둘러놓는 水準을 넘어 非伴侶人도 함께 즐길 수 있는 複合文化空間으로 나아갈 必要가 있어 보입니다. 伴侶犬은 分離된 空間에서 신나게 뛰어놀고 非伴侶人은 캠핑을 하거나 文化 祝祭를 즐기는 모습! 可能하지 않을까요?

    現在 國務總理 傘下 建築空間硏究員은 ‘伴侶動物 養育人口 增加에 對應하는 空間環境 政策 方向 硏究’를 遂行하고 있습니다. 伴侶動物 關聯 公共施設 造成에 關한 問題點과 改善點을 把握하고, 그 硏究 結果를 土臺로 向後 伴侶動物 關聯 施設이 어떻게 만들어져야 할지 提案할 豫定입니다. 그동안 國內에서는 이런 硏究가 제대로 遂行된 적이 없는데요. 이番 硏究가 成功的으로 進行돼 伴侶犬과 伴侶犬 保護者, 그리고 非伴侶人 모두가 즐길 수 있는 伴侶犬 놀이터가 造成되기를 期待해봅니다.



    댓글 0
    닫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